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988Y1 - 무선경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988Y1
KR200268988Y1 KR2019990005712U KR19990005712U KR200268988Y1 KR 200268988 Y1 KR200268988 Y1 KR 200268988Y1 KR 2019990005712 U KR2019990005712 U KR 2019990005712U KR 19990005712 U KR19990005712 U KR 19990005712U KR 200268988 Y1 KR200268988 Y1 KR 200268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ignal
warning
butt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704U (ko
Inventor
김홍분
Original Assignee
김홍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분 filed Critical 김홍분
Priority to KR2019990005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9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98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의 조작과 마이크의 조작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도록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제어기와 마이크를 무선화 하고, 이를 휴대가 간편한 무선마이크를 겸용할 수 있는 리모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순찰차에 장착되어있는 마이크는 앰프(AMP)와 전송선(Cable)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의 조작 스위치 역시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제어 패널(Panel)과 직접적인 연결로 인해서 순찰차에서 인접한 곳에서 임무 수행 중에 갑작스런 돌발사고를 주위에 경고 및 상황을 알려야 할 때 순찰차로 가야만 하기 때문에 상황의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 사용범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이들이 여러가닥의 전선들로 연결되어져 장기간 사용시 단선 및 누선 등의 고장이 빈번하고, 수리시 전선들로 인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 사용범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이들이 여러 가닥의 전선들로 연결되어져 장기간 사용시 단선 및 누선 등의 고장이 빈번하고, 수리시 전선들로 인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상기에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경고장치(경광등/경고음향)의 조종 패널(Panel)을 무선(전파, 적외선, 초음파 등)리모콘에 적합화 하고, 무선마이크가 탑재된 원격 조정 장치(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기기 고장의 원인(단선 및 누전, 접속불량)을 제거하고, 원거리에서도 마이크와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무선으로 경고장치 제어 및 무선마이크 사용

Description

무선경고장치{Wireless warning device}
본 고안은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의 조작과 마이크의 조작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도록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제어기와 마이크를 무선화 하고, 이를 휴대가 간편한 무선마이크 겸용 리모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순찰차에 장착되어있는 마이크는 앰프(AMP)와 전송선(Cable)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의 조작 스위치 역시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제어 패널(Panel)과 직접적인 연결로 인해서 순찰차에서 인접한 곳에서 임무 수행 중에 갑작스런 돌발사고를 주위에 경고 및 상황을 알려야 할 때 반듯이 순찰차로 가야만 하기 때문에 상황의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 사용범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이러한 기기들이 모두 여러 가닥의 전선들에 의하여 복잡한 배선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시 단선 및 누전 등의 고장이 잦고, 수리시에 이러한 전선들로 인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경고장치(경광등/경고음향)의 조종 패널(Panel)을 무선(전파, 적외선, 초음파 등)리모콘에 적합화 하고, 무선마이크가 탑재된 원격 조정 장치(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기기 고장의 원인(단선 및 누전, 접속불량)을 제거하고, 원거리에서도 마이크와 경광등 또는 경고음향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1은 경고장치 리모콘 구성도
도2는 경고장치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키조작부 B: CPU중앙처리장치
C: RF 송신기 D: 마이크
E: 송신 안테나 F: 고유 ID조합부
G: 수신 안테나 H: RF 수신기
I: 중앙처리장치(CPU) J: 경광등 조작 스위칭회로
K: 경광등 L: 싸이렌 앰프
M: 고유ID조합 N: 스피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명과 각 도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리모콘(Remote Controller)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그 구성은 중앙처리장치(B)와 연결되는 키(버튼) 조작부(A)에는 무선마이크 ON/OFF 버튼, 싸이렌 ON/OFF 버튼 및 싸이렌 음향 선택 버튼, 음량 조절 버튼, 경광등 ON/OFF버튼과 경광등의 점멸 속도 조절 버튼과 경광등의 밝기 조절 버튼, 써치라이트(SERCH LIGHT) ON/OFF 버튼 및 써치라이트 방향 조절 버튼, 경찰서나 병원 등의 긴급연락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버튼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인 CPU(B)에서 그 버튼에 해당하는 고유 코드(CODE)를 발진하게 된다.고유코드로 CPU(B)에서 출력된 신호는 중앙처리장치(B)와 연결된 RF 송신기(C)에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E)를 통해 RF 신호로 송신된다.
이때, 리모콘의 마이크(D)는 RF 송신기(C)와 직접적인 연결로 되어 있어, 키(버튼)조작부(,ㅁ)에서 무선마이크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B)에서 마이크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리모콘의 무선마이크(D)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는 RF송신기로 직접 입력되어 고주파신호로 송신된다.
또한 리모콘의 고유ID조합부(F)는 중앙처리장치(B)와 연결되어 있어 중앙처리장치(B)에서 신호를 출력하고자 할 경우에 자기만의 고유 ID코드가 송출되도록 하여 다른 리모콘의 사용에 따른 혼선을 방지한다.
도 2는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어 처리하게 되는 수신부로서 다양한 경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송신안테나(E)에서 송신되어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G)와 수신안테나(G)와 연결된 RF수신기(H)는 수신안테나(G)에서 변조된 고주파신호를 RF수신기(H)에 인입/복조하고 코드신호 및 음성 신호를 증폭/정형시켜 RF수신기(H)와 연결된 중앙처리장치(I)로 전달되어 각종 코드신호를 분석하고 각 분야별로 필요한 부분에 출력 값을 전달하여 각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또한 중앙처리장치(I)에는 고유ID조합부(M)와 싸이렌엠프(L)과 연결되고 경광등조작스위치회로(J)가 연결된다.
이때 리모콘(Remote Controller)의 각각의 버튼을 누름으로서 리모콘의 중앙처리장치(B)에서 발생되는 고유코드가 경고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인(I)에서 참조자료로 쓰이며 제어를 위한 각 해당 회로부에 연산결과를 출력하여 제어를 한다.
중앙처리장치(I)와 연결되어진 경광등 조작 스위칭 회로(J)는 리모콘의 각각의 버튼에 해당되는 경광등 ON/OFF조작, 밝기 조절, 스피드조절 등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또한 중앙처리장치(I)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싸이렌 앰프(L)는 중앙처리장치(I)에서 각종 싸이렌 소리를 출력한 것을 앰프에서 증폭 스피커(N)에서 송출한다.고유ID조합부(M)는 라디오주파수수신기에서 수신시 혼선을 막기위해 송신기에서 보낸 고유ID코드가 고유ID조합부(M)에 의해서 발생된 고유ID코드와 동일한가를 중앙처리장치(I)가 분석한 후 실행하도록 동작을 한다.
또한 무선 마이크(D)동작은 RF송신기(C)에서 발신된 고주파신호를 RF수신기(G)에 입력받아 음성신호와 마이크의 고유신호를 복조하고 중앙처리장치(I)로 입력함으로서 중앙처리장치(I)에서 싸이렌 앰프(L)의 MUTE를 열어 수신된 음성신호가 증폭되고 스피커(N)에 송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경고장치의 작동을 리모콘(Remote Controller)화 하였기 때문에 일정 범위에서는 활동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고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기의 무선작동으로 인해 배선용 전선 사용을 줄임으로서 기기 구성을 보다 단조롭게 하여 설치에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단선 및 누전,접속불량과 같은 고장을 최소화 하고, 무선마이크기능과 리모콘(Remote Controller)기능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의 고장시 고장부분만 쉽고 간편하게 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Remote /controller)과 경고장치 각각의 CPU에 딥-스위치(DIP-SWITCH)를 이용한 동일 고유ID조합부를 연결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우에 따라서 장비의 추가시 딥-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장비의 추가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한 대의 리모콘으로 모든 경고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1)

  1. (정정)키(버튼) 조작부(A)의 버튼선택에 의하여 중앙처리장치(B)에서 그 버튼에 해당하는 고유 코드(CODE)를 발진하게 되고, 고유코드로 중앙처리장치(B)에서 출력된 신호는 RF송신기(C)에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E)를 통새 RF 신호로 송신되고, 리모콘의 마이크(D)는 RF송신기(C)와 직접적인 연결로 되어 있어 키(버튼)조작부(A)에서 무선마이크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중앙처리장치(B)에서 마이크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리모콘의 무선마이크(D)에서 발생된 음성신호는 RF송신기로 직접 입력되어 고주파신호로 송신되는 리모콘과 리모콘에서 송신된 신호를 받아 처리하게 되는 경고장치 수신부에는 리모콘의 송신안테나(E)에서 송신되어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G)와 연결된 RF수신기(H)는 수신안테나(G)에서 변조된 고주파신호를 RF수신기(H)에 인입/복조하고 코드신호 및 음성 신호를 증폭/정형시켜 RF수신기(H)와 연결된 중앙처리장치(I)로 전달되어 각종 코드신호를 분석하고 각 분야별로 필요한 부분에 출력 값을 전달하여 각 스위치 회로를 제어하여 중앙처리장치(I)에 연결되어진 고유ID조합부(M)와 싸이렌엠프(L)및 경광등조작 스위칭회로(J)가 작동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경고장치.
KR2019990005712U 1999-04-08 1999-04-08 무선경고장치 KR200268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12U KR200268988Y1 (ko) 1999-04-08 1999-04-08 무선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12U KR200268988Y1 (ko) 1999-04-08 1999-04-08 무선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04U KR19990022704U (ko) 1999-07-05
KR200268988Y1 true KR200268988Y1 (ko) 2002-03-18

Family

ID=5475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12U KR200268988Y1 (ko) 1999-04-08 1999-04-08 무선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9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04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220B1 (en) Signaling system
CA2500233A1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WO2002076113A3 (en) Beacon infrastructure
WO2003096671A3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emergency alert signals
JP2001168627A5 (ko)
US8547235B2 (en)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determining if the user can hear an audible alarm
KR200268988Y1 (ko) 무선경고장치
KR100626839B1 (ko) 무전기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0588822B1 (ko) 차량간의 무선 통신시스템
JPH09233568A (ja) リモコン操作機器およびリモコン中継器
JP3089033U (ja) トランシーバー装置
KR100353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티켓 모드 설정 장치
KR200198226Y1 (ko) 음성 송수신 기능이 내장된 도난 경보기
KR200163187Y1 (ko) 원격조정이가능한무선카메라
JP3174124U (ja) 手持ち式無線音声放送と照明遭難監視制御装置
JPH11122688A (ja) コードレススピーカシステム、音声信号送信装置、音声信号受信装置、およびスピーカボックス
KR0120528Y1 (ko)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
KR100595673B1 (ko)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
KR20030072184A (ko) 오디오의 무선 볼륨 조절장치
KR200278855Y1 (ko) 오디오의 무선 볼륨 조절장치
KR100301470B1 (ko) 무선헤드폰겸용리모콘
KR100550393B1 (ko) 무선 생활무전기 기능을 갖는 카 오디오
JPH04321326A (ja) 対空無線機制御装置
JPH11274993A (ja) マルチデータ送受信装置
JPH0589374A (ja) ワイヤレス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