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44Y1 -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44Y1
KR200268444Y1 KR2020010038854U KR20010038854U KR200268444Y1 KR 200268444 Y1 KR200268444 Y1 KR 200268444Y1 KR 2020010038854 U KR2020010038854 U KR 2020010038854U KR 20010038854 U KR20010038854 U KR 20010038854U KR 200268444 Y1 KR200268444 Y1 KR 200268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wall
excretion
space
cover
excre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희 filed Critical 최경희
Priority to KR202001003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44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 동물을 동반한 외출이나 여행시 휴대가 간편한 휴대형 배설 기구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배설 기구는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갖춘 배설부와,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공간을 갖추고 상기 배설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설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덮인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 가능한 잠금 수단과,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개방 상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PORTABLE APPARATUS FOR DISPOSING PET DROPPINGS}
본 고안은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완 동물을 동반한 외출이나 여행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에서 기르는 개와 같은 애완 동물은 주인의 반복적인 교육을 통해 물로 쉽게 세척될 수 있는 목욕탕이나 화장실 등에서만 배설하도록 훈련되거나, 거실에서는 철망이 깔린 용기나 단순한 형태의 플라스틱 쟁반에 배설하도록 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목욕탕이나 화장실 바닥, 용기 또는 쟁반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배설물을 제거할 때 배설물을 집어내기 위해 휴지를 멀리서 가져와야 하고, 배설물을 버린 후에도 매번 바닥이나 용기를 물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애완 동물과 함께 여행을 가거나 장시간 외출을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훈련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용기와 쟁반 등을 직접 들거나 가방 내에 휴대하고 외출할지라도, 이는 외관상 좋지 않고 휴대하기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여 배설물의 처리가 간편하고, 세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휴대 이동이 간편한 애완 동물용 배설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의 덮개가 개방되고 배설함과 휴지 고정 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선 A-A를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상태에 있는 배설 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의 덮개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설 기구
2 : 배설부
3 : 덮개
4 : 배설함
5 : 롤휴지
6 : 휴지 걸이 수단
7 : 휴지 안내부
8 : 잠금 수단
9 : 해제 기능부
10 : 개방 상태 유지 수단
11 : 휴지 고정 수단
12 : 손잡이
13 : 경첩
14 : 다리부
15 : 제1 관통 홈
16 : 제2 관통 홈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갖춘 배설부와,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공간을 갖추고 상기 배설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설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덮인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 가능한 잠금 수단과,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개방 상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공간 내부에 롤휴지를 걸 수 있는 수단을 더 갖추고 있으며, 상기 덮개는 롤휴지로부터 풀린 휴지가 덮개의 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배설부의 바닥벽에 비교적 인접하게 안내되어 전체 바닥벽에 고루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휴지 안내부를 상기 롤휴지 걸이 수단의 하류측에 더 갖출 수도 있다.
배설 기구는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3 공간을 갖추고 상기 배설부의 제1 공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안치되는 별도의 배설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설함과 상기 배설부는 측벽 상에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홈 및 제2 관통 홈을 각기 갖추고, 상기 배설함이 상기 배설부에 수용될 때 상기 배설함의 제2 관통 홈은 상기 배설부의 제1 관통 홈과 정합하며, 상기 배설함의 바닥벽에 적재된 휴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휴지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설 기구는 상기 배설부와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벽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휴대형 배설 기구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배설함이 배설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배설함이 배설부에 안치되면 애완 동물이 배설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의 배설 기구는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나 이러한 오물을 처리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되는 다른 용도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휴대형 배설 기구(1)는 배설부(2)와, 덮개(3)와, 해제 가능한 잠금 수단(8)과, 개방 상태 유지 수단(10)을 포함한다.
배설부(2)는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형성되는 제1 공간을 갖고, 이 공간 내에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다. 배설부(2)의 바닥벽의 외부 표면은 사용시 지면과 접촉하여 배설 기구(1)의 기부 표면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형성되고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3 공간을 갖춘 배설함(4)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배설함(4)은 상기 배설부(2)의 제1 공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안치된다. 이러한 별도의 배설함(4)을 사용하면, 계속되는 배설물 처리로 인해 바닥벽이 오염되었을 때. 배설 기구(1)에 일체로 형성된 배설부(2) 대신에 배설함(4) 만을 배설 기구(1)로부터 분리하여 물로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간편하다는 잇점이 있다.
덮개(3)는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형성되는 제2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이 공간 내에 휴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는 절첩 수단을 이용하여 배설부(2)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배설 기구(1)를 사용하지 않거나 휴대 이동시 배설부(2)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절첩 수단은 일반적인 경첩(13)을 이용하여 덮개(3) 및 배설부(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절첩 수단이 배설부(2)에 대한 덮개(3)의 개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덮개(3) 내부에는 롤휴지(5)를 걸 수 있는 휴지 걸이 수단(6)이 덮개(3)의 좌우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배설 기구(1)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3)를 개방하고 롤휴지(5)로부터 휴지의 일단을 잡아 당겨 배설부(2)의 바닥벽에 깔 때, 롤휴지(5)로부터 풀려진 휴지가 배설부(2) 또는 배설함(4)의 바닥벽의 전체에 걸쳐 들뜨지 않고 고르게 깔려질 수 있도록, 휴지를 배설부(2)의 바닥벽으로 안내하는 휴지 안내부(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휴지 걸이 수단(6)은 덮개(3) 내부의 좌우 측벽에 각기 나사로 고정되는 두 개의 가요성 걸이부를 포함한다. 가요성 걸이부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롤휴지(5)의 장착은 롤휴지(5)를 걸이부에 대항하여 압박하고 이때 가요성 걸이부가 탄성에 의해 롤휴지(5)의 중심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다양한 종류의 휴지 걸이 수단(6)이 덮개(3) 내부에 롤휴지(5)를 롤링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본 실시예에서 휴지 안내부(7)는 일반적인 봉이나 막대 형상이며, 덮개(3)의 바닥벽에 평행하게 바닥벽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고 양 단부가 나사를 이용하여 덮개(3)의 좌우 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휴지 안내부(7)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좌우 측벽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이 측벽에 대향하는 다른 측벽을 향하여 덮개(3)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고 소정의 길이 만큼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닥벽과 휴지 안내부(7) 사이의 휴지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설부(2)는 덮개(3)의 개방시, 개방된 덮개(3) 및 그에 포함된 다른 구성 부품, 즉 롤휴지(5), 휴지 걸이 수단(6), 휴지 안내부(7), 손잡이(12) 등의 무게에 의해 배설부(2)의 외부 바닥면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더 큰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설부(2) 바닥벽의 기부 표면에는 기구 사용시 지면에 대한 배설 기구(1)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지면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드(도시 생략)가 접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해제 가능한 잠금 수단(8)은 덮개(3)가 배설부(2)를 덮은 상태에서 덮개(3) 및 배설부(2)의 서로 맞닿는 한 쌍의 측벽들 상에 형성되어, 덮개(3) 및 배설부(2)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설 기구(1)를 폐쇄시키고, 해제 기능부(9)에 의해 덮개(3) 및 배설부(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배설 기구(1)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개방 상태 유지 수단(10)은, 덮개(3)의 제2 공간 내의 좌우 측벽 중 한쪽 측벽에 하나의 단부가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배설 기구(1)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한쪽 측벽과 맞닿는 배설부(2)의 제1 공간 내의 좌우 측벽 중 한 측벽에 다른 단부가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링크로 구성된다. 두 개의 링크는 적정한 개방 상태에 이르면 서로 일직선을 이루고, 이로써 덮개(3)는 배설부(2)에 대하여 상기의 적정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애완 동물이 배설하기 위해 상기 배설부(2) 또는 배설함(4)에 올라앉을 때나 그로부터 나올 때, 또는 배설시 애완 동물의 움직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덮개(3)가 임의로 닫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또한, 다른 다양한 종류의 개방 상태 유지수단(10)이 배설부(2)에 대한 덮개(3)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배설 기구(1)는 상기 배설부(2) 또는 배설함(4)의 바닥벽에 깔려진 휴지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애완 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닥벽 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아암을 갖는 하나 이상의 휴지 고정 수단(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설부(2)는 측벽 상에 하나 이상의 제2 관통 홈(16)을 갖는다. 휴지 고정 수단(1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관통 홈(16)을 통과하여 배설부(2)의 바닥벽 상에 겹겹이 깔려진 휴지위로 돌출되며, 돌출된 아암은 휴지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배설함(4)이 사용되는 경우에, 배설함(4)은 배설부(2)에 수용될 때 상기 배설부(2)의 제2 관통 홈(16)과 정합하는 제1 관통 홈(15)을 갖는다. 휴지 고정 수단(1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암은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정합된 제1 및 제2 관통 홈(15, 16)을 통과하여 배설함(4) 바닥벽 상에 겹겹이 깔려진 휴지 위로 돌출되며, 돌출된 아암은 휴지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휴지 고정 수단(11)으로서 배설함(4) 또는 배설부(2) 측벽 상에 형성된 관통 홈(15, 16)을 관통하여 배설함(4) 또는 배설부(2)의 내부 공간 내에 돌출하는 아암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휴지를 바닥벽 상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다양한 휴지 고정 수단(11)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아암이 상기 배설함(4) 또는 배설부(2)의 내부 측벽 상에 바닥벽으로부터 휴지를 고정할 수 있는 적정한 높이를 갖고 측벽과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관통 홈(15, 16)이 필요하지 않다.
배설 기구(1)는 덮개(3) 및 배설부(2)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손잡이(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2)는 배설 기구(1)의 휴대 이동을 위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배설 기구(1)를 가방처럼 들고 다닐 수 있게 하여 기구의 휴대 이동시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 기구(1)의 취급시 지면에 대하여 기구를 세워 놓고, 지면으로부터 기구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다리부(14)가 덮개(3) 및 배설부(2)의 한 측벽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함(4)의 사용 방법을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배설을 위한 기구 설치 방법, 배설 후 처리 방법 및 휴대 이동을 위한 사용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배설을 위한 기구 설치 방법은 먼저, 애완 동물이 배설할 수 있도록 덮개(3) 또는 배설함(4)의 외부 측벽에 있는 해제 기능부(9)를 조작하여 덮개(3)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시킨 후 덮개(3)를 개방 상태 유지 수단(10)이 허용하는 범위까지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도2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롤휴지(5)를 사용하는 경우, 덮개(3)에 형성된 롤휴지(5) 걸이 수단에 휴지를 설치하고, 롤휴지(5)의 휴지를 풀어 휴지 안내부(7)와 덮개(3)의 바닥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배설함(4)의 바닥벽 위에 애완 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에 적정한 양만큼 겹겹이 쌓아 놓으면 된다.
배설 후 처리 방법은, 훈련된 애완 동물이 배설함(4)에 들어와 그 위에 깔려진 휴지에 배설하고 나가면, 주인은 롤휴지(5)와 배설함(4)에 깔려진 휴지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서 휴지를 절단하고, 배설함(4)에 깔려진 휴지의 배설물이 묻지 않은 가장자리를 들어 배설물을 감싼 후 폐기한다. 이어서, 롤휴지(5)로부터 휴지를 잡아당기고 상기 휴지 안내부(7)와 덮개(3)의 바닥벽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휴지를 통과시킨 후 배설함(4)의 바닥벽 위에 적정량 쌓아 놓기만 하면 다음 배설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애완 동물과 함께 외출할 때나 여행을 떠날 때는, 롤휴지(5)를 덮개(3) 내부의 휴지 걸이 수단(6)에 장착한 후 덮개(3)를 닫으면, 도3과 같이 배설 기구(1)는 가방과 같은 크기로 소형화되어, 한 손으로 들고 이동하거나 여행 가방 내에 넣고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2)를 이용하여 배설 기구(1)를 들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휴대형 배설 기구(1)는 롤휴지(5)를 사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롤휴지(5)를 사용해야만 배설 기구(1)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롤휴지(5)가 없더라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 휴지, 신문지 등의 종이류는 물론 섬유류, 비닐류 등 배설부(2) 또는 배설함(4)의 바닥벽을 덮고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크기와 특성을 가진 것이라면 상기 휴지 걸이 수단(6)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배설부(2) 또는 배설함(4)의 바닥벽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 롤휴지(5)로서는 쉽게 찢어지지 않고 흡수성이 뛰어난 키친 타월과 같은 휴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지가 배설 기구(1) 내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주인이 배설 기구(1)를 사용할 때마다 다른 곳으로부터 휴지를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용이하게 배설 처리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고, 덮개(3)와 배설부(2)가 절첩 가능한 가방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물론, 이동시 덮개(3)를 닫음으로써 배설 기구(1)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보관이나 외출 또는 여행시의 휴대 이동이 매우 간편하여 언제 어디에서든 애완 동물에게 친숙한 배설 환경을 쉽게 만들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애완견이 배설한 배설물을 물 세척이 필요 없이 그 자체에 수납된 휴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처리하고, 롤휴지가 수납되어 있어 간편하게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시 물 세척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을 동반한 외출이나 여행시 간편하게 휴대 이동할 수 있는 애완 동물용 배설 기구가 제공된다.

Claims (5)

  1.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1 공간을 갖춘 배설부와,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공간을 갖추고 상기 배설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설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와, 상기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덮인 상태로 유지하는 해제 가능한 잠금 수단과, 배설부에 대해 덮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개방 상태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공간 내부에 롤휴지를 걸 수 있는 수단을 더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롤휴지로부터 풀린 휴지가 상기 덮개의 바닥벽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휴지 안내부를 상기 휴지 걸이 수단의 하류측에 더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벽과 바닥벽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벽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형성되며 애완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제3 공간을 갖추고 상기 배설부의 제1 공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안치되는 배설함을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함과 상기 배설부는 측벽 상에 하나 이상의 제1 관통 홈 및 제2 관통 홈을 각기 갖추고, 상기 배설함이 상기 배설부에 수용될 때 상기 배설함의 제2 관통 홈은 상기 배설부의 제1 관통 홈과 정합하며, 상기 배설함의 바닥벽에 적재된 휴지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통 홈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휴지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KR2020010038854U 2001-12-17 2001-12-17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KR200268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54U KR200268444Y1 (ko) 2001-12-17 2001-12-17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854U KR200268444Y1 (ko) 2001-12-17 2001-12-17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44Y1 true KR200268444Y1 (ko) 2002-03-16

Family

ID=7307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854U KR200268444Y1 (ko) 2001-12-17 2001-12-17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4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024A2 (en) *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Rolled animal waste collection pads
WO2010081020A2 (en) *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1024A2 (en) *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Rolled animal waste collection pads
WO2010081020A2 (en) * 2009-01-09 2010-07-15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WO2010081020A3 (en) * 2009-01-09 2010-10-07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r pad dispenser and holder
WO2010081024A3 (en) * 2009-01-09 2010-10-14 Four Paws Products, Ltd. Rolled animal waste collection pads
GB2481145A (en) * 2009-01-09 2011-12-14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r pad dispenser and holder
GB2481145B (en) * 2009-01-09 2013-06-19 Four Paws Products Ltd Animal waste pad dispenser and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2677B2 (en) Pet litter box
US4243259A (en) Pet feces pick-up device
JP2007159419A (ja) ペット用サークル
US20100071628A1 (en) Portable Waste box and Absorbent Pad Holder for Housebreaking Dogs
US5702138A (en) Collector/carrier for animal excrement
US20060042551A1 (en) Animal waste management system and use thereof
US6119629A (en) Cat litter box
KR200268444Y1 (ko) 애완 동물용 휴대형 배설 기구
US20200359594A1 (en) Toilet for pets
EP4068949B1 (en) Waste receptacle for animal excreta
US7107934B1 (en) Litter box apparatus
JPH11289902A (ja) ペット用携帯型糞尿始末機
JP2000188988A (ja) ペット用トイレ
WO2006064219A1 (en) Portable faeces container
JP3908779B1 (ja) 糞便収納具
WO2002094012A1 (en) Apparatus for disposing pet droppings
JP2007110929A (ja) ペット用トイレマット
JPS6138445Y2 (ko)
JPH0244693Y2 (ko)
JP2002360101A (ja) 犬の糞受け器
JP2002125504A (ja) 排泄物の回収具及びその処理装置
JP4224638B2 (ja) ペットの排泄物を収容する容器
JP3110601U (ja) ペット用携帯トイレ
RU153024U1 (ru) Туалет для кошек со сменной одноразовой секцией, содержащей наполнитель
KR20220095910A (ko) 애완동물 관리용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