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143Y1 - 후레쉬 - Google Patents

후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143Y1
KR200268143Y1 KR2020010038234U KR20010038234U KR200268143Y1 KR 200268143 Y1 KR200268143 Y1 KR 200268143Y1 KR 2020010038234 U KR2020010038234 U KR 2020010038234U KR 20010038234 U KR20010038234 U KR 20010038234U KR 200268143 Y1 KR200268143 Y1 KR 200268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ighting unit
main body
present
tub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성균
Original Assignee
은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균 filed Critical 은성균
Priority to KR2020010038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143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레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위치를 동작시켜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되며 일측은 관축 방향으로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조명부와 상반된 위치에 관축 방향에서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2 조명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레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방과 후방에 대해 동시에 조명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한다.

Description

후레쉬{Flash}
본 고안은 후레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레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방과 후방에 대해 동시에 조명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후레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레쉬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후레쉬는 어두운 밤길을 걷거나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추어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후레쉬는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후레쉬의 일 예를 보인 사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레쉬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는 본체(10)와, 그 본체(10)에 대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부(20)로 외관이 형성되며, 본체(10)의 상측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조명부(20)를 점등 및 소등하는 스위치(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30)를 동작시키며 어두운 곳을 국부적으로 밝히며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후레쉬는 이미 그 종류와 형상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공통적인 문제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대해 집중적으로만 조명이 가능하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새벽이나 밤에 산행 등을 할 때에는 후레쉬를 손에 든 사람은 전방을 잘 주시할 수 있으나 그 후방에 있는 일행들은 앞길을 제대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후레쉬에 대한 기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레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방과 후방에 대해 동시에 조명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후레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후레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레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후레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110;스위치
120,130;제1,2 조명부 121,131;반사경
122,132;전구 123,133;커버
"B";배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위치를 동작시켜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되며 일측은 관축 방향으로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조명부와 상반된 위치에 관축 방향에서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2 조명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후레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후레쉬의 본체(100)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배터리(B)가 수납되며 적당한 곳에는 배터리(B)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1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되며 일측은 관축 방향으로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 조명부(120)가 배치되며, 상기 제1조명부(120)와 상반된 위치에는 관축 방향에서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2 조명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조명부(130)는 관축 방향이 수직선상을 유지하고 있을 때 그 직 하방을 향해 설치될 수도 있지만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명부(130)는 본체(100)의 타측에 일체로 경사지거나 하측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지만, 본체(100)의 타측을 수직선상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주름관 또는 각도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그 각도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 조명부(120)(130)는 본체(100)의 양측 방향에 대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사경(121)(131)과 전구(122)(132) 그리고 커버(123)(13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스위치(110)는 상기 배터리(B)와 전기 접속된 상기 전구(122) (132)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치(110)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2 조명부(120)(130)에 대해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지만, 제1,2 조명부(120)(130)의 어느 일측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B)의 전원은 제1,2 조명부(120)(130)의 전구(122) (132)를 향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방법의 전선과 단자 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일행과 같이 산행을 할 경우 스위치(110)를 동작시키면 배터리(B)의 전원을 공급받아 본체(100)의 양측에 구비된 제1,2 조명부(120) (130)의 전구(122)(132)가 점등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된 전구(122)의 빛은 제1 조명부(120)를 통하여 전방측을 조명하게 되고,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전구(132)의 빛은 제2 조명부(130)를 통하여 하측, 즉 지면측을 향하여 조명을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조명부(120)에서 발하는 조명은 일행 중 전방에서 산행(또는 보행)하는 사람의 전방 측 도로에 비추며 그 상황을 인지시키는 기능을 하고 제2 조명부(130)에서 발하는 조명은 후방에서 산행하는 사람의 얼굴을 향해 조명하지 않고 후방 측 도로에 비추며 도로상황을 인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후레쉬에 의해 산행을 하는 일행들이 원활하게 산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후레쉬에 대한 기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레쉬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방과 후방에 대해 동시에 조명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1)

  1. 스위치를 동작시켜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부를 점등시키는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의 관체로 구비되며 일측은 관축 방향으로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조명부와 상반된 위치에 관축 방향에서 하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2 조명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레쉬.
KR2020010038234U 2001-12-11 2001-12-11 후레쉬 KR200268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34U KR200268143Y1 (ko) 2001-12-11 2001-12-11 후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34U KR200268143Y1 (ko) 2001-12-11 2001-12-11 후레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143Y1 true KR200268143Y1 (ko) 2002-03-15

Family

ID=7307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234U KR200268143Y1 (ko) 2001-12-11 2001-12-11 후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99B1 (ko) 2009-01-28 2010-03-04 주식회사 우강테크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여 스위칭할 수 있는 복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299B1 (ko) 2009-01-28 2010-03-04 주식회사 우강테크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여 스위칭할 수 있는 복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541B1 (en) Roadside emergency security flashlight
US5860729A (en) Fluorescent lantern with auxiliary light
US6641279B1 (en) Dual-beam light assembly with adjustable posterior head
US20020074027A1 (en) Lighted umbrella
US7066621B2 (en) Dual-beam lantern-flashlight
US5463536A (en) Umbrella with a light source and light refracting means
CN101749549A (zh) 灯头罩可伸缩的照明灯
US6132071A (en) Combined incandescent/fluorescent lantern
JP2006210042A (ja) 照明装置
US20020041139A1 (en) Portable Lamp With Adjustment Device To Obtain Different Emitted Light Cones
KR200268143Y1 (ko) 후레쉬
JP4755850B2 (ja) 携帯型led照明灯装置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KR200380426Y1 (ko) 전구 가동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탐조등
KR200227800Y1 (ko) 회중 신호봉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KR950000904Y1 (ko) 낚시, 등산용 렌턴
JP3021147U (ja) ランタン
KR200224722Y1 (ko) 조명을 겸한 우산
TW201031560A (en) Front lamp device of motorbike
KR200308619Y1 (ko) 반사등의 기능이 부가된 캡체를 가지는 후레쉬
JP3107772U (ja) テールランプ付懐中電灯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US20060050522A1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assembly
KR920006025Y1 (ko) 후레쉬가 내장된 콤팩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