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54Y1 - 디지털 메트로놈 - Google Patents

디지털 메트로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54Y1
KR200268454Y1 KR2020010038938U KR20010038938U KR200268454Y1 KR 200268454 Y1 KR200268454 Y1 KR 200268454Y1 KR 2020010038938 U KR2020010038938 U KR 2020010038938U KR 20010038938 U KR20010038938 U KR 20010038938U KR 200268454 Y1 KR200268454 Y1 KR 200268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e
metronome
microprocessor
temp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Original Assignee
김수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관 filed Critical 김수관
Priority to KR2020010038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54Y1/ko
Priority to AU2002323837A priority patent/AU2002323837A1/en
Priority to PCT/KR2002/001532 priority patent/WO2003052528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5/00Apparatus for producing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use as timing standards
    • G04F5/02Metronomes
    • G04F5/025Electronic metrono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5/00Apparatus for producing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use as timing standards
    • G04F5/02Metronomes

Abstract

디지털 메트로놈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은, 각부에 필요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의 입출력에 의한 주제어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원의 턴온/턴오프, 턴온과 동시에 비트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메트로놈 모드, 리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메트로놈 모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는 제1 튜너 모드, 무음상태에서 튜닝을 수행하는 제2 튜너 모드, 및 음향을 대신하여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 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비트, 제2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리듬, 제1 튜닝 모드에 관련한 피치 각각에 대해 어느 하나의 해당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비트/리듬/피치 선택부; 및 제1 및 제2 메트로놈 모드 또는 제1 및 제2 튜너 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템포 또는 절대음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템포/절대음 선택부로 이루어진 기능선택부: 상기 기능선택부의 선택에 임의로 대응하여 튜닝 및 레코딩을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을 저장하는 레코딩모드, 저장된 음향을 재생시키는 재생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레코딩/재생 선택부; 및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부의 임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실행을 수행하는 실행부로 이루어진 레코딩 및 재생부: 상기 레코딩모드 실행시에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과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하는 음향신호처리부: 상기 음향신호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음향을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조합에 의해 해당 템포 및 비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절대음의 중앙점을 표시하는 템포/비트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향의 절대음 및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절대음의 음계를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와, 상기 선택된 템포, 리듬 및 비트와, 레코딩된 데이터의 재생시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와, 그리고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비트 및 리듬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진동부로 이루어진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간의 시청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비트 및 리듬을 전달받음으로써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코딩 모드를 통해 자신이 입력한 음향의 정확도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메트로놈, 튜닝, 진동 및 레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 집합시켜 사용의 다양성과 휴대의 용이성 및 각각의 구입에 따르는 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메트로놈{DIGITAL METRONOME}
본 고안은 디지털 메트로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트로놈, 튜닝, 진동 및 레코딩 모드를 지원하여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 메트로놈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기구식 메트로놈일 것이다. 이 기구식 메트로놈은 진자 운동을 하는 추를 조정하여 1분당 템포의 빠르기를 조정한다. 최근에는 전자식 메트로놈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임의의 설정속도를 갖고 점등되는 LED를 장착한 제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음악을 전문적인 업으로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는 메트로놈은 없어서는 안되는 제품이다. 또한, 성악가 및 악기로부터 나오는 음향을 조절하기 위해 튜닝을 수행하는데 튜너도 필수 요건사항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상기한 메트로놈과 튜너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어 있어 휴대에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메트로놈과 튜너를 일체로 제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튜너가 일체로 형성된 메트로놈의 경우에는 음악을 전공한 이에게 휴대의 편리성과 메트로놈의 기능 및 튜닝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성악가나 연주자가 연습에 임하기 전에 튜닝을 수행한 후에는 사실상 튜너의 기능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어 그 기능에 한계성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습중에 자신이 행한 음 및 템포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메트로놈은 성악가 및 연주자에게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 연습 결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레코딩장치를 마련하여 연습과정을 레코딩시킨 후 추후에 이를 메트로놈과 비교함으로써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메트로놈은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도움을 줌으로써 실제 연주에 임하게 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트로놈 및 튜닝 모드에서 음향의 레코딩이 가능하고, 튜닝시 절대음의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며, 메트로놈 모드의 비트 및 리듬을 진동으로 대체하는 진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메트로놈, 튜닝, 진동 기능과 레코딩 기능을 조합시킴으로써 인간의 시청각 및 촉각을 이용한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음향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메트로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은, 각부에 필요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의 입출력에 의한 주제어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원의 턴온/턴오프, 턴온과 동시에 비트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메트로놈 모드, 리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메트로놈 모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는 제1 튜너 모드, 무음상태에서 튜닝을 수행하는 제2 튜너 모드, 및 음향을 대신하여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 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비트, 제2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리듬, 제1 튜닝 모드에 관련한 피치 각각에 대해 어느 하나의 해당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비트/리듬/피치 선택부; 및 제1 및 제2 메트로놈 모드 또는 제1 및 제2 튜너 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템포 또는 절대음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템포/절대음 선택부로 이루어진 기능선택부: 상기 기능선택부의 선택에 임의로 대응하여 튜닝 및 레코딩을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을 저장하는 레코딩모드, 저장된 음향을 재생시키는 재생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레코딩/재생 선택부; 및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부의 임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실행을 수행하는 실행부로 이루어진 레코딩 및 재생부: 상기 레코딩모드 실행시에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과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하는 음향신호처리부: 상기 음향신호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음향을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조합에 의해 해당 템포 및 비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절대음의 중앙점을 표시하는 템포/비트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향의 절대음 및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절대음의 음계를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와, 상기 선택된 템포, 리듬 및 비트와, 레코딩된 데이터의 재생시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와, 그리고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비트 및 리듬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진동부로 이루어진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절전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음향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로우레벨신호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차단부가 음향 입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급되는 로우전압을 감지하는 로우전압감지부를 더 접속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는 피에조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지털 메트로놈 102 : 템포/비트 표시부
104 : 스피커 106 : 마이크로폰
108 : 절대음 표시부 110 :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
112 : 모드 선택스위치 114 : 볼륨조절다이얼
116 : 이어폰 접속단자 118 : DC입력단자
120 :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 122 : 실행스위치
124 :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 130 : 마이크로프로세서
134 : 배터리 138 : 전원차단부
140 : 로우전압감지부 142 : 음향신호처리부
144 : 메모리 148 : 진동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의 정면 상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포 및 리듬에 대응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튜닝시 절대음의 높고 낮음에 대한 정확성을 디스플레이하는 템포/비트 표시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102) 아래에는 선택된 템포, 리듬 및 비트와, 레코딩된 데이터의 재생시 이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04)가 마련되며, 상기 스피커(104) 옆에는 튜닝 및 레코딩을 위한 음향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폰(1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04) 아래에는 튜닝시 디지털 메트로놈(100)에서 출력되는 절대음 및 마이크로폰(106)을 통해 입력된 해당 절대음을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108)가 마련되며, 상기 절대음 표시부(108) 아래에는 템포 및 절대음을 선택할 있도록 템포 및 절대음 챠트가 회전식으로 도안되어있으며, 상기 템포 및 절대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102) 및 절대음 표시부(108)는 LED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비트 및 절대음을 고려한 8개의 LED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의 우측면에는, 전원 온/오프, 제1 메트로놈 모드, 제2 메트로놈 모드, 제1 튜너 모드, 제2 튜너 모드 및 진동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드식 모드 선택스위치(112)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112) 아래에는 상기 스피커(104)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회전식 볼륨조절다이얼(114)이 마련되며, 상기 볼륨조절다이얼(114) 아래에 이어폰을 삽입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이어폰 접속단자(116)가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접속단자(116) 아래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어댑터의 잭이 삽입되는 DC입력단자(1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의 좌측면에는,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112)에서 선택된 임의의 모드 선택에 대응한 비트, 리듬 및 피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드식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 아래에는 음향의 저장, 저장된 음향의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스위치(122)가 마련되고, 상기 실행스위치(122) 아래에는 음향을 저장하는 레코딩모드, 저장된 음향을 재생시키는 재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수납홈 및 커버(126)가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을 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탠드(12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30)를 중심으로 각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가 접속되게 되는데, 먼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로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측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비트, 리듬, 피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고, 전원의 턴온/턴오프와, 턴온과 동시에 비트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메트로놈 모드와, 리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메트로놈 모드와,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100) 자체로부터 출력된 튜닝음에 따라 튜닝을 수행하는 제1 튜너 모드와, 무음상태에서 튜닝을 수행하는 제2 튜너 모드와, 그리고 음향을 대신하여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모드 선택스위치(112)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며, 템포 및 절대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고, 음향의 레코딩 및 저장된 음향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며,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의 임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실행을 수행하는 실행스위치(122)가 상기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어 각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제어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가된 바이어스에 의해 음향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106)과, 상기 마이크로폰(106)으로 입력되는 음향을 증폭시켜 구형파를 출력시키는 증폭부(132)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100)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배터리(134)가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134)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설정전압, 예를 들어 5V 직류전원으로 다운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130)를 포함하는 각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전압제어부(136)가 상기 배터리(134)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원의 턴온/턴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1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106)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이 설정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판단하여 전원차단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전압제어부(136)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차단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차단부(138)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는데, 상기 전원차단부(138)는 음향의 입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폰(106)과 증폭부(13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부(136)에는 공급되는 전원, 특히 배터리(134)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경보시키기 위한 로우전압감지부(140)가 접속되며, 이 로우전압감지부(14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로우전압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어뎁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DC입력단자(118)가 상기 전압제어부(136)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코딩모드에서 실행스위치(122)가 눌려질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폰(106)으로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폰(106)과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어 입력된 음향에 대한 증폭 및 과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전달하기 위해 음향신호처리부(142)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음향신호처리부(142)로부터 처리된 음향을 저장시키기 위해 메모리(144)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입력신호에 대해 마이크로프로세서(1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해당 제어가 이루어지는 출력측 제어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 모드 선택스위치(112),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의 선택값의 조합에 의해 템포 및 비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절대음의 중앙점을 표시하는 템포/비트 표시부(102)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고, 상기 디지털 메트로놈(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및 마이크로폰(106)으로 입력되는 음향의 절대음 위치를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108)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볼륨조절다이얼(114)에 연결된 볼륨조절부(146)가 접속되며, 상기 볼륨조절부(146)에는 음향을 출력시키는 스피커(104)가 접속됨과 동시에 출력되는 음향을 이어폰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이어폰 접속단자(11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102)에서 비트 및 리듬이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대응하여 비트 및 리듬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148)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진동부(148)는 모터 등을 이용한 이미 공지된 통상의 진동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피에조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메트로놈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100)의 주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44개의 입출력단을 구비하여 각 제어회로와 접속되어 제어가 이루어진다.
먼저, 음향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는 마이크로폰(106)과, 상기 입력된 음향을 증폭하여 구형파를 생성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40번 단자로 입력하는 증폭부(132)로 이루어지는데, 음향을 받아들이기 위한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제10 저항(R10) 내지 제12 저항(R12)과, 제10 캐패시터(C10) 및 제11 캐패시터(C11)를 마련하여 일단이 접지된 마이크로폰(106)의 타단에 상기 제10 저항(R10) 내지 제12 저항(R12)과, 제11 캐패시터(C11)의 일단을 접속시키고 있다. 여기에 상기 증폭부(132)는 제11 증폭기(IC11)와, 상기 제11 증폭기(IC11)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제12 증폭기(IC1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1 캐패시터(C11)에서 제13 저항(R13)을 게재하여 제12 증폭기(IC12)의 반전단자에 일단이 접속되고 제12 증폭기(IC12)의 비반전단자는 접지되는 제15 저항(R15) 및 제13 캐패시터(C13)를각각의 일단을 접속하여 제11 증폭기(IC11)의 반전단자에 접속시키고 있다. 한편, 제12 증폭기(IC12)의 출력단과 상기 제13 저항(R13)과 제12 증폭기(IC12)의 반전단자와의 접점 사이에 제14 저항(R14)과 제12 캐패시터(C12)를 병렬연결하여 피드백시키고 있다. 또한, 제12 증폭기(IC12)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6 저항(R16)과 접지된 제14 캐패시터(C14)와의 접점을 제11 증폭기(IC11)의 비반전단자에 접속시키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음향출력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1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1 트랜지스터(Q11)의 이미터 단자에 가변저항을 접속시키고 상기 가변저항(VR)을 제12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단자에 접속시켜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트랜지스터(Q12)의 컬렉터단자에 음향출력이 이루어지는 스피커(104) 및 이어폰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이어폰 접속단자(11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06) 및 스피커(104)를 비롯한 각 제어회로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의 공급은 직류공급원인 배터리(134)에서 이루어지거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해 어뎁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DC입력단자(118)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터리(134) 및 DC입력단자(118)는 전원의 턴온/턴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선택스위치(112)를 게재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디지털 메트로놈(100)에서필요한 5V전원으로 다운시켜 공급하기 위해 전압강하를 수행하는 전압제어부(136)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압제어부(136)에는 상기 마이크로폰(106)에 입력되는 음향이 없을 경우에, 예를 들어 2분동안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턴오프시킴으로써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전원차단부(138)가 마련된다. 이 전원차단부(138)는 상기 전압제어부(136)에 이미터단자가 접속되고 컬렉터단자가 마이크로폰(106)에 접속되며 베이스단자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43번 단자에 접속되는 제10 트랜지스터(Q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부(136)의 전압을 체크하여 로우전압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제28 저항(R28)과 제29 저항(R29)으로 이루어진 로우전압감지부(140)가 상기 전압제어부(136)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1번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원의 턴온/턴오프와, 턴온과 동시에 비트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메트로놈 모드와, 리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메트로놈 모드와, 디지털 메트로놈(100) 자체로부터 출력된 튜닝음에 따라 튜닝을 수행하는 제1 튜너 모드와, 무음상태에서 튜닝을 수행하는 제2 튜너 모드와, 그리고 진동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드식 모드 선택스위치(112)가 상기 전압제어부(136)와 배터리(134) 사이에 접속되게 되는데, 이 모드 선택스위치(112)는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의 제2번 단자 내지 제6번 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14번 단자 내지 제18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112)의 임의의 모드 선택에 대응한 비트, 리듬 및 피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드식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는 상기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의 제1번 단자 내지 제5번 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13번 단자 내지 제17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드 선택스위치(112)와 비트/리듬/피치 선택스위치(120)의 선택에 대응하여 템포 및 비트를 표시하는 템포/비트 표시부(102)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20번 단자 및 제21번 단자의 수평배선과 제23번 단자 내지 제30번 단자의 수직배선 사이에 LED(L30∼L37)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20번 단자에 접속되는 LED와 제21번 단자에 접속되는 LED는 서로 다른 색을 발현시킨다. 한편, 음향의 입출력에 대해 해당 절대음을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108)가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22번 단자의 수평배선과 제23번 단자 내지 제30번 단자의 수직배선 사이의 교차점에 LED(L40∼L47)를 배열시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7번 및 제8번 단자에는 수정발진자(150)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를 포함하는 각 제어회로의 이상동작시에 리셋을 수행하기 위해 제12번 단자에는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리셋부(152)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19번 단자에는 비트 및 리듬 등의사용자의 선택값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48)가 접속되어 있다. 진동부(148)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디지털 메트로놈(100) 본체내에 장착하여 본체 자체를 진동시키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제19번 단자에 접속되는 피에조소자를 포함하는 진동부(148)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를 인체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06)으로 입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거나, 과입력된 음향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폰(106)에는 음향신호처리부(142)가 접속되는데, 구체적으로 입력된 음향은 음향신호처리부(142)의 제20번 단자로 입력되어 상기 음향신호처리부(142)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신호처리된 음향신호는 제23번 단자로 출력되어 다시 제24번 단자로 입력되게 된다. 이후, 제17번 단자로 출력되어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는 스피커(104)로 음향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에, 입력된 음향신호를 저장시키기 위해 메모리(144)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44)를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접속시키고 있으나, 상기 음향신호처리부(142)에 직접 연결시켜 음향의 레코딩 및 재생이 별도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여기에, 상기 음향신호처리부(142)에는 제5번 및 제6번 단자에 레코딩 및 재생을 위한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가 연결되게 되며,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실행스위치(122)가 제1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행스위치(122)의 입력에 대응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는 제50 발광다이오드(L50)가 제3번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별 동작상태를 모드별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 메트로놈 모드를 선택하면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템포에 해당하는 속도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LED가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점등의 속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템포가 정하는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우측끝 및 좌측끝에 위치하는 LED에서 선택된 비트에 해당하는 음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LED를 통해 붉은색을 발현시키게 된다. 상기 비트는 0, 2, 3, 4, 5, 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2/2박자, 3/4박자, 4/4박자, 5/4박자, 6/8박자에 대응하여 첫박자의 시작되는 비트에서 비트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즉, 2를 선택하게 되면 최초 시작되는 좌측끝에서 붉은색을 발현하고 우측끝으로 이동하고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측끝에서 다시 한번 붉은색을 발현하게 된다. 즉 2번의 붉은색 발현 및 비트음이 출력되게 된다. 결국, 좌측끝에서 우측끝으로, 또는 우측끝에서 좌측끝으로 이동하는 주기를 1주기라 정의하면 2는 2주기마다 한번씩의 비트음 출력 및 붉은색 발현이 이루어지게 되며, 3은 3주기마다 한번씩, 4는 4주기마다 한번씩, 5는 5주기마다 한번씩. 6은 6주기마다 한번씩 동일한 비트음을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제2 메트로놈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템포에 해당하는 속도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LED가 순차적으로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점등의 속도는상기한 바와 같이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템포가 정하는 속도로 이동하게 되고, 우측끝 및 좌측끝에 위치하는 LED에서 붉은색을 발현시킴과 동시에 1주기동안에 해당 리듬을 음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4분음표는 1주기동안에 1번의 리듬이 출력되고, 8분음표는 2번, 셋잇단음표는 3번, 16분 음표는 4번의 리듬이 출력되게 된다. 즉, 1박자로 정의된 리듬을 해당 템포에 맞춰 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튜닝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절대음이 출력되게 된다. 이 때, 피치를 440 내지 445 범위내에서 선택하여 주파수를 고려한 튜닝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이 지시하는 절대음이 절대음 표시부(108)에 해당 절대음의 위치의 LED에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LED의 점등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현재 출력되는 음향의 절대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템포/절대음 선택다이얼(110) 아래에 작은 폰트(font)로 도안된 템포 및 절대음 챠트를 보지 않고도 해당 절대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절대음 선택에 용이함을 짐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 제2 메트로놈 모드, 제1 튜닝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를 레코딩모드로 선택한 후 실행스위치(12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 제2 메트로놈 모드, 제1 튜닝 모드의 각 기능을 수행하면서 마이크로폰(106)으로 입력되는 음향을 메모리(144)에 저장시키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비트, 리듬, 튜닝 절대음이 포함된 레코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레코딩된 데이터를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스위치(124)를 재생모드로 전환하여 실행스위치(122)를 누름으로써 레코딩된 음향을 재생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튜너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 제2 메트로놈 모드, 제1 튜닝 모드에서 진행되는 레코딩과 달리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 제2 메트로놈 모드, 제1 튜닝 모드에서 출력되는 비트, 리듬, 튜닝 절대음이 출력되지 않고 레코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입력되는 음향의 절대음이 템포/비트 표시부(102) 및 절대음 표시부(108)에 동시에 표시되게 된다. 즉, 템포/비트 표시부(102)는 입력되는 음의 절대음 여부를 중앙부에 표시하게 되어 절대음에서 벗어난 경우 좌우로 LED를 발현시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음성 및 악기음를 절대음으로 유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절대음의 음역(음계)을 절대음 표시부(108)에 표시하여 해당 음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진동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진동으로서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트음의 출력 대신에 진동을 출력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모드가 제1 메트로놈 모드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으나, 제2 메트로놈 모드인 리듬을 진동으로 출력시키는 응용이 가능함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메트로놈은, 인간의 시청각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상황에서의 연습시에 착용 및 진동부를 부착하여 비트 및 리듬을 느끼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음악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코딩을 통해 자신이 입력한 음향의 정확도를 청취할 수 있다. 게다가, 비트 및 리듬이 지원되는 상태일 경우에는 해당 비트 및 리듬과 동시녹음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음향과의 일치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비트 및 리듬이 지원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향의 절대음의 정확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음향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이 없을 경우에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메트로놈, 튜닝, 진동 및 레코딩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 집합시켜 사용의 다양성과 휴대의 용이성 및 각각의 구입에 따르는 구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각부에 필요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의 입출력에 의한 주제어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전원의 턴온/턴오프, 턴온과 동시에 비트와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메트로놈 모드, 리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메트로놈 모드, 출력되는 음향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는 제1 튜너 모드, 무음상태에서 튜닝을 수행하는 제2 튜너 모드, 및 음향을 대신하여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 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제1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비트, 제2 메트로놈 모드에 관련한 리듬, 제1 튜닝 모드에 관련한 피치 각각에 대해 어느 하나의 해당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비트/리듬/피치 선택부; 및 제1 및 제2 메트로놈 모드 또는 제1 및 제2 튜너 모드 선택에 대응하여 템포 또는 절대음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템포/절대음 선택부로 이루어진 기능선택부:
    상기 기능선택부의 선택에 임의로 대응하여 튜닝 및 레코딩을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을 저장하는 레코딩모드, 저장된 음향을 재생시키는 재생모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레코딩/재생 선택부; 및 상기 레코딩/재생 선택부의 임의의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실행을 수행하는 실행부로 이루어진 레코딩 및 재생부:
    상기 레코딩모드 실행시에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시키거나 과입력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입력하는 음향신호처리부:
    상기 음향신호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음향을 저장시키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조합에 의해 해당 템포 및 비트를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절대음의 중앙점을 표시하는 템포/비트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향의 절대음 및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절대음의 음계를 표시하는 절대음 표시부와, 상기 선택된 템포, 리듬 및 비트와, 레코딩된 데이터의 재생시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와, 그리고 상기 템포/비트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비트 및 리듬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진동부로 이루어진 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메트로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절전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음향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로우레벨신호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차단부가 음향 입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메트로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에는 공급되는 로우전압을 감지하는 로우전압감지부를 더 접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메트로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피에조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메트로놈.
KR2020010038938U 2001-12-17 2001-12-17 디지털 메트로놈 KR200268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38U KR200268454Y1 (ko) 2001-12-17 2001-12-17 디지털 메트로놈
AU2002323837A AU2002323837A1 (en) 2001-12-17 2002-08-09 Digital metronome
PCT/KR2002/001532 WO2003052528A1 (en) 2001-12-17 2002-08-09 Digital metron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938U KR200268454Y1 (ko) 2001-12-17 2001-12-17 디지털 메트로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54Y1 true KR200268454Y1 (ko) 2002-03-18

Family

ID=1971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938U KR200268454Y1 (ko) 2001-12-17 2001-12-17 디지털 메트로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68454Y1 (ko)
AU (1) AU2002323837A1 (ko)
WO (1) WO2003052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09B1 (ko) * 2004-12-21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트로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9132A1 (en) 2002-11-27 2004-05-27 Parsons Christopher V. Tactile metronome
JP4520770B2 (ja) * 2003-05-27 2010-08-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式メトロノーム
US7385128B2 (en) 2004-12-06 2008-06-10 Tailgaitor, Inc. Metronome with projected beat image
WO2006127365A2 (en) * 2005-05-26 2006-11-30 Solutions For Thought, Llc Wearable and repositionable vibrating metronome
US7285101B2 (en) 2005-05-26 2007-10-23 Solutions For Thought, Llc Vibrating transducer with provision for easily differentiated multiple tactile sti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885A (ja) * 1984-10-20 1986-05-1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メトロノ−ム
FR2706641B1 (fr) * 1993-06-11 1995-09-08 Jabs Gerard Dispositif indicateur de rythmes, tel qu'un métronome.
US5515764A (en) * 1994-12-30 1996-05-14 Rosen; Daniel Harmonic metronome
KR20010081718A (ko) * 2000-02-18 2001-08-29 김미향 악보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09B1 (ko) * 2004-12-21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트로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2528A1 (en) 2003-06-26
AU2002323837A1 (en) 200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6180A1 (en) Guitar and accompaniment apparatus
KR200268454Y1 (ko) 디지털 메트로놈
JPH04294394A (ja) 電子楽器
JP6784320B2 (ja) 再生システム
JPH05157578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レベルメータ
US20020111703A1 (en) Musician's practice recorder
JP2008242285A (ja) 演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JPH1055174A (ja) 指揮棒および楽音再生装置
JP2014035436A (ja) 音声処理装置
KR20170097035A (ko) 음성 휴대기기 표시장치
JPH0580693A (ja) カラオケ音響装置
JP3320009B2 (ja) カラオケ装置
JPH0425760Y2 (ko)
US5451712A (en) Positional effect sound generation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4641568B2 (ja) 表示装置
JPH05259784A (ja) 音響装置
US20040000226A1 (en) Electronic metronome
KR0146596B1 (ko)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JPH08146977A (ja) カラオケ装置
JPH0142878Y2 (ko)
JP3343958B2 (ja) 音像定位制御装置
JP2004086140A (ja) 耳装着装置および電子メトロノーム
JP2002006069A (ja) 音響出力機能付時計
JP2003316354A (ja) メトロノーム付きチューナ
KR0125593B1 (ko) 문자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