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871Y1 -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 Google Patents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871Y1
KR200267871Y1 KR2020010038493U KR20010038493U KR200267871Y1 KR 200267871 Y1 KR200267871 Y1 KR 200267871Y1 KR 2020010038493 U KR2020010038493 U KR 2020010038493U KR 20010038493 U KR20010038493 U KR 20010038493U KR 200267871 Y1 KR200267871 Y1 KR 200267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ridge
double
bridge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20010038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871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상의 편리성, 반영구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는 다수의 관통공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렛트와, 파렛트와 연결되어 다층으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브릿지부와, 브릿지부의 하단이 삽입되는 브릿지 연결공과, 관통공을 통하여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Double Mounting Frame Of Pallet}
본 고안은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상의 편리성, 반영구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에 관한 것이다.
파렛트는 물품의 운반 또는 저장 등에 널리 사용된다.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는 지게차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 또는 운반용 트럭에 운반되거나 또는 저장용 창고에 운반된다.
도 1은 종래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는 물품이 적재되는 파렛트(2)와, 파렛트(2)의 양측에 연결되는 브릿지부(4)를 구비한다.
파렛트(2)는 중간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받침부재(1) 사이에 차입구(6)가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상판(3)과 하판(5)이 부착된다. 이러한 파렛트(2)는 기계학적으로 강한 목재 또는 목재 부산물로 형성된다. 물품이 적재된 파렛트(2)는 지게차(도시하지 않음)의 포크(도시하지 않음)가 차입구(6)에 삽입되어 운반되어진다.
브릿지부(4)는 물품의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파렛트(2)의 양측에 형성된다. 브릿지부(4)는 제1 및 제2 브릿지(4a,4b)가 서로 교차하게 연결되어 있어 브릿지부(4) 상에 다른 파렛트를 설치하여 이중으로 물품이 쌓이게 된다. 제1 및 제2 브릿지(4a,4b)는 각각 링크부(7c)와, 다리부(7b)와, 링크부(7c)와 다리부(7b)를 연결하기 위한 앵글(7a)이 형성된다.
브릿지부(4)는 제1 브릿지(4a) 상에 제2 브릿지(4b)를 형성한 후 제2 브릿지(4b)에 프레싱공정을 실행하여 제1 및 제2 브릿지(4a,4b)가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목재로 형성되는 파렛트(2)는 브릿지부(4)와 연결하기 위해 못(9)과 고정수단(10)을 이용하게 된다. 즉, 고정수단(10)과 파렛트(2)는 못(9)으로 연결되며, 고정수단(10)과 브릿지부(4)는 용접공정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목재로 형성된 파렛트(2)는 취급부주의 또는 습기로 인해 못(9)과 고정수단(10)이 부식되어 파렛트(2)와 브릿지부(4)의 연결부분이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못(9)과 고정수단(10)으로 고정되어 있는 파렛트(2)와 브릿지부(4)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상의 편리성, 반영구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렛트 하부에 형성된 바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렛트의 하판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1 : 받침부재 2,32 : 파렛트
3,33 : 상판 4,34 : 브릿지부
5,35 : 하판 6,36 : 차입구
8,38 : 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는 다수의 관통공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렛트와, 파렛트와 연결되어 다층으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브릿지부와, 브릿지부의 하단이 삽입되는 브릿지 연결공과, 관통공을 통하여 파렛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봉을 추가로 구비하며, 연결부는 파렛트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렛트 하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는 물품이 적재되는 파렛트(32)와, 이중으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브릿지부(34)와, 파렛트(32)와 브릿지부(3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8)를 구비한다.
파렛트(32)는 목재보다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받침부재(31) 사이에 차입구(36)가 형성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상판(33)과 하판(35)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파렛트(3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54)에는 연결부(38)의 연결봉(52)이 삽입되어 파렛트(32)와 연결부(38)가 착탈되도록 한다. 관통공(54)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공(54)의 크기는 연결부(38)의 연결봉(52)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파렛트(32) 상에 적재된 물품들은 파렛트(32)의 차입구(36)에 지게차(도시하지 않음)의 포크(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어 운반되어진다.
브릿지부(34)는 물품의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파렛트(32)와 결합된 연결부(38)를 통해 파렛트(32)와 연결된다. 브릿지부(34)는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가 서로 교차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는 각각 링크부(37c)와, 다리부(37b)와, 링크부(37c)와 다리부(37b)를 연결하기 위한 앵글(37a)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의 각 링크부(37c)의 중앙에는 각각 홈(39)이 형성되어 각 홈(39)을 서로 교차하게 연결하여 브릿지부(34)를 형성하게 된다. 홈(39)으로 연결된 브릿지부(34)는 각각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부(34)의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는 홈(39)끼리 연결되어 있어 종래보다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브릿지부(34) 상에 다른 파렛트를 설치하여 이중으로 물품(40)이 쌓이게 된다.
연결부(38)는 제1 내지 제3 면(40a,40b,40c)이 형성되어 있어 파렛트(32)와 고정이 용이하다. 제1 내지 제3 면(40a,40b,40c)은 철판으로 형성되며, 제1 면(40a)은 파렛트(32)의 상판(33)과 접촉하며, 제2 및 제3 면(40b,40c)은 파렛트(32)의 양측에 형성되는 받침부재(31)와 접촉된다. 제1 면(40a) 상에는 파렛트(32)의 관통공(54)에 삽입되는 연결봉(52)이 형성된다. 연결봉(52)은 파이프로 형성되며, 파렛트(32)의 관통공(54)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25~30φ인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 면(40b,40c)이 직교하는 모서리에는 브릿지 연결공(50)이 형성된다. 이 연결공(50)에는 제1 및 제2 브릿지(34a,34b)가 각각 삽입된다. 브릿지 연결공(50)은 브릿지(34a,34b)와 대응되게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45~65φ인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렛트(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60)가 형성 가능하며, 이 바퀴(50)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게차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파렛트(32) 상에 이중으로 적재된 물품의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렛트(32)는 브릿지부(34) 및 연결부(38)와 분리가 가능하므로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파렛트(32) 상에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품이 적재되어 바퀴(60)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로 물품을 운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는 플라스틱 파렛트와 브릿지부를 연결부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파렛트와 브릿지부를 분리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파렛트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브릿지부와 파렛트의 연결부위의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렛트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파렛트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높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관통공(54)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렛트(32)와,
    상기 파렛트(32)와 연결되어 다층으로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소정 높이의 브릿지부(34)와,
    상기 브릿지부(34)의 하단이 삽입되는 브릿지 연결공(50)과, 상기 관통공(54)을 통하여 상기 파렛트(3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관통공(54)에 삽입되는 연결봉(52)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파렛트(32)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32) 하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바퀴(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KR2020010038493U 2001-12-13 2001-12-13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KR200267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93U KR200267871Y1 (ko) 2001-12-13 2001-12-13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93U KR200267871Y1 (ko) 2001-12-13 2001-12-13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871Y1 true KR200267871Y1 (ko) 2002-03-12

Family

ID=7308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493U KR200267871Y1 (ko) 2001-12-13 2001-12-13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8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10B1 (ko) 2005-02-14 2007-07-19 최병수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510B1 (ko) 2005-02-14 2007-07-19 최병수 합성수지 팔레트의 지지대 결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556A1 (en) Pallet
US5941177A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US9422085B2 (en) Movable modular system for stacking freight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US20070131147A1 (en) Package handling system
US20070227406A1 (en) Pallet table
US4267780A (en) Load supporting and handling means
US6976435B2 (en) Disposable/recyclable pallet system and method
KR200267871Y1 (ko) 파렛트의 이중 적치대
US5647493A (en) Shipping and storage rack
JP2002265054A (ja) ホイール積み重ね装置
JPH1159678A (ja) パレット
CN218840120U (zh) 一种新型模压托盘
US20050000395A1 (en) Pallet support unit
JP2577134Y2 (ja) 載物用パレット
CN220147857U (zh) 拼接式纸板托盘
KR200250709Y1 (ko) 종이 파레트
JPH11165735A (ja) 組立式荷役用パレット
KR200305269Y1 (ko) 화물 받침대
JP4005289B2 (ja) 物流運搬保管装置
KR200188850Y1 (ko) 철재파렛트의 받침구
KR200336053Y1 (ko) 팔레트
JP3842582B2 (ja) 棚枠支持用支柱を備えた荷物運搬用パレット
CN210793997U (zh) 一种可折叠的托盘箱
KR200361995Y1 (ko) 팔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