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35Y1 -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35Y1
KR200269735Y1 KR2020010034851U KR20010034851U KR200269735Y1 KR 200269735 Y1 KR200269735 Y1 KR 200269735Y1 KR 2020010034851 U KR2020010034851 U KR 2020010034851U KR 20010034851 U KR20010034851 U KR 20010034851U KR 200269735 Y1 KR200269735 Y1 KR 200269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pe
cap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2020010034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35Y1/ko
Priority to US10/162,923 priority patent/US20030090110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에 작용하는 유체압이 크더라도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연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는 단부 쪽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8)가 형성된 관형상의 하우징(10)과, 길이 방향의 절개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신축되며 그 외주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로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된 클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30)과 맞닿아 전후진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를 갖는 캡(40)을 포함하며, 상기 캡(4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파지부(42)에 의해 튜브(3)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구{piping coupler}
본 고안은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에 작용하는 유체압이 크더라도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연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 등은 다수개의 배관라인이 배치되며, 이 배관라인은 배관 연결구에 의해 수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배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2) 내벽면에는 단턱부(4)가 구비되고 타측단(6) 내벽면에는 단부 쪽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8)가 마련된 관형상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단턱부(4)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2)에 의해 탄설되며 그 내부에는 관로(14)가 연통형성된 밸브체(20)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단(6) 내부에 삽입된 클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립(30)은 길이 방향의 절개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신축되는 원통부(22)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단(6)에 맞닿는 플랜지부(24)와, 상기 원통부(22)의 외주면에 돌출된 걸림턱(26)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2)에 배관(1)을 연결하고 타측단(6)에 튜브(3)를 끼우게 되면, 이 튜브(3)의 단부가 상기 밸브체(20)에 맞닿아 밸브체(20)가 하우징(10)의 일측단(2) 쪽으로 밀리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배관(1)에서 공급되는 용수가 흐르게 되며, 이때,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수압이 발생하여 이 수압에 의해 상기 그립링(20)이 하우징(10)의 단부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내경테이퍼부(14)에 의해 원통부(22)가 축경되어 상기 튜브(3)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손가락이나 연장 등을 사용하여 상기 클립(30)을 하우징(10)의 단부 반대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원통부(22)가 확경되면서 헐거워지므로, 상기 튜브(3)를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배관 연결구는 그 하우징(10)의 둘레부를 손으로 파지하고 손가락을 상기 클립(20)의 선단부에 대고 하우징(10)의 단부 반대쪽으로 밀어서 튜브(3)를 분리하게 되는데, 통상 수압이 클 경우(예를 들어, 4kg/㎠ 이상) 손가락이나 연장 등으로 상기 클립(30)을 밀어내기 매우 힘들게 됨은 물론, 상기 클립(30)의 사이즈가 작아 큰 수압을 이길 만큼 힘을 주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상기 튜브(3)를 용이하게 분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수기와 같이 다수개의 배선과 배관이 배치되어 있는 협소한 공간에 손을 집어넣고 상기 클립(20)을 내측으로 밀어서 튜브(3)를 분리할 경우에는 더욱 곤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3)를 분리하기 위해서 스패너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에 작용하는 유체압이 크더라도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연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배관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관 연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배관 연결구로부터 배관을 분리할 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3. 튜브
10. 하우징 30. 클립
40. 캡 42. 파지부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는 단부 쪽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8)가 형성된 관형상의 하우징(10)과, 길이 방향의 절개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신축되며 그 외주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로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된 클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30)과 맞닿아 전후진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를 갖는 캡(40)을 포함하며, 상기 캡(4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파지부(42)에 의해 튜브(3)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관 연결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 연결구는 관형상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유로에 삽입된 클립(30)과,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를 갖는 캡(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관체로서, 그 일측단(2)에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 수도관 등의 배관(1)이 결합되고, 타측단(6)에는 튜브(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2) 쪽 내경부에는 단턱부(4)가 내향돌출되어 스프링(12)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그 내부에 관로(14)가 형성된 밸브체(20)가 이 스프링(12)에 탄설되어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단(6) 내경부에는 상기 밸브체(20)를 향해 확경되는 형태의 테이퍼부(8)가 형성되며, 이 테이퍼부(8)와 밸브체(20) 사이에는 또 다른 단턱부(13)가 내향돌출되어 밀봉링(21)이 끼워진다.
상기 클립(30)은 하우징(10)의 타측단(6)에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원통부(22)와 플랜지부(24) 및 걸림턱(26)을 갖는다. 상기 원통부(22)는 하우징(10)의 타단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절개부(도시 안됨)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확경 및 축경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단부 쪽으로 슬라이드되면 하우징(10) 내부의 테이퍼부(8)에 의해 축경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단부 반대쪽으로 슬라이되면 확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부(22)의 기단부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26)이 구비되어, 이 걸림턱(26)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며, 상기 원통부(22)의 선단부에는 하우징(10)의 단부에 맞닿도록 플랜지부(24)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유로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40)은 클립(30)과 맞닿아 전후진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 결합된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를 갖는다. 또한, 상기 캡(40)의 기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0) 외주면의 외경 단턱부(4)에 걸려지는 걸림부(41)가 내향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클립(30)의 원통부(22)에는 튜브(3)가 삽입되어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튜브(3)를 끼우면, 이 튜브(3)의 선단이 하우징(10) 내부의 밀봉링(21)에 밀봉접촉되면서 통과하여 밸브체(20)를 전진시키게 되며, 상기 밸브체(20)는 스프링(12)의 탄성력을 이기고 전진하면서 밸브체(20) 내부의 관로(14)가 배관(1) 쪽과 연통되어 개방된다. 이어서, 상기 튜브(3)는 스프링(12)에 의해 후퇴하면서 클립(30)의 원통부(22) 외주면의 걸림턱(26)이 하우징(10)의 테이퍼부(8)에 맞닿아 원통부(22)가 수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튜브(3)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튜브(3)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캡(40)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에 손을 대고 캡(40)을 하우징(10)의 단부 반대쪽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클립(30)이 함께 밀려나면서 그 원통부(22)가 확경되므로, 상기 튜브(3)와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이 튜브(3)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구는 그 하우징(10)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 클립(30)에 맞닿아 전후진되는 캡(40)이 결합되고 이 캡(4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가 마련되어 있어, 통상 수압이 클 경우(예를 들어, 4kg/㎠ 이상) 에도 상기 파지부(42)에 손을 대고 하우징(10)의 단부 반대쪽으로 가볍게 밀게 되면 상기 클립(30)이 쉽게 밀리게 되므로, 상기 튜브(3)의 분리가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구는 정수기와 같이 다수개의 배선과 배관이 배치되어 있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기 파지부(42)에 의해 캡(40)을 밀어넣기만 하면, 상기 튜브(3)의 분리가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튜브(3)를 분리하기 위해서 스패너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배관 연결구는 그 하우징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 클립에 맞닿아 전후진되는 캡이 결합되고 이 캡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파지부에 손을 대고 하우징의 단부 반대쪽으로 가볍게 밀게 되면 튜브를 가압하여 고정하였던 클립이 헐거워지므로, 통상 수압이 상당히 클 경우에도 튜브의 분리가 매우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양단부를 관통하도록 유로가 형성되고 그 내벽면에는 단부 쪽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8)가 형성된 관형상의 하우징(10)과, 길이 방향의 절개부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신축되며 그 외주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유로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된 클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30)과 맞닿아 전후진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파지부(42)를 갖는 캡(40)을 포함하며, 상기 캡(4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파지부(42)에 의해 튜브(3)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구.
KR2020010034851U 2001-11-13 2001-11-13 배관 연결구 KR200269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51U KR200269735Y1 (ko) 2001-11-13 2001-11-13 배관 연결구
US10/162,923 US20030090110A1 (en) 2001-11-13 2002-06-06 Piping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51U KR200269735Y1 (ko) 2001-11-13 2001-11-13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35Y1 true KR200269735Y1 (ko) 2002-03-25

Family

ID=1971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851U KR200269735Y1 (ko) 2001-11-13 2001-11-13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90110A1 (ko)
KR (1) KR2002697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852B1 (ko) 2009-10-21 2011-10-2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KR101090413B1 (ko) * 2009-05-13 2011-12-0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관 연결구
WO2015184363A1 (en) * 2014-05-30 2015-12-03 Kujawski James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US11092269B2 (en) 2014-05-30 2021-08-17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0126B2 (en) * 2006-05-12 2010-03-0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Valve for controlling air flow in a molded article holder
US20070264384A1 (en) * 2006-05-12 2007-11-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ed article holder
CA2846014A1 (en) * 2013-03-13 2014-09-13 Sigma Electric Manufacturing Corporation Em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413B1 (ko) * 2009-05-13 2011-12-0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관 연결구
KR101076852B1 (ko) 2009-10-21 2011-10-2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WO2015184363A1 (en) * 2014-05-30 2015-12-03 Kujawski James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US10422460B2 (en) 2014-05-30 2019-09-24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US10962159B2 (en) 2014-05-30 2021-03-30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US11092269B2 (en) 2014-05-30 2021-08-17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US11112045B2 (en) 2014-05-30 2021-09-07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0110A1 (en)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0876B2 (ja) 押込み連結継手
US7469936B2 (en) Pipe coupling
EP0241656B1 (en) Joint for a hose or tube
HU225768B1 (en) Push-fit tube couplings
JP5158614B2 (ja) 管継手
US6843507B2 (en) Tube joint
JPH02107888A (ja) 管継手
KR200269735Y1 (ko) 배관 연결구
US20030006609A1 (en) Flexible tubing connector
US5125694A (en) Quick-connect and disconnect pipe-joint fitting
WO2006037962A1 (en) Tube coupling
JP5417589B2 (ja) 管継手
JP2008008435A (ja) 管継手
JP4932633B2 (ja) 通水管の接続装置
KR20170054122A (ko) 정수기용 피팅장치
US20060163872A1 (en) Pipe coupling
CS195274B2 (en) Dismountable adapter connection for the pipeline
KR100324547B1 (ko) 퀵타입 커플링
JPH10184598A (ja) エゼクタ
US20120001418A1 (en) Connector
KR200261634Y1 (ko) 배관 연결용 피트
JP5507902B2 (ja) 管継手機構、管継手、管継手を用いた管の接続方法、管継手を用いた管の接続及び分離方法、及び配管構造
KR200283832Y1 (ko) 배관연결구
KR960034837A (ko) 호스연결구
KR200179786Y1 (ko)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