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711Y1 - 깔대기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깔대기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711Y1
KR200268711Y1 KR2020010039859U KR20010039859U KR200268711Y1 KR 200268711 Y1 KR200268711 Y1 KR 200268711Y1 KR 2020010039859 U KR2020010039859 U KR 2020010039859U KR 20010039859 U KR20010039859 U KR 20010039859U KR 200268711 Y1 KR200268711 Y1 KR 200268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lag
funnel
conver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철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9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711Y1/ko

Links

Landscapes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로에서 출강작업 시, 초기에 유출되는 슬래그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로에서 잔류 슬래그 작업시 발생되는 출강구 형상의 변화에 따라 플러그의 모양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깔대기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머드(31)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 내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머드(31)는 플러그 전체의 3-5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제강공정에서 래들내 초기유출 슬래그를 다양한 형태로 변할수 있는 플러그를 이용함으로서 슬래그 유출방지로 용강의 P격외방지, 합금철 실수율향상 등의 산업상의 이용 효과를 얻게된다.

Description

깔대기형 플러그{A Plug of Corn Shape}
본 고안은 전로에서 출강작업 시, 초기에 유출되는 슬래그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로에서 잔류 슬래그 작업시 발생되는 출강구 형상의 변화에 따라 플러그의 모양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깔대기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로는 취련 종료후 용강을 수강하기 위한 용기로서 출강시에는 노내반응의 부산물로 생성된 전로 슬래그가 용강에 혼재되어 후공정에 악영향을 미치게된다.따라서 가능한 한 용강과 슬래그를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만약 래들내로 슬래그가 과다하게 유출될 경우에는 용강 품질의 저하는 물론, 슬래그중에 함유된 산소에 의해 출강중 강의 성분조정을 위한 각종 합금철의 실수율 저하 및 용강 탈산을 위해 투입되는 알루미늄의 산화손실 등이 뒤따르게 되며 슬래그중 인의 용강내 이동에 의한 P격외발생,래들내화물과 슬래그의 반응에 따른 래들 내화물 침식가중등이 발생하게 된다.
전로로부터 유출되는 슬래그는 전로에서 취련완료후 출강작업에 의한 전로 경동시 슬래그층이 출강구 상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초기유출 슬래그, 출강중 형성된 와류에 의해 용강상부에 떠있는 밀도가 가벼운 슬래그가 와류 중심부에 혼입되면서 유출되는 중기슬래그, 마지막으로 용강과 슬래그 계면이 출강구 상부에 거의 다다르는 시점에서 유출되는, 즉 출강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 유출되는 말기슬래그의 세가지로 구분할수 있다.
출강시 유입된 전체 슬래그의 양중에서 각각의 경우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종 시험의 결과에 따라서 초기 유입슬래그가 15%,중기가62%,말기가 23%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초기 슬래그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러그를 사용하게 되는데 전로 잔류 슬래그 코팅시 전로 출강구로 흐르는 슬래그가 출강구 전체에 붙어 둥근형태의 출강구 형상을 유지하다가, 슬래그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슬래그가 하부 부분에 많이 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타원형의 출강구로 형상이 변하면서 원뿔형의 플러그 이용시 출강구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출강작업으로 전로 경동작업 시 플러그가 사전에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큰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머드의 양을 증대시키고 안에 있는 플러그 본체를 깔대기 형태로 하고 그 안에 원뿔형의 플러그 내체를 설치하여 초기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깔대기형 플러그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전로의 조업은 전로(1) 원료인 용선,고철을 장입하고 상부에서 랜스(2)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여 용선중의 불순물을 태워 수요가가 요구하는 용강을 제조하여 래들(7)에 전로(1)를 경동하여 출강작업을 실시한다.그리고,출강작업이 완료되면 전로내의 일부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9)에 배제한 후 전로 상부에 설치된 노상호퍼(3)에 평량된 코팅제를 투입하여 잔류 슬래그 코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 슬래그 코팅을 전로노구에서 전로 출강구까지 왕복으로 움직이면서 슬래그를 조금씩 배제하면서 실시하기 때문에 출강구(5)로 슬래그를 배제할 경우에는 슬래그의 점도가 일정한경우에는 원형의 출강구 형상을 유지하지만 슬래그의 점도가 높거나, 전로경동을 많이한 경우에는 출강구에 슬래그(M)가 코팅되면서 형상이 타원형으로 변하게된다.
기존의 플러그는 원뿔형으로 제작되어 타원형으로 출강구에 삽입한 경우에는도 4의 나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플러그가 삽입되면서 전로 출강 작업시 57도에서 슬래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플러그가 57도~65도 사이에 나와 래들 내로 유출되면서 슬래그 유출에 의한 P격외발생,합급철 실수율저하등의 원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전로 출강 작업 중 초기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러그의 활용효율을 높임으로서 슬래그에 의한 용강의 P격외 방지와 합금철 실수율을 향상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전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출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잔류 슬래그 코팅작업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의 가는 일반적인 플러그 사용을 도시한 단면도, 나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단면도
제5도의 가는 머드형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 나는 철판형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난 단면도
제7도은 본 고안을 이용한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로 5:출강구 6:용강 7:래들 8:수강대차 9:슬래그포트 10:슬래그대차
11:출강구 금물 20:플러그본체 21:플러그구멍 23:지지부 24:머드
31:머드 32:깔대기형 플러그본체 33:플러그내체 M:슬래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머드(31)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 내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머드(31)는 플러그 전체의 3-5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의 플러그의 단점인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형태를 자유롭게 변하게 하기위해서 머드(31)를 플러그 전체부분의 30~50%를 점유하게 하고, 내부의 플러그 본체(32)부분을 깔대기형으로 설치하였고, 깔대기형 플러그 내부에 플러그 내체(33)를 설치하여 플러그의 형상이 자유자재로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그 코팅에 의해 슬래그(M)가 출강구(5)에 코팅되어 있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깔대형 플러그를 삽입하게 된다. 플러그를 삽입하고 깔대기형 플러그(32)의 내부에 설치된 플러그 내체(33)을 밀게되면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가 벌려지면서 머드(31)가 출강구의 타원형으로 된 부분에 메워지면서 도 7에 도시한바와 같이 출강구전체를 메워, 출장 작업중 노 경동작업 시 플러그가 래들(7)내에 도달되었을 때 빠지면서 초기 슬래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따라서 본고안은 제강공정에서 래들내 초기유출 슬래그를 다양한 형태로 변할수 있는 플러그를 이용함으로서 슬래그 유출방지로 용강의 P격외방지, 합금철 실수율향상 등의 산업상의 이용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2)

  1.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머드(31)와,
    상기 깔대기형 플러그 본체(3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 내체(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31)는 플러그 전체의 3-5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대기형 플러그.
KR2020010039859U 2001-12-24 2001-12-24 깔대기형 플러그 KR200268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59U KR200268711Y1 (ko) 2001-12-24 2001-12-24 깔대기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59U KR200268711Y1 (ko) 2001-12-24 2001-12-24 깔대기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711Y1 true KR200268711Y1 (ko) 2002-03-16

Family

ID=7311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59U KR200268711Y1 (ko) 2001-12-24 2001-12-24 깔대기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12B1 (ko) * 2007-12-28 2009-04-30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용 출강구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12B1 (ko) * 2007-12-28 2009-04-30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용 출강구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3301B2 (en) Method for slag coating of converter wall
US11898797B2 (en) Electric furnace
KR200268711Y1 (ko) 깔대기형 플러그
JP2007077483A (ja) 転炉製鋼法
CN1048562A (zh) 双流复合顶吹炼钢法及其氧枪
JP6888477B2 (ja) 上底吹き転炉型精錬装置、および溶銑の精錬方法
CN114622058A (zh) 一种转炉更换出钢口的方法
AU2005250081B2 (en) Tapping tube
CN104513879B (zh) 铁水的处理方法
JP6996311B2 (ja) 溶鋼の脱硫方法および脱硫設備
JP2001303122A (ja) スラグの流出防止のための転炉出鋼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498122B (zh) Ebt电弧炉冶炼镍不锈钢系列的方法
US4007035A (en) Method of using an expendable tap hole tuyere in open hearth decarburization
US6346212B1 (en) Converter
RU2003136330A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дуговой электропечи
KR100328938B1 (ko) 전로슬래그유출방지장치
Biswas et al. Iron-and Steel-Making Process
KR20010086764A (ko) 전로의 출강구 슬리브
JP2006274364A (ja) 精錬用容器で用いる底吹き羽口
RU2185446C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конвертере
SU1060685A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кислородном конвертере
RU2112045C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конвертере
SU1014912A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в конвертере
RU2131571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футеровку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агрегата или футеровку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SU996456A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