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29Y1 -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 Google Patents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29Y1
KR200267629Y1 KR2020010037628U KR20010037628U KR200267629Y1 KR 200267629 Y1 KR200267629 Y1 KR 200267629Y1 KR 2020010037628 U KR2020010037628 U KR 2020010037628U KR 20010037628 U KR20010037628 U KR 20010037628U KR 200267629 Y1 KR200267629 Y1 KR 200267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box
children
pai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길
Original Assignee
김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길 filed Critical 김동길
Priority to KR2020010037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29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그림판과 상자를 이용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어린이의 연령별로 차별화시켜 어린이가 원하는 그림대로 그림판을 완성하고 완성된 그림판을 투시창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내면에 삽착하여 전시하게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놀잇감을 통하여 단순히 노는 것이 아니라 응용력과 구성력, 창조력, 인내력을 산지식으로 자연스럽게 내면화시켜 어린이의 인지능력 향상과 손의 놀림에 의한 뇌기능 활성화로 사고하면서 놀 수 있게 하는 놀이도구 겸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 프레임에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와 본체로 놀이상자를 형성하고, 상기 놀이상자 내부로 삽착하는 다수개의 그림조각과 그림조각을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는 밑판으로 구성되어 그림판을 놀이 상자에 삽착하고 전시하게 한다.

Description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Combination picture plate and play box used diplay box for children}
본 고안은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어린이의 연령별로 차별화시켜 어린이가 원하는 그림 조각을 선택하여 배열하거나 지시된 그림대로 퍼즐조각을 짜맞추는 방법으로 그림판을 완성하고 완성된 그림판을 투시창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내면에 삽착하여 전시하여 놀게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놀잇감을 통하여 단순히 노는 것이 아니라 응용력과 구성력, 창조력, 인내력을 산지식으로 자연스럽게 내면화시켜 어린이의 인지능력 향상과 손놀림에 의한 뇌기능 활성화로 사고하면서 놀 수 있게 하는 놀이도구 겸 학습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이크 퍼즐은 퍼즐식으로 평면적으로 인쇄된 그림조각을 맞춰 조립하여 사용하는 놀이기구 겸 학습 도구이며 사진이나 그림 등의 전시물을 끼워 넣어 전시하는 유리가 끼워진 나무나 금속제 액자는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무겁고 파손의 위험이 있으며 경제적이지 못하고 종이로 된 포장용 상자는 사용후에는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한 것으로서 종래에도 유아 및 어린이의 학습효과 및 지능발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 20-0172193호 "모자이크퍼즐 밑판이 투명덮개에 삽착된 포장용상자"도 있으나 조립된 모자이크 퍼즐을 포장용 상자의 밑판으로 사용하여 장식적 효과를 높이고 사용후에는 모자이크 퍼즐을 놀이기구로 사용하여 재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단순히 놀이기구로서는 역할을 하나 완성된 모자이크 퍼즐을 전시할 수 없으며 흐트러진 퍼즐 조각을 담아서 수납하는 상자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린이의 연령별로 차별화시켜 어린이가 원하는 그림 조각을 선택하여 배열하거나 지시된 그림대로 퍼즐조각을 짜맞추는 방법으로 그림판을 완성하고 완성된 그림판을 투시창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내면에 삽착하여 전시하게 하므로서 어린이의 인지능력 향상과 손의 놀림에 의한 뇌기능 활성화로 사고하면서 놀 수 있게 하여 학습효과 및 지능발달효과가 있는 놀이도구 겸 학습교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림판에 사용하는 모자이크 퍼즐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놀이상자 11:프레임
12:투시창 13:놀이상자 덮개
14:수용공간 15:놀이상자 본체
20:그림판 21:그림조각
23:밑판
30:모자이크 퍼즐판 31:모자이크퍼즐 조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상자로 된 놀이구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11)에 투시창(12)이 형성된 덮개(13)와 수용공간(14)이 구비된 본체(15)로 놀이상자(10)를 형성하고, 상기 놀이상자(10) 내부에 수용하여 전시하는 그림판(20)을 형성하게끔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그림조각(21)과 그림조각(21)을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는 밑판(23)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놀이 상자(10)는 통상의 포장용 상자 형태로서, 덮개(13)에는 전면에 개구되어 투시가 가능한 투시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볍고 투명한 셀로판지 등을 접착하여 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림판(20)을 수용하고 본체(15)와 덮개(13)를 결합하면 액자 형태의 전시물이 완성되며 그림판(20)을 전시하지 않을 때에는 그림조각(21)이나 밑판(23)을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밑판(23)은 놀이상자(10)에 들어 갈 수 있는 크기로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하게 코팅된 딱딱한 종이의 하드보드지로 형성된다.
사용자로서 어린이는 사람이나 동물, 식물 등 여러가지 색상,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된 그림 조각(21)을 이용하여 풀 등의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밑판(23)에 풀칠하고 붙여서 배열하므로서 지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원하는대로 자연스럽게 그림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때 손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뇌기능이 활성화되고 인지능력이 향상되어서 체험에 의한 산 지식으로 내면화되므로서 어린이의 기하학적 감각능력, 집중력, 사고력, 인내력, 조합능력, 창의력이 학습되며 상기한 풀 외에 그림조각의 이면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해서 본 고안은 어린이가 단순히 가지고 노는 것이 아니라 사고하면서 놀 수 있게 돠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밑판(23)에 그림조각(21)을 부착시켜 원하는 모양대로 완성된 그림판(20)을 놀이상자 본체(15)에 끼우고 덮개(13)를 덮으면 입체적인 상자형 종이액자 형태가 되어 전시가 되는 것으로서 완성된 작품을 보관하여 감상할 수 있고 인형극장식으로 가지고 놀 수도 있으며 본체(13)의 후면에는 미도시한 벽에 걸 수 있는 걸이홈이나 바닥에 지지되는 착탈식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시된 대로 같은 그림의 퍼즐 조각(31)을 짜맞춰서 모자이크 퍼즐판(30)으로 된 그림판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일실예보다 연령이 많은 어린이에게 해당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지시된 그림표의 각 그림 퍼즐조각(31)에 번호를 부여하고 변과 변을 맞대어서 번호 순서대로 짜맞춰서 조립하여 어린이들로 하여금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모자이크 퍼즐판(30)이 완성되고 전시하게 되면 전시에 따른 성취감 및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인 어린이의 학습 및 지능발달 수준에 맞추어 차별화시켜 선택 사용이 가능하며 이렇게 완성된 모자이크 퍼즐판(30)은 투시창(12)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자로 된 덮개(13)와 본체(15)가 훼손이나 파손되면 와이셔츠 등 의 의류를 담는 포장용 상자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모자이크 퍼즐은 평면으로 된 그림조각 뿐 아니라 절첩하여 입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모자이크 퍼즐의 그림 퍼즐조각(31)은 어린이들의 수준 및 학습진도에 맞추어 다양하게 야광, 색상 등을 조합 구성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연출할수 있어서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학습효과 및 지능발달효과를 증진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모자이크 퍼즐판(30))은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서 입체효과 및 시각효과를 증진시킬수 있으며 보조적으로 시계나 멜로디 음향장치, 향료 등을 부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자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어린이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하여 절개선이 표기된 전개상자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상자의 조립에 따른 또 다른 학습효과가 구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어린이의 연령별로 차별화시켜 어린이가 원하는 그림 조각을 선택하여 배열하거나 지시된 그림대로 퍼즐조각을 짜맞추는 방법으로 그림판을 완성하고 완성된 그림판을 투시창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내면에 삽착하여 전시하게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놀잇감을 통하여 단순히 노는 것이 아니라 응용력과 구성력, 창조력, 인내력을 산지식으로 자연스럽게 내면화시켜 어린이의 인지능력 향상과 손의 놀림에 의한 뇌기능 활성화로 사고하면서 놀 수 있게 하는 놀이도구 겸 학습교구로서 어린이들로 하여금 성치감 및 자신감은 물론 학습효과와 지능발달효과에 의한 아이큐(IQ), 이큐(EQ) 등의 발달에 매우 유익하다.

Claims (1)

  1. 상자로 된 놀이구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11)에 투시창(12)이 형성된 덮개(13)와 수용공간(14)이 구비된 본체(15)로 놀이상자(10)를 형성하고, 상기 놀이상자(10) 내부에 수용하여 전시하는 그림판(20)을 형성하게끔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그림조각(21)과 그림조각(21)을 부착하여 전시할 수 있는 밑판(2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KR2020010037628U 2001-12-06 2001-12-06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KR200267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28U KR200267629Y1 (ko) 2001-12-06 2001-12-06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28U KR200267629Y1 (ko) 2001-12-06 2001-12-06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29Y1 true KR200267629Y1 (ko) 2002-03-12

Family

ID=7311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628U KR200267629Y1 (ko) 2001-12-06 2001-12-06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09B1 (ko) 2007-09-12 2009-05-18 이원구 공간연상 학습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09B1 (ko) 2007-09-12 2009-05-18 이원구 공간연상 학습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inson Dance for Young Children. Finding the Magic in Movement.
US9968861B2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housing compartment insert with attachable accessory templates
Mendelowitz Children are artists: An introduction to children’s art for teachers and parents
US4372077A (en) Combined book, flannelboard and hand puppet
Bratton et al. CHAPTER ELEVEN THE USE OF STRUCTURED EXPRESSIVE ART ACTIVITIES IN GROUP ACTIVITY THERAPY WITH PREADOLESCENTS
US20190336872A1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HOUSING COMPARTMENT INSERT WITH Attachable ACCESSORY Templates
US5011446A (en) Transparent toy house
Danko-McGhee Nurturing aesthetic awareness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rt viewing experiences
KR200267629Y1 (ko)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KR200404353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Gandini et al. Early childhood integration of the visual arts
US8371895B1 (en) Toy play set
Franklin Art, play, and symbolization in childhood and beyond: Reconsidering connections
Longstaffe Provocations for Learning in Early Years Settings: A Practical Guide
Doak et al. Analyz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Inventing a product from a given recyclable item
KR200449758Y1 (ko) 교육완구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Skinner Creative activities for the early years
KR100722959B1 (ko) 케이크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인형극 연출방법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TWI838301B (zh) 色弱遊戲教具及其方法
JP5419246B1 (ja) 生活用具
Thomas Creative coping skills for children: Emotional support through arts and crafts activities
Wanerman From Handprints to Hypotheses: Using the project approach with toddlers and twos
KR200423613Y1 (ko) 쿠키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