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883Y1 -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 Google Patents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883Y1
KR200268883Y1 KR2020010038597U KR20010038597U KR200268883Y1 KR 200268883 Y1 KR200268883 Y1 KR 200268883Y1 KR 2020010038597 U KR2020010038597 U KR 2020010038597U KR 20010038597 U KR20010038597 U KR 20010038597U KR 200268883 Y1 KR200268883 Y1 KR 200268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colloidal solution
solution
electrode pieces
i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이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구 filed Critical 이태구
Priority to KR2020010038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883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는 인체가 흡수하기에 좋도록 고순도의 은(銀, silver)을 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무광물 상태의 물에 소미립자로 전기분해하여 이온화시킴으로써 은콜로이드용액으로 만들 수 있는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량의 용액을 수용하도록 일정 부피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제용기, 용제용기의 상단 개구를 덮는 용기덮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용기덮개에 거취되어 용제용기 내의 물에 잠기며 은콜로이드 용액의 제조과정에서 이온화되는 2개의 은전극편, 2개의 은전극편의 이온화를 위한 전극전압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인가하고 이온화되는 농도를 감지하여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의 전체적인 진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제어회로를 보호하고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조정하는 조종보호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해용 전극으로 사용되는 은전극편에 전원을 교대로 인가시키고 그 농도를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은이온화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분이 뛰어난 은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A device for manufacturing colloidal silver}
본 고안은 음용 용액 제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인체가 흡수하기에 좋도록 고순도의 은(銀, silver)을 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무광물 상태의 물에 소미립자로 전기분해하여 이온화시킴으로써 은콜로이드용액으로 만들 수 있는,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를 제시한 것이다.
은(silver)은 예로부터 귀금속 등 각종 보석의 세공품으로 많이 이용해 왔다. 이러한 은은 몸에 지니고 있으면 건강과 부귀가 따른다고 하여 은식기를 비롯 은반상, 은수저 등 각종 생활용품은 물론 은비녀, 은장도 등으로 만들어 사용해 왔다.
또한 은은 생활필수품은 물론 암 예방 및 질병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동서고금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은이 간질이나 경기, 정신병 그리고 냉대하와 같은 부인병에도 특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에는 은을 몸에 지닐 경우 오장이 편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을 길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서양의 고대 로마나 그리스에서도 은식기에 음식을 보관하면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렇게 행해 왔으며, 미국의 개척 시대사를 살펴보면 우유 그릇속에 은화를 넣어두면 상하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는 것과 물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은그릇 속에 물을 보관했었다는 등 은의 효능에 대한 다양한 실화들의 많이 전해져 오고 있다.
은은 연구결과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단세포 병원균을 살균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즉 은이 단세포 병원균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특수한 효소를 무력화시켜 병원균을 살균하며 금속성의 은(metallic silver)이 방출하는 은이온(Ag+)의 전기적 부하로 인해 병원균의 생식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렇게 유익한 은성분을 인체에 공급하는 것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일 예로 미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선의 내의 완벽한 멸균을 유지하기 위해 은정수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아울러, 선진국에서는 은성분이 포함된 은콜로이드용액(colloidal silver)을 음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으며, 이 은콜로이드 용액을 위한 제조기들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금은용액제조기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금은용액제조기는 내통(11)에 다수의 영구자석(11m)을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내통을 금(gold)이나 은(silver)으로 제작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내통의 성분에 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도록 작동한다. 아울러 콜로이드용액의 제조 과정시 전기분해의 시간을 타이머(12t)로 설정하여 작동시킨다. 그리고 받침대(12)에 전원접촉단자를 형성하여 전기분해를 위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1과 같은 제조기 이외에도 은봉을 설치하고 이러한 은봉의 전기분해 과정을 통하여 은용액을 제조하는 기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제조기들은 은의 이온화농도를 인위적으로 설정한 타이머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실제 이온화된 은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기분해과정에서 고정된(fixed) 전원을 인가하기 때문에 소모성의 전극으로 작용하는 은봉(은전극봉)이 전기분해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전기분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기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은의 이온화농도가 차이가 생기게 되며 결국 은용액의 약효성분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인가하는 전극전원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번갈아 인가하고 은이온화 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이온화농도에 따라 제조과정을 제어함으로써 인체가 흡수하기에 좋도록 고순도의 은(銀, silver)을 무광물 상태의 물에 소미립자로 전기분해하여 이온화시켜 약효성분이 뛰어난 은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은콜로이드용액 제조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이를 위해서는 전기분해 전원을 일정시간동안씩 교대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은이온화 상태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새로 설계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며 관련 주변장치를 이러한 동작에 맞도록 설정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금은용액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에 장착되는 제어회로의 구성블럭도.
도 4는 조종보호덮개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용제용기
22 : 용기덮개
231, 232 : 은전극편
24 : 제어회로
241 : 입력조종단 242 : 마이크로프로세서
243 : 감지스위칭단 244 : 출력전시단
25 : 조종보호덮개 25d : 디스플레이창
25h : 소리구멍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는,
일정량의 용액을 수용하도록 일정 부피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제용기, 용제용기의 상단 개구를 덮는 용기덮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용기덮개에 거취되어 용제용기 내의 물에 잠기며 은콜로이드 용액의 제조과정에서 이온화되는 2개의 은전극편, 2개의 은전극편의 이온화를 위한 전극전압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인가하고 이온화되는 농도를 감지하여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의 전체적인 진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제어회로를 보호하고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조정하는 조종보호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은콜로이드 용액제조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는 용제용기(21), 용기덮개(22), 2개의 은전극편(231, 232), 제어회로(24) 그리고 조종보호덮개(25)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용제용기(21)는 일정량의 용액을 수용하도록 일정 부피를 갖는 통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용제용기(2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용기덮개(22)에 의해 상부가 덮여지게 된다. 이러한 용제용기(21)는 내통 및 외통의 2중으로 형성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외부의 용제용기(21)를 벗겨 낸 상태로 은콜로리드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아울러 용제용기(21)에는 눈금을 표시하여 처음에 부어야 할 물의 양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물의 양은 결국 본 실시예의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의 작동시간과 연관된다.
용기덮개(22)는 상단이 개구상태인 용제용기(21)를 덮게 된다. 이러한 용기덮개(22)는 2개의 은전극편(231, 232)을 거취시키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 이면에 돌출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22a)는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도성의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용기덮개(22)의 상단 이면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용기덮개(22)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어회로(24)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은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2개의 은전극편(231, 232)은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용기덮개(22)의 돌출부(22a)에 거취된다. 따라서 용제용기(21) 내의 물에 잠기게 되며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가 작동하여 은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이온화된다. 이러한 2개의 은전극편(231, 232)은 고순도, 일례로 99.99% 정도의 순도를 갖는 순수한 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은의 순도는 완성될 은콜로이드용액의 약효성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등과도 관련된다.
아울러 후술하겠지만 2개의 은전극편(231, 232)은 제조되는 은콜로이드 용액의 농도를 자체 감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위와 같이 고순도의 은으로 제작하여 전도성이 좋게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회로(24)는 2개의 은전극편(231, 232)의 이온화를 위한 전극전압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인가하고 또 은전극편(231, 232)을 통해 이온화되는 농도를 감지하여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의 전체적인 진행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 제어회로(24)에 설명은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종보호덮개(25)는 제어회로(24)의 상부에 덮여지며 제어회로(24)를 보호하고 다수의 조종버튼(B1~B4) 및 디스플레이(L1~L5, 25d)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확인해 가며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이 디스플레이에는 은콜로이드 용액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에 장착되는 제어회로의 구성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어회로(24)는 입력조종단(241), 마이크로프로세서(242), 감지스위칭단(243) 그리고 출력전시단(24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입력조종단(241)은 조종보호덮개(25)상의 버튼들을 눌러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를 조종하게 되면 이러한 조종에 따라 조종신호를 생성하여 다음 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242)로 인가하게 된다. 조종보호덮개(25)상에서는 만들고자 하는 은콜로이드 용액의 농도성분을 선택하고 동작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고 동작을 멈추게 할 수도 있는데, 이 입력조종단(241)에서는 이러한 조종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후단의 마이크로프로세서(242)는 입력조종단(241)으로부터의 조종신호를 입력받아 각 은전극편(231, 232)에 인가하는 교대동작의 전원 스위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그리고 감지스위칭단(243)의 마지막 전원인가부분의 전류 흐름상태를 체크함으로써 이온화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감지스위칭단(243)은 마이크로프로세서(242)로부터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각은전극편(231,232)에 이온화전압을 인가하도록 스위칭(switching)함으로써 은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최초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가 작동되면 일단 두 은전극편(231, 232)에는 은이온화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잠시 물의 상태를 체크한다.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에는 증류수나 증류수에 가깝도록 철(Fe) 등의 물질이 녹아있지 않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이러한 기본용액에 철(Fe) 등의 성분이 녹아있으면 은콜로이드용액의 효험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는 최초 일정시간동안 두 은전극편(231, 232)의 전도상태를 받아들여 물의 상태를 측정하게 되며, 전도성이 기준치 이상으로 작용하여 물의 상태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면 조종보호덮개(25)에 경고(alarm)성의 점멸을 실시하고 부저를 울려 물을 교체하도록 알려준다. 따라서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는 적합한 상태의 물에서 은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감지스위칭단(243)은 각 은전극편(231,232)으로 출력하는 전류의 흐름상태를 마이크로프로세서(242)로 인가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242)에서 본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를 위한 동작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감지스위칭단(243)은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시간씩 번갈아 가며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에 다수의 스위칭소자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그 스위칭을 제어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TR과 저항 R을 다수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나 실리콘 스위칭소자인 SCR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전시단(244)은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과정 등에 따른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42)로부터 입력받아 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초기 설정된 상태로 은콜로이드 용액이 제조 완성되면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러한 제어회로 출력전시단(244)의 작동은 도 4와 같은 조종보호덮개(25)의 상부에 전시되어 출력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의 조종보호덮개의 상세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보호덮개(25) 상단에는 디스플레이창(25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창(25d)에는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가 동작하는 상황 및 시간 등을 자세히 전시해 준다. 아울러 에러발생시 에러발생 상황을 나타내고 처음 전원을 인가하고 나면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의 동작진행에 대한 간단한 메시지도 나타내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조종보호덮개(25)에는 5개의 LED(L1∼L5) 창이 있다. 이 중 4개의 LED(L1∼L4)는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준다. 즉 은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가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4개의 LED(L1∼L4)가 모두 켜진(on) 후에 1/4정도 완성도를 보이면 4번째 LED(L4)가 꺼지고(off) 이후 1/4정도의 제조경과를 보일 때마다 L3, L2가 각각 꺼지고(off), 은콜로이드용액이 완성되는 경우 마지막 LED(L1)이 꺼지도록 작동한다. 시간적으로 설정할 경우는 은콜로이드 용액을 완성시키는 데 60분 정도가 소요되는 경우 45분, 30분 그리고 15분 순으로 소등(off)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단의 LED(L5)를 점등(on)시킴으로써 용액이 완성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점등과정은 첫 번째 LED(L1)부터 차례로 작동시켜 점차 모든 LED(L1∼L5)가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시간별로 작동시키도록 변경하여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LED(L1∼L5) 창 우측으로는 소리구멍(25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리구멍(25h)은 제어회로(24)의 부저가 울릴 경우 그 소리를 외부로 울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소리구멍(25h)을 통해 부저소리를 듣게 됨으로써 은콜로이드용액이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종보호덮개의 하단부에는 조종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첫 번째 버튼(B1)은 시작/중지(start/stop)버튼이고, B2는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mode sel) 버튼이다. 즉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auto) 모드와 하나 하나 설정해 가는 수동(manual)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B3는 셋(set)버튼이고 B4는 리셋(reset)버튼이다. B2의 모드 조정 후 세트와 리세트를 시킴으로써 시간적 설정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용액의 완성도에 따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LED(L1∼L5)의 점멸을 하향식 또는 상향식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조기에서는 은전극(은봉)에 계속 고정된(fixed)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였기 때문에 은봉의 소모(이온화)가 서로 차이가 생겨 하나의 은봉만 많이 닳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해당 극에서 발생하는 분해가스로 인해 부식에도 각 은봉에 차이가 있으며, 결국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에 핵심이 되는 은의 성분과 은의 이온화과정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못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두 은전극편(231, 232)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시간, 일 예로 3분 정도씩 서로 교대로 인가하기 때문에 종래 제조기에서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인가시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은콜로이드 용액의 성분을 높이는 효과로 작용하게 된다.
아울러 각 은전극편(231, 232)에 흐르는 전원상태를 감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은콜로이드용액의 이온화농도를 감지하는 상태가 되어 본 은콜로이드용액 제조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시간설정에 의해 물리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따른 은이온화농도의 부정확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은콜로이드용액의 핵심사항인 이온화농도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아울러 이것은 은콜로이드용액의 약효적인 작용과도 관련되는 문제이므로 그 중요성은 매우 큰 것이라 할 수 있다.
은이온화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은전극편(231, 232)을 통하지 않고 새롭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은의 이온화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은전극편의 수도 필요에 따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본 고안의 기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으로 사용되는 은전극편에 전원을 교대로 인가시키고 그 농도를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종래 제조기에서 문제시되었던 은의 이온화농도와 전극소모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은이온화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분이 뛰어난 은콜로이드 용액을 제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은콜로이드 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일정량의 용액을 수용하도록 일정 부피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용제용기;
    상기 용제용기의 상단 개구를 덮는 용기덮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상기 용기덮개에 거취되어 상기 용제용기 내의 물에 잠기며 상기 은콜로이드 용액의 제조과정에서 이온화되는 2개의 은전극편;
    상기 2개의 은전극편의 이온화를 위한 전극전압을 일정시간씩 교대로 인가하고 이온화되는 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의 전체적인 진행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제어회로를 보호하고 상기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조정하는 조종보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조종보호덮개의 조종에 따른 조종신호를 생성하여 입력하는 입력조종단;
    상기 입력조종단으로부터의 조종신호에 따라 상기 2개 은전극편의 이온화를 위한 교대동작의 전원 스위칭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2개 은전극편으로부터의 이온화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과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2개 은전극편에 이온화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2개 은전극편으로 출력하는 전류의 흐름상태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하는 감지스위칭단;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은콜로이드용액의 제조과정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전시하는 출력전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보호덮개는
    본 장치의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다수의 LED창(L1~L5) 및 디스플레이창(25d)과;
    동작 모드를 입력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종버튼(B1~B4)과;
    제어회로(24)의 부저가 울릴 경우 그 소리를 외부로 알리는 소리구멍(25h)을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KR2020010038597U 2001-12-14 2001-12-14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KR200268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97U KR200268883Y1 (ko) 2001-12-14 2001-12-14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597U KR200268883Y1 (ko) 2001-12-14 2001-12-14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883Y1 true KR200268883Y1 (ko) 2002-03-16

Family

ID=7311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597U KR200268883Y1 (ko) 2001-12-14 2001-12-14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8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464A (ko) * 2002-05-24 2003-11-28 김부연 은이온수 제조기의 제어회로
KR20040025268A (ko) * 2002-09-19 2004-03-24 안정오 금 또는 은 용액제조기
KR101494969B1 (ko) 2012-08-09 2015-02-23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세정액 생성 장치, 세정액 생성 방법, 기판 세정 장치 및 기판 세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464A (ko) * 2002-05-24 2003-11-28 김부연 은이온수 제조기의 제어회로
KR20040025268A (ko) * 2002-09-19 2004-03-24 안정오 금 또는 은 용액제조기
KR101494969B1 (ko) 2012-08-09 2015-02-23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세정액 생성 장치, 세정액 생성 방법, 기판 세정 장치 및 기판 세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6398B2 (en) Oral cavity cleaning tool
CA2410342C (en)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4710282A (en) Device for siliverizing running water
KR200268883Y1 (ko) 은콜로이드 용액 제조기
JP2009022927A (ja) 還元水素水生成器
CN113253770A (zh) 一种杀菌消毒水发生装置控制方法及装置
CN207679254U (zh) 一种智能水杯
KR100761585B1 (ko) 급수 헤드
KR101298731B1 (ko) 구강 상처 치유 효과가 있는 가글액 제조기
JP4938524B2 (ja) 電解水生成装置
CN2926202Y (zh) 微电解能量活水素净化壶
JP2004505768A (ja) 金棒または銀棒を装着したイオン化装置
KR200432689Y1 (ko) 의료용 이온발생장치.
KR200287552Y1 (ko) 은이온수 제조기
KR200244988Y1 (ko) 금속이온수 생성장치
KR20110118893A (ko) 전해 산소 세면기
CN204918058U (zh) 紫外线净水杀菌模块装置
JP2007068748A (ja) 銀イオンと電気刺激による火傷や手術後の抗菌・殺菌の皮膚組織再生装置。
KR20050043094A (ko) 전자침 겸용 피부미용기기
KR102653782B1 (ko) 공기살균 기능이 있는 ai 인형
CN207856084U (zh) 一种半导体激光理疗仪
KR100776638B1 (ko) 금속 이온화 경향차를 이용한 족욕기
JPH0548904U (ja) 姿勢保持の警報装置
JP3195995U (ja) 水素濃度測定機能付き簡易型水素水生成器
KR20030090466A (ko) 은이온수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