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204Y1 -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 Google Patents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204Y1
KR200269204Y1 KR2020010038571U KR20010038571U KR200269204Y1 KR 200269204 Y1 KR200269204 Y1 KR 200269204Y1 KR 2020010038571 U KR2020010038571 U KR 2020010038571U KR 20010038571 U KR20010038571 U KR 20010038571U KR 200269204 Y1 KR200269204 Y1 KR 200269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dhesive
display
display panel
displa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경
Original Assignee
동양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204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자류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져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의 관통구멍으로 상기 상품을 원터치방식으로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으로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가 노출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의 후면부에 부착된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가 콤팩트하여 제조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원터치 방식으로 상품을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어 그 사용가치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고 접착부재의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Display panel}
본 고안은 과자류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하고 원터치로 상품을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며 일부 부품의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류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상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은,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상품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일예로서는 대한민국에서 실용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180호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180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판의 임의곳에 측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103)와, 상기 절취부(103)를 절취하여 형성된 걸이구(104)와, 상기 진열판의 형성된 걸이구의 양측에 하부와 측부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105)와, 상기 절취부(105)를 절취하여 형성된 지지편(1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180호는 진열판에 걸이구(104)와 지지편(106)이 형성되어서 상품(107)에 형성된 걸이구멍(109)를 상기 걸이구(104)에 삽입하여서 다수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180호는 진열판이 종이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걸이구(104) 및 상기 지지편(106)이 용이하게 진열판으로 부터 찢어지게 되어 1회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품(107)을 진열할 경우 걸이구멍(109)을 걸이구(104)에 삽입하여 상품이 진열되므로 진열이 난이한 것은 물론이고 진열된 상품을 인출하는 것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은,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상품을 진열 및 진열된 상품을 인출할 경우 사용자가 번거러운 것은 물론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원터치로 상품을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키며 일부 부품의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180호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상품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주요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디스플레이부재 11...전면부
12...후면부 13...걸고리부
14...관통구멍 20...접착부재
21...접착부 30...상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은, 전면부와 후면부로 이루어져 상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의 관통구멍으로 상기 상품을 원터치방식으로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으로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가 노출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의 후면부에 부착된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의하면, 그 구조가 콤팩트하여 제조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원터치 방식으로 상품을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어 그 사용가치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고 접착부재의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상품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주요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부호 10은 과자류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상품(30)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로서, 전면부(11)와 후면부(12)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관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는 마분지등과 같은 비교적 두꺼운 재질의 종이로 이루어지나,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전면부(11)에는, 광고효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그림이 삽입된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상부에는 끈등과 같은 부재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를 벽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걸고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는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관통구멍(14)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관통구멍(14)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14)의 형상에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부호 20은 상기 상품(30)을 원터치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에 접착된 접착부재이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에는 상기 상품(3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원터치방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접착부(21)가 구비된 접착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접착부(21)가 구비된 접착부재(20)가 부착되어서 상기 접착부(2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관통구멍(14)으로 노출되게 되므로서, 상기 상품(30)을 상기 관통구멍(14)에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상품(30)이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의 접착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상기 접착부재(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로부터 탈착시킨 후 새로운 상기 접착부재(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부착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는 사각형태의 부재에 다수의 관통구멍(14)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가 극히 용이하여 제조시 제조공정의 단축으로 제조코스트를 대폭 다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부(12)에는 접착력을 갖는 상기 접착부재(20)가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관통구멍(14)에는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가 노출되게 된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관통구멍(14)에는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가 노출되므로 상기 상품(30)을 상기 관통구멍(14)에 위치시킨 후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상품(30)이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이 부착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관통구멍(14)에 상기 상품(30)을 위치시켜 원터치방식으로 상기 상품(3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부착된 상기 상품(30)은 사용자가 원터치방식으로 용이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어 그 사용의 가치는 보다 배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부(12)로부터 이탈시켜 접착력이 강한 새로운 상기 접착부재(20)를 부착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접착부재(20)를 교환하여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에 상기 상품(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 가치는 보다 배가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은, 그 구조가 콤팩트하여 제조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원터치 방식으로 상품을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어 그 사용가치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고 접착부재의 교체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면부(11)와 후면부(12)로 이루어져 상품(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와 상기 후면부(12)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구멍(14)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재(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관통구멍(14)으로 상기 상품(30)을 원터치방식으로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14)으로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21)가 노출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부(12)에 부착된 접착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를 벽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걸고리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20)의 접착부(21)의 접착력이 저하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상기 접착부재(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재(10)의 후면부(12)로부터 이탈시켜 접착력이 강한 새로운 상기 접착부재(20)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KR2020010038571U 2001-12-14 2001-12-14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KR200269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71U KR200269204Y1 (ko) 2001-12-14 2001-12-14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71U KR200269204Y1 (ko) 2001-12-14 2001-12-14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204Y1 true KR200269204Y1 (ko) 2002-03-20

Family

ID=7311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71U KR200269204Y1 (ko) 2001-12-14 2001-12-14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225A (en) Replaceable sign panel assembly for a merchandise cabinet
US8943724B2 (en) Hang tag assembly for holding a gift card backer panel
KR200269204Y1 (ko) 상품 디스플레이 판넬
US4467543A (en) Billboard apparatus
JP4157989B2 (ja) 店頭表示装置
US6178681B1 (en) Device tag for display of electrical devices
JP2001218658A (ja) 商品展示具
JP3011127U (ja) 自動販売機
US4236336A (en) Notions display heading for perforated board
KR200343471Y1 (ko) 상품진열장의 광고판착탈시스템
KR200234922Y1 (ko) 인조손톱용 포장진열대
CN201075274Y (zh) 旗帜定位结构
US20050011096A1 (en) Structure of decorative panel for inserted-in photographs (pictures)
CA2428330A1 (en) Display for collectibles
JPH02769Y2 (ko)
KR970002562Y1 (ko) 착탈식 메뉴 판넬
JPH06343538A (ja) ショーケースの表示装置
JP2001137093A (ja) 陳列装置
KR200345533Y1 (ko) 교체형 광고판이 프레임과 일체화되어 보이는 진열장
JP3075717U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宣伝広告用プレ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3099776U (ja) 吊り下げ式パッケージ
KR200175292Y1 (ko) 광고부착부를 갖는 메모판
JP2006129932A (ja) 陳列台
JPH0947339A (ja) 物品陳列用台紙
JP3121524U (ja) 表示具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