KR200270877Y1 -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877Y1
KR200270877Y1 KR2020010038182U KR20010038182U KR200270877Y1 KR 200270877 Y1 KR200270877 Y1 KR 200270877Y1 KR 2020010038182 U KR2020010038182 U KR 2020010038182U KR 20010038182 U KR20010038182 U KR 20010038182U KR 200270877 Y1 KR200270877 Y1 KR 200270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olly
oil
skid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정명호
김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10038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877Y1/ko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운반용 돌리카의 돌리카 스키드 상에 안착되어 코일이송대차로 운반되는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돌리카 스키드의 하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의 외측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고 오일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집유통과,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집유통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돌리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유통의 오일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코일 외권부에서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통에 의하여 집유함으로써 이동대차설비의 이동경로가 오일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Oil receiv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dolley car for transporting the coil}
본 고안은 제철소 냉연공장에서 생산되는 코일을 이송하기 위한 코일이송대차용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압연라인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야드에 적재되어 있는 코일이 돌리카(dolley car)에 의해서 코일이송대차로 이송될 때 상기 코일 내부에 도유된 오일이 돌리카의 설비 또는 돌리카의 이송경로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일을 이송하는 돌리카에 장착되는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라인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야드에 적재되어 있는 코일은 돌리카에 의해서 이송되어 코일이송대차에 탑재된 후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일을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코일이송대차(1)의 상부에는 코일이 적재되는 이송대차 스키드(4)가 제공되고, 이송대차 스키드(4)의 하부에는 코일을 운반하는 돌리카(2)가 이동하는 레일(25)이 제공된다. 돌리카(2)는 압연라인 또는 코일적재장의 코일을 이송대차 스키드(4)에 적재하도록 레일을 따라서 이동한다.
압연라인 또는 야적장의 코일은 돌리카(2)의 상단에 제공된 돌리카 스키드(6)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이와 같이, 돌리카(2) 상에 안착되어 코일(3)이 이송되는 동안, 코일의 방청을 위해 도유되는 오일이 코일의 외권부로 조금씩 흘러 내리면서 돌리카의 설비를 오염시킨다. 한편, 광폭의 코일이 돌리카(2)에 의해 이송되는 경우에는 코일에 도포되어 있는 오일이 흘러내려 돌리카의 이송경로를 오염시킨다. 그 결과, 돌리카(2)를 코일이송대차(1)의 이송대차 스키드(4)로 안내하는 레일(25)이 오염되는 경우에는 돌리카 롤러(2-1)의 미끄럼을 야기시켜 설비에러를 발생시킨다.
특히, 코일(3)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의 유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레일(25)이 오일로 젖어서 돌리카 롤러(2-1)가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레일표면이 마모된다. 이와 같이 마모된 레일(25)의 표면은 매끄럽지 못하며 그 결과 돌리카(2)가 중량물의 코일을 싣고 이동시 진동이 발생하면서 설비의 마모 현상을 가중시킨다.
또한, 돌리카(2)에 의한 코일이송시 코일로부터 야드로 흘러내린 오일이 장시간 방치되어 있으면, 이러한 오일에 각종 먼지 또는 더스트 등이 혼합되어 야드내의 환경을 오염시킨다. 이와 같이 오염된 오일에 의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져서 상해를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연라인 또는 야적장의 코일이 돌리카의 돌리카 스키드에 안착되어 이송되는동안 코일의 방청을 위해 도포되어 있는 오일이 흘러내려서 코일을 이송하는 돌리카의 설비를 오염시키거나 또는 돌리카의 이송경로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회수할 수 있는 돌리카에 장착되는 오일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코일이 안착되어 있는 돌리카가 코일이송장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코일이 안착되어 있는 돌리카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서 오일 집유통이 설치되어 있는 돌리카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를 분해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서 돌리카 스키드에 보조집유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집유통의 오일배출경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일이동대차
2 : 돌리카
7 : 집유통
9 : 실린더
21 : 오일필터
23 : 오일저장탱크
27 : 보조집유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코일운반용 돌리카의 돌리카 스키드 상에 안착되어 코일이송대차로 운반되는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돌리카 스키드의 하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의 외측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고 오일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집유통과,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집유통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돌리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유통의 오일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 구성은 동일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코일운반용 돌리카(2)의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안착되어 운반되는 코일(3)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하여 돌리카 스키드(6)의 양 측면에는 흘러내리는 오일을 받아내는 집유통(7)이 각각 제공된다. 집유통(7)은 돌리카 스키드(6)의 폭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고 그 중앙부에는 집유된 오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집유통(7)이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안착된 코일(3)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리카 스키드(6)의 하부에 제공된 실린더(9)의 실린더 로드(9-1)는 집유통(7)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즉, 집유통(7)의 실린더(9)의 작동에 의한 실린더로드(9-1)의 신축동작에 의하여 코일(3)의 폭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실린더(9)는 돌리카 스키드(6)의 하부에 볼트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 지지대(1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9-1)의 신축동작에 의해 집유통(7)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집유통(7)의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집유통 지지대(11, 12)가 돌리카 스키드(6) 하부의 양측에지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된다. 집유통 지지대(11, 12)는 돌리카 스키드(6) 하부에 고정장착된 가이드 파이프(13, 14)에 수용된다.
한편, 돌리카(2)에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수단(5)의 상승동작에 의해 돌리카 스키드(6)가 상승하여 그 상부에 코일(3)이 안착되었을 때, 안착되는 코일의 폭을 감지하기 위한 폭감지센서(15, 16)가 집유통(7)의 외측면에 제공된다. 폭감지센서(15, 16)는 집유통(7)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지지대(17)에 의해 지지된다.
집유통(7)에 집유된 오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밸브(18)가 배출구(8)의 하부에 제공된다. 개폐밸브(18)는 가요성 호스(19)에 의해서 오일저장탱크(23)에 연결된다.
한편, 돌리카 스키드(6)는 돌리카(2)의 상부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설치된 소정 길이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돌리카 스키드(6)의 길이보다 작은 소폭의 코일에서 흘러내린 오일을 집유하기 위하여 상기 판상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된 보조집유통(27)을 갖는다. 보조집유통(27)에는 집유된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출구(28, 29)가 형성된다. 보조배출구(28, 29)는 가요성 부재(30, 31)를 통해서 오일저장탱크(23)에 연결된다. 따라서, 집유통(7)에 집유된 오일과 보조집유통(27)에 집유된 오일은 가요성 호스(19)와 가요성 부재(30, 31)를 통해서 오일저장탱크(23)에 저장된다.
집유통(7)과 보조집유통(27)으로부터 가요성 호스(19)와 가요성 부재(30, 31)를 통해서 오일저장탱크(23)에 유입되는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먼지 등의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20)는 오일저장탱크(23)의 유입단에 연결핀(21)을 통해서 유체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요성 호스(19)와 가요성 부재(30, 31)는 T형 연결관(20)을 통해서 필터부재(20)에 연결된다.
오일저장탱크(23)는 돌리카(2)의 일측면 빈공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오일저장탱크(23)에 충진되는 오일의 충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오일량 감지센서(24)가 오일저장탱크(23)의 내부에 제공된다. 도면번호 25는 오일저장탱크(23) 내의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이고, 작업자는 오일량 감지센서(24)로부터 제공되는 오일의 충진신호에 의해서 배출밸브(25)를 개방시켜 오일저장탱크(23) 내의 오일을 배출시킨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연라인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야드 상의 스키드에 적치되어 있는 코일을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코일이송대차(1)는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대기한다. 돌리카(2)는 코일이송대차(1)에 제공된 레일(25)을 따라서, 상기 압연라인 또는 야드 상의 스키드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승하강 실린더(5)의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는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압연라인에서 생산되거나 또는 야드의 스키드 상에 적치되어 있는 코일(3)이 상차된다.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상차된 코일(3)의 외권부를 통해서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기 위하여 센서 지지대(17) 상에 제공된 제1코일폭 감지센서(15)는 코일감지신호를 실린더(9)에 전송한다. 코일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실린더(9)가 작동하게 된다. 즉, 제1코일폭 감지센서(15)의 코일감지신호를 수신한 실린더(9)는 돌리카(2) 외부를 향하여 실린더로드(9-1)를 신장시킨다. 이와 같은 실린더로드(9-1)의 신장동작은 제1코일폭 감지센서(15)에 의하여 코일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코일(3)이 상차된 상태에서, 제1코일폭 감지센서(15)가 코일(3)을 감지하지 못하면 실린더(9)의 반대작동에 의하여 실린더로드(9-1)는 축소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로드(9-1)의 축소동작은 제1코일폭 감지센서(15)가 코일(3)을 감지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실린더로드(9-1)의 신축동작에 의하여 집유통(7)은 코일(3)의 양측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양측면부를 통해서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게 된다.
집유통(7)에 오일이 집유되는 동안 돌리카(2)는 코일이동대차(1)에 제공된레일(25)을 따라서 코일이동대차(1)의 이동대차 스키드(4)의 하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승하강 실린더(5)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돌리카 스키드(6)에 상차되어 있는 코일(3)은 이동대차 스키드(4) 상에 상차된다.
한편, 승하강 실린더(5)가 하강하면서 코일(3)이 이동대차 스키드(4) 상에 상차되는 동안 제1코일폭 감지센서(15)가 코일(3)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실린더(9)는 실린더로드(9-1)를 수축시키며 그 결과 집유통(7)이 코일(3)의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서 코일(3)의 외측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이 돌리카 설비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일(3)이 돌리카 스키드(6)로부터 이동대차 스키드(4)에 상차되는 동안 실린더(9)는 제1코일폭 감지센서(15)로부터 송신되는 코일감지여부의 신호를 무시한다.
이 후에, 돌리카 스키드(6) 상의 코일(3)이 이동대차 스키드(4) 상에 완전히 상차되면 코일이동대차(1)는 소정의 코일저장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코일이동대차(1)가 코일저장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면 돌리카(2)의 승하강 실린더(5)가 상승하여 이동대차 스키드(4) 상에 상차되어 있는 코일(3)을 돌리카 스키드(6)가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승하강 실린더(6)의 상승동작이 완료되면 돌리카(2)는 코일이동대차(1)에 제공된 레일(25)을 따라서 코일저장용 야드 스키드로 이동한다. 돌리카(2)가 상기 코일저장용 야드 스키드에 도달하면 돌리카(2)의 승하강 실린더(5)가 하강하고 그 결과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상차되어 있는 코일(3)을 상기 코일저장용 야드 스키드에 하차시킨다.
이와 같은 승하강 실린더(5)의 하강동작이 완료되어 돌리카 스키드(6)로부터코일의 하차작업이 완료되었다는 완료신호가 실린더(9)에 송신되면, 실린더(9)는 실린더로드(9-1)를 수축시켜 집유통(7)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실린더(9)의 동작이 정지하고 돌리카(2)가 코일이동대차(1)로 이동함으로써 코일이송작업이 종료된다.
따라서, 코일이 돌리카(2)와 코일이동대차(1)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안 집유통(7)은 코일의 외측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므로, 코일이동대차(1)의 이동경로가 오일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술된 바와 같은 코일이송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동안 코일(3)의 외측면을 통하여 흘러내려서 집유통(7)에 집유되는 오일의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집유통(7)의 배출구(8) 하부에 제공된 개폐밸브(18)를 개방시키면 집유통(7)에 집유된 오일은 배출구(8)와 가요성 호스(19)를 경유하여 오일저장탱크(23)에 저장된다. 즉, 이와 같이 배출되는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은 오일필터(20)에 의해서 오일로부터 제거된다. 오일저장탱크(23)에 제공된 오일량 감지센서(24)는 오일저장탱크(23)에 저장되는 오일의 저장량을 감지하고, 이러한 오일감지신호는 돌리카(2) 또는 코일이송대차(1)의 운전실에 제공된다. 오일저장탱크(23)에 저장되는 오일이 만수위를 나타내면 돌리카(2) 또는 코일이송대차(1)의 작동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작업자는 오일저장탱크(23)에 제공된 배출밸브(25)를 통해서 저장된 오일을 배출한 후 돌리카(2) 또는 코일이송대차(1)를 다시 가동시킨다.
한편,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코일이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상차되어 있는경우에, 상기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은 돌리카 스키드(6)에 제공된 보조집유통(27)에 의해서 집유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은 승하강 실린더(5)의 동작에 의하여 돌리카 스키드(6) 상에 상차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코일의 외측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은 보조집유통(27)에 집유된다.
이때, 보조집유통(27)에 집유된 오일은 가요성 호스(30)를 따라서 오일저장탱크(23)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은 오일필터(21)에 의해서 제거된다.
한편, 집유통(7)의 하부에 제공된 개폐밸브(18)는 가요성 호스(19) 또는 오일필터(20)를 파손 등의 이유로 인하여 교환하고자 할 때 집유통(7)에 집유되어 있는 오일이 돌리카 설비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순서에 의해 코일의 외권부로 흘러나오는 오일이 에프디씨 대차의 돌리카 설비 또는 야드로 흘러내리지 않고 저장탱크에 모아지면서 누유되는 오일을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코일 외권부에서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통에 의하여 집유함으로써 이동대차설비의 이동경로가 오일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4)

  1. 돌리카의 돌리카 스키드 상에 안착되어 코일이송대차로 운반되는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리카 스키드의 하부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의 외측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고 오일배출구가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집유통과,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집유통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돌리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유통의 오일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집유통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로드를 신축동작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통의 외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의 폭을 검출하는 폭검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폭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는 상기 코일의 폭에따라서 상기 실린더로드를 신축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리카 스키드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돌리카의 상단에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상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을 집유하는 보조집유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KR2020010038182U 2001-12-11 2001-12-11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KR200270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82U KR200270877Y1 (ko) 2001-12-11 2001-12-11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82U KR200270877Y1 (ko) 2001-12-11 2001-12-11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877Y1 true KR200270877Y1 (ko) 2002-04-06

Family

ID=7311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82U KR200270877Y1 (ko) 2001-12-11 2001-12-11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35A (ko) *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이송용 대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센터링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35A (ko) *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이송용 대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센터링 방법
KR102112626B1 (ko) * 2018-10-10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이송용 대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센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CN104609198B (zh) 货物传输移载收集系统
CN107686013A (zh) 翻转装置、托盘回收系统以及它们的控制方法
US6581647B1 (en) Mobile drum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70877Y1 (ko) 코일이송용 돌리카의 오일회수장치
US6554557B1 (en) Inter-box connector (IBC)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CN209683520U (zh) 集装箱装卸车月台及集装箱装卸车系统
US20040081540A1 (en) Loading system, and loading car for a loading system
US20070295581A1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US20070297883A1 (en)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JP3877755B2 (ja) 搬送物の搬送装置、これを用いた輸送容器からの搬送物の搬出方法、及び輸送容器への搬送物の搬入方法
CN210312597U (zh) 装卸系统
CN112298950B (zh) 取料顶升回流线
JP7380640B2 (ja) 物品搬送装置
CN112478757A (zh) 一种具有抓取功能物料传送设备
CN220765631U (zh) 重载轨道车
US3232461A (en) Container positioning mechanism
US7094015B2 (en) Device for conveying empty rolls
CN218559977U (zh) 垃圾转运装置和垃圾转运系统
CN218578644U (zh) 垃圾处理站
CN108750504A (zh) 一种卷扬升降的一位双机立体垃圾处理站
CN218808522U (zh) 后尾板工件在库搬运设备
CN213035614U (zh) 一种用于集装桶的运输装置
CN108750503A (zh) 一种链条式一位双机立体垃圾处理站
WO2007143213A2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