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852Y1 -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852Y1
KR200267852Y1 KR2020010037867U KR20010037867U KR200267852Y1 KR 200267852 Y1 KR200267852 Y1 KR 200267852Y1 KR 2020010037867 U KR2020010037867 U KR 2020010037867U KR 20010037867 U KR20010037867 U KR 20010037867U KR 200267852 Y1 KR200267852 Y1 KR 200267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evaporator
blow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8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신
송용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7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8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852Y1/en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의 공조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인테이크와,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하향 유입된 공기를 냉방하도록 에어 인테이크의 하부측에 위치한 증발기와, 증발기의 일측인 차량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와, 블로어로부터 상향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 경로상에 설치되어 냉/난방 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로 직접 또는 히터로 공기를 공급하는 온도조절 도어와, 온도조절 도어의 개폐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난방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일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고안은 블로어의 위치를 증발기와 순서를 바꾸어 토출 타입의 블로어 방식에서 흡입 타입의 방식으로 변경하여 구성함으로써, 공조장치의 높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의 최적화가 가능하여 엔진룸과 실내측을 구분하는 대쉬판넬과 인스트루먼트 판넬 사이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이도 덕트의 배치 구성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intake for sucking air, an evaporator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air intake to cool down the air introduced downward through the air intake, and installed at an indoor side of the vehicle that is one side of the evaporator. A blower that sucks air exchanged from the evaporator, a temperature control door installed on a flow path of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blower, and supplying air directly to a vehicle interior or to a heater according to a cooling / heating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arranged, including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blower to the evaporator by changing the discharge type blower type in the suction type method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heigh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nel and the instrument panel, and it is possible to also ensure a sufficient space to enable the arrangement of duct height.

Description

차량의 공조장치{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본 고안은 공조장치를 히터, 증발기, 블로어를 일체화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인 종축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배열 순서를 증발기, 블로어, 그리고 히터의 순으로 위치시켜 그 높이와 차량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여 공조장치의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is integrated with the heater, the evaporator, and the blower in the longitudinal axis,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mponent is placed in the order of the evaporator, the blower, and the he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reduced size to enable an air conditioner to be optimiz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여러 가지 기후나 주행 조건에서도 승차원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고, 동시에 유리창의 흐림과 서리 등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고,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is intended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the passengers in various climates and driving conditions,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blurring and frost of the windows to secure the driver's watch and to drive safely. do.

이 공조 장치는 온도, 습도, 풍속, 환기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This air conditioner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and ventilation.

이 공조 장치에 있어서, 차내의 공기는 승차원의 호흡 등에 의해 오염되므로, 차창 외에 신선한 공기(외기)를 끌어 들여 차 실내의 공기를 바꾸어 주기 위하여 창을 닫고 있어도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환기 장치와, 엔진 냉각용 온수의 일부를 히터로 흘려서 온수를 방출하는 열량으로 히터 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만들어서 이것을 블로어(송풍모터)를 사용하여 실내로 보내서 차내를 난방하는 난방 장치와, 반대로 차내를 냉방하는 냉방 장치로 이루어진다.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since the air inside the vehicle is contaminated by the breathing of the passengers, the ventilation device which introduces the outside air into the room even when the window is closed to draw fresh air (outside air) in addition to the window window to change the air inside the car. A heating device that cools the inside of a car by heating a part of the engine cooling water by heating the air inside the heater with the amount of heat to discharge the hot water and sending it to a room using a blower (blower motor), and, on the contrary, a cooling device that cools the inside of the car. Is made of.

이러한 냉방은 도1의 냉매 싸이클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차내를 냉방하는 데, 저열원이 필요하지만,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저열원으로는, 액체가 기화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를 냉매라고 한다.This cooling is achieved by the refrigerant cycle of FIG. First, although a low heat source is required for cooling the inside of a vehicle, as a low heat source of an automotive cooling apparatus, when liquid evaporates, it takes away heat from the surroundings. Such a liquid is called a refrigerant.

이 냉매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저열원을 얻기 위해서는, 일단 기화한 냉매를 다시 액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도1과 같은 과정으로 액화, 기화를 반복해서 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우선 냉매가스는 압축기(1)에 흡입,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응축기(2)에 보내진다. 응축기(2)로 보내진 냉매는 라디에이터 팬(도시안됨) 등에 의해 강제 냉각되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리시버 앤드 드라이어(도시안됨)로 들어가 수분과 먼지를 제거한 다음, 팽창밸브(3)로 흘러간다. 팽창 밸브(3)에서 고압 액상 냉매는 급격히 팽창되고, 저온 저압의 안개 상태의 냉매가 되어 증발기(4)로 들어간다. 증발기(4)의 냉매는 증발기(4)의 팬을 통하여 주위의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안개 상태의 냉매에서 가스 모양의 냉매가 되며, 또 다시 압축기(1)로 흡입된다.In order to continuously obtain a low heat source using this refrigerant, it is necessary to liquefy the vaporized refrigerant once again, and the method of repeating liquefaction and vaporization is adopted in the same process as in FIG. First, the refrigerant gas is sucked and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 and sent to the condenser 2 in a gas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refrigerant sent to the condenser 2 is forcedly cooled by a radiator fan (not shown) or the like to liquefy. The liquefied refrigerant enters the receiver and dryer (not shown) to remove moisture and dust, and then flows to expansion valve (3). In the expansion valve 3, the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rapidly expands, becomes a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fog refrigerant, and enters the evaporator 4.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4 takes heat away from the surrounding air through the fan of the evaporator 4, becomes a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mist of the refrigerant, and is again sucked into the compressor 1.

이와 같이 하여 냉매는 냉매 싸이클을 반복하여 순환하고, 냉방 작용을 한다.In this way,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refrigerant cycle repeatedly, thereby cooling.

상기한 공조 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용 히터(11)와, 증발기(12), 블로어(13)를 차량의 폭방향인 횡축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1)와 증발기(22)를 일체화하고, 그 일측에 블로어(23)를 횡 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by arranging a heater 11 for a heating device, an evaporator 12, and a blower 13 in a horizont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5, the heater 21 and the evaporator 22 are integrated, and the blower 2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mprised.

상기와 같은 구성은 공조장치의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조수석의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차량의 중심선에서 볼 때, 비대칭 구조로, 보통 차량의 진행 방향의 좌측에 운전석이 있는 차량과 우측에 운전석이 있는 차량에 동시에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원화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유로가 길고, 꺽임이 심하여 통기 저항이 커서 일반적으로 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공기 유로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공조 장치의 크기고 커지며, 공기 유로가 꺽임에 따라 공조 장치의 토출구의 유속 분포가 불균일함에 따라 온도 조절성 및 풍량 분배 측면에서 개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air conditioner is larg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utilization of the passenger seat space, and when viewed from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it is an asymmetrical structure, usually on the vehicle with the driver's seat on the left sid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ince it cannot be applied to a vehicle with a driver's seat at the same time, a dual development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air flow path is long, the bending is severe, and the ventilation resistance is large, in general,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is increased to reduce the ventilation resistance. Due to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the flow velocity of the discharge port, it is difficult to develop in terms of temperature controllability and air volume distribu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31), 증발기(32), 블로어(33)를 차량의 종방향으로 배치하여 차량의 중앙에 장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조수석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heater 31, the evaporator 32, and the blower 33 ar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to be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It is.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assenger seat.

그러나, 상기한 배치 구조가 블로어(33), 증발기(32), 히터(31)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차량의 전방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차량의 실내측 공간이 작아져 엔진 룸을 공유하여 장착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블로어(33)의 장착 위치를 증발기(32)의 상단부에 위치시키므로, 공조장치의 높이가 높아 패널과 간섭되거나 간섭이 없더라도 덕트의 구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온도 조절 방식이 냉각수 유량 제어 방식으로 히터에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로 토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공조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는 항상 히터를 통과하므로, 통기 저항이 크고, 온도 조절스위치를 난방에서 냉방으로, 또는 냉방에서 난방으로 변환시 냉각수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으므로 온도 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arrangement structure is arranged in the order of blower 33, evaporator 32, heater 31 in order to occupy a lot of spac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ecomes small, and the engine room is shared and mounted In order to reduce this length, sinc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lower 33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evaporator 3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air conditioner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duct even if there is no interference or interference with the panel. 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adjusts the discharge temperature to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heater by the cooling water flow rate control method,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always passes through the heater, so the ventilation resistance is high, and the temperature control switch is changed from heating to cooling, or When the conversion from cooling to hea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oes not change sudden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response is inferio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공조장치를 히터, 증발기, 블로어를 일체화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인 종축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배열 순서를 증발기, 블로어, 그리고 히터의 순으로 위치시켜 그 높이와 차량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여 공조장치의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air conditioner, heater, evaporator, blower i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mpon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in which an evaporator, a blower, and a heater are positioned in order to reduce the height and the size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optimize the air conditione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공조장치는,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하향 유입되는 공기를 냉방시키도록 설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 블로어,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향 배출되면서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되는 온도조절 도어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난방시키도록 설치된 히터가 포함되어 일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vaporator installed to cool down the air flowing down through the air intake, a blower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evaporator, upward discharge from the blower And while the heater is installed to heat the air introduc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cooling / heating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arranged.

도1은 일반적인 냉매 싸이클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ypical refrigerant cycle,

도2는 종래의 제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3은 도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4는 종래의 제이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도6은 종래의 제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7은 도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도8의 D-D 단면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 에어 인테이크 52 : 증발기51: air intake 52: evaporator

53 : 블로어 54 : 히터53: blower 54: heater

55 : 온도조절 도어55: temperature control door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공조장치는,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은 하향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로 상향 배출되는 경로를 이루도록 하였는 바,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인테이크(51)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51)를 통해 하향 유입된 공기를 냉방하도록 에어 인테이크(51)의 하부측에 위치한 증발기(52)와, 상기 증발기(52)의 일측인 차량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52)로부터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53)와, 상기 블로어(53)로부터 상향 배출되는 공기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냉/난방 모드에 따라 차량의 실내로 직접 또는 후술될 히터(54)로 공기를 공급하는 온도조절 도어(55)와, 상기 온도조절 도어(55)의 개폐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난방시키는 히터(54)를 포함하여 일체로 배열되어 있다.8 and 9,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air flow is to flow down to form a path to discharge upwar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air intake 51 to suck the air And an evaporator 52 positioned at a lower side of the air intake 51 to cool the air introduced downward through the air intake 51 and an indoor side of the vehicle which is one side of the evaporator 52. A blower 53 for sucking air heat exchanged from the 52 and a heater 54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air discharged upwardly from the blower 53 and directly or indoor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cooling / heating mode. It is integrally arranged to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door 55 for supplying air to the furnace, and a heater 54 for heat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55.

상기 증발기(52)는 상기 에어 인테이크(5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거의 평행에 가깝게 비스듬이 세워서 배치하고 있다.The evaporator 52 is arranged obliquely in nearly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air intake 5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량의 공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에어 인테이크(51)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블로어(53)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수직에 가깝게 비스듬이 세워진 증발기(52)를 통과하여 흡입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차량의 탑승자가 난방 모드로 작동시에는 상기 블로어(53)의 상측에 형성된 온도조절 도어(55)를 폐쇄하여 히터(54)로 공기가 유입되고, 이 히터(54)에 의해 난방 가열된 공기는 탑승자의 공기의 흐름 방향 제어에 의해 공기가 윈드 실드측이나, 차량의 전방이나, 탑승자의 하측으로 공기의 흐름이 제어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intake 51, the evaporator 52 is obliquely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by the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er (53). Is sucked through, and the sucked air closes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55 formed above the blower 53 when the occupant of the vehicle operates in the heating mode, and air enters the heater 54. In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54, the air flow is controlled to the windshield side, the front of the vehicle, or the lower side of the occupant by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occupant's air.

그리고, 탑승자가 스위치를 조절하여 실내 환기나 냉방 모드로 작동시에는 상기 온도조절 도어(55)가 개방됨과 동시에 히터(54)로의 공기 유입을 폐쇄하여 환기나냉방을 하게 된다.When the occupant operates the indoor ventilation or cooling mode by adjusting a switch,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55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inflow to the heater 54 is closed to perform ventilation or cooling.

한편, 상기 증발기(52)와 히터(54)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히터(54) 역시 에어 인테이크(5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거의 평행에 가깝게 비스듬이 세워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evaporator 52 and the heater 54 can be changed mutually, wherein the heater 54 is also arranged in an oblique nearly parallel to the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air intake 51 It is preferable.

이와 같이 블로어(53)의 위치를 증발기(52)와 순서를 바꾸어 토출 타입의 블로어(53) 방식에서 흡입 타입의 방식으로 변경하여 구성함으로써, 공조장치의 높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의 최적화가 가능하여 엔진룸과 실내측을 구분하는 대쉬판넬과 인스트루먼트 판넬 사이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이도 덕트의 배치 구성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blower 53 is changed from the evaporator 52 to the suction typ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lower 53, so that the heigh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optimiz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the space between the dash panel and the instrument panel that separates the engine room and the interior side, and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so that the height can also be arranged configuration.

그리고, 증발기, 블로어, 히터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조립시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공조장치의 장착 위치가 차량의 횡방향 중앙에 위치하므로, 운전석이 좌측이나 우측인 차량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개발비의절감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Since the evaporator, the blower, and the heater are integrally assembled,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when assembling the vehicle,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located in the transverse center of the vehicle. It can be applied to both, which can reduce development cost and cost.

또한, 본 고안의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므로, 유로의 길이가 짧아 통기 저항을 최소화하므로, 풍향의 증대할 수 있으며, 공기의 꺽임이 심하지 않아 균일한 토출 풍속을 얻을 수 있어 온도조절성과 풍량 배분에서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ince the length of the flow path is short, the ventilation resistance is minimized, and the wind direc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air is not broken, so that uniform discharge wind speed can be obtained. It is advantageous in temperature control and air volume distribu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블로어의 위치를 증발기와 순서를 바꾸어 토출 타입의 블로어 방식에서 흡입 타입의 방식으로 변경하여 구성함으로써, 공조장치의 높이와 차량의 길이 방향의 최적화가 가능하여 엔진룸과 실내측을 구분하는 대쉬판넬과 인스트루먼트 판넬 사이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이도 덕트의 배치 구성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lower from the discharge type blower method to the suction type method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evaporator, the heigh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t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dash panel and the instrument panel that separates the engine room from the room side, and the height can be secured enough space to allow the arrangement of the duct.

Claims (2)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하향 유입되는 공기를 냉방시키도록 설치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차량의 실내측 방향이면서 상기 증발기와 근접되게 설치된 블로어, 상기 블로어로부터 상향 배출되는 공기 중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되는 온도조절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난방시키도록 설치된 히터가 포함되어 차량의 길이방향인 종축으로 일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장치.An evaporator installed to cool down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air intake, a blower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evaporator while being inward of the vehicle to suck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a cooling / heating mode of th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blow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er is installed to heat the air selectively introduc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integr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증발기는 상기 에어 인테이크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거의 평행에 가깝게 비스듬이 세워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장치.And the evaporator is disposed at an angle to the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take.
KR2020010037867U 2001-12-07 2001-12-07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KR2002678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67U KR200267852Y1 (en) 2001-12-07 2001-12-07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67U KR200267852Y1 (en) 2001-12-07 2001-12-07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852Y1 true KR200267852Y1 (en) 2002-03-09

Family

ID=7311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867U KR200267852Y1 (en) 2001-12-07 2001-12-07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85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89436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200511229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326721A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200267852Y1 (en) Air conditioner apparatus of vehicle
CN108290472B (en) Refrigerating and heating module
KR100745454B1 (en) Slide type door device of hvac in a car
JP2004026038A (en) Dashboard and vehicular air-conditioner installed therein
KR10261266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JP2001080339A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JP2003285620A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1150941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JP6565739B2 (en) Air blowing device for vehicle
JP2001030739A (en) Damper structure,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KR20190135704A (en) HVAC for electric vehicles
JP449251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413018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442465Y1 (en) Vent Door for Air Conditioner Unit of Vehicle
JPH0720563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5225249A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0355208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9980029442U (en) Car air conditioner
JPS6144017A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for car
KR0148661B1 (en) An automobile's air intake mode adjuster by film conveyor
JPH10250344A (e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unit and automobile air conditioner
KR100566961B1 (en) HVAC device of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