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909B1 - 공간연상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공간연상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909B1
KR100897909B1 KR1020070092774A KR20070092774A KR100897909B1 KR 100897909 B1 KR100897909 B1 KR 100897909B1 KR 1020070092774 A KR1020070092774 A KR 1020070092774A KR 20070092774 A KR20070092774 A KR 20070092774A KR 100897909 B1 KR100897909 B1 KR 10089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rame
window
frame wind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08A (ko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102007009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9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연상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경무늬가 그려진 제 1 삽입부재; 투명한 필름에 그림이 그려진 제 2 삽입부재; 제 1 또는 제 2 삽입부재가 삽입되고 제거되는 프레임 부재;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어린이가 애니메이션의 원리를 체험 학습하도록 하고 발표력 및 어휘력이 발달시키며 자신감과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려진 그림, 덧그림, 배경무늬, 공간, 프레임,

Description

공간연상 학습교재{EDUCATIONAL MATERIAL FOR STORY ASSOCIATION USING FRAMED SPACE BOX}
본 발명은 일정하게 제한된 공간속에 삽입된 소정의 배경무늬와 그려진 그림과 덧그림에 의하여 어린이가 현재의 환경을 상상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그려진 그림을 추가하거나 변경하여 동일한 배경무늬에서도 다양한 내용의 애니메이션(ANIMATION) 영화를 직접 구성할 수 있음을 체험하며 연상된 내용을 이야기 하도록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까지의 연령대 아이를 유아라 하며,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다니는 연령대의 아이를 어린이라 한다. 유아 또는 어린이는 육체적인 신체의 각 부분이 정상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발달과정에 있으며, 정신적으로도 논리력, 상상력, 창의력, 판단력, 표현력 등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아와 어린이를 모두 어린이로 표현하므로 설명을 간단하게 하고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어린이 특히 초등학교 이하의 어린이에게 놀이 또는 체험 그 자체가 학습이 며, 장난 등을 통하여 신체적으로 발달하는 동시에 논리력, 사고력, 판단력 등이 지적으로 발달하지만, 일반적으로 어린이가 자라는 환경 및 성장속도 등에 의하여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어린이는 다양한 놀이, 체험학습 등의 과정을 직접 경험하면서 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육체적으로도 발달한다. 즉, 어린이는 육체적으로 완전하게 발달되지 못한 상태에서 그림그리기 등을 통하여 손 및 손가락의 근육을 발달시키므로 섬세한 손놀림을 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어린이는 손에 잡히는 것이 있으면 주변에 긋는 등의 낙서와 두드리는 등의 장난, 놀이, 체험을 통하여 육체적으로 발달하는 동시에 정신적으로 발달한다.
또한, 이러한 놀이 또는 학습을 통하여 사고력, 관찰력, 판단력, 상상력 등의 지적인 능력이 발달되고 적성이 개발되며, 특히, 어린이 혼자서 생각하고 궁리하도록 하는 경우 이러한 지적인 능력은 더욱 빠르게 발달 및 발전한다.
그러므로 성장 및 발달속도가 빠르고 교육 효과가 큰 어린이에게 일반적인 놀이를 하면서도 생각을 많이 하도록 하므로 육체적인 발달은 물론 지적 발달이 촉진되도록 하는 교육방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학원 또는 정규 교육과정의 학교 등에서 진행하는 집체 또는 집단의 주입식 교육 방식은, 획일적으로 미리 정하여진 학습교재를 이용하며 어린이 개인의 발달 수준, 적성 및 능력 차이를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일방적이며 단순하고 수동적인 활동을 요구하며 동일한 결과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이러한 주입식 교육방식은 학습에 대한 어린이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동일한 학습교재로 동일한 내용을 반복 교육할 수 없는 일회성 교육이 되어 질이 떨어지는 등, 학습효과가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의 관찰력, 상상력, 표현력 등을 개인적 능력과 적성 차이를 반영하면서 혼자 개발하도록 하는 것으로, 어린이가 혼자 생각하도록 하고, 생각한 내용을 부모 또는 선생님(이하 선생님)과 이야기 하면서 개인적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고 학습에 의욕이 생기도록 하는 학습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주어진 공간속의 배경무늬와 그려진 그림이 혼합되어 애니메이션(ANIMATION) 영화와 같은 연상이 자극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투명한 부재에 그려진 그림을 바꾸거나 추가 또는 덧그려 그려 넣으므로 자신만이 상상하는 공간을 만들고 연상된 내용을 이야기 하도록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교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삽입부재를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고 제거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손가락의 놀림이 발달되고, 다양하고 많은 종류의 각 부재를 정리 정돈하면 다음에 쉽게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체험 시키므로, 주변 사물의 관리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관화되도록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어진 공간속의 배경무늬와 혼합된 밑그림 및 덧그림을 관찰한 어린이가 상상하고 연상한 내용을 선생님과 이야기하면서 발표력과 어휘력이 발달하고 자신감과 신뢰감이 생기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도록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배경무늬가 그려진 제 1 삽입부재; 투명한 필름에 그림이 그려진 제 2 삽입부재; 및 제 1 또는 제 2 삽입부재가 삽입되고 제거되는 프레임 부재;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고 제거되며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투명한 필름의 제 3 삽입부재; 가 더 포함되어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스크린창이 구비된 스크린부재; 스크린부재의 뒷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띄움부재; 및 띄움부재의 뒷면에 부착되는 격벽부재;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자 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띄움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프레임창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창은 보호부재에 의하여 메워지고, 삽입부재의 삽입을 위하여 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띄움부재와 같은 두께이고 중앙부분에 손잡이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부재는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고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창은 제 1 또는 제 2 삽입부재가 삽입되고 제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는, 격벽부재의 뒷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띄움부재; 및 띄움부재의 뒷면에 부착되고 스크린창을 구비하는 스크린부재; 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삽입부재 또는 제 3 삽입부재는 표면에 덧그림을 더 그릴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또는 제 2 삽입부재는 각각 다른 무늬와 그림이 그려진 다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재의 프레임창에 선택된 제 1, 제 2, 제 3 삽입부재를 삽입및 교체하고, 삽입된 제 3 삽입부재에 덧그림을 그리는 삽입과정; 프레임부재의 프레임창에 삽입된 제 2 또는 제 3 삽입부재의 구성을 변경하는지 선택하는 과정; 및 프레임창의 배경을 변경하는 경우는 제 1 삽입부재를 교체 삽입하고 상기 선택하는 과정으로 궤환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과정은, 제 3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 덧그림을 그리지 않는 과정;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과정은 제 2 부재를 선택된 것으로 추가 삽입하는 과정;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과정은 프레임창에 구성된 내용을 이야기하고, 제 2 또는 제 3 삽입부재의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삽입과정으로 궤환하여 선택된 제 2 또는 제 3 삽입부재로 변경하고, 제 3 삽입부재를 변경한 경우는 덧그림을 부가하는 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주어진 소정 공간속의 배경무늬와 그려진 그림 및 덧그림의 혼합된 상태를 관찰하고 애니메이션 영화를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하므로 자신만의 상상의 공간을 직접 구성하도록 하는 학습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학습교재의 각 삽입부재를 프레임 부재에 삽입하고 빼어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어린이의 육체적인 손놀림 능력이 발달되고, 과거 체험하거나 들었던 내용을 기억하면서 기억력이 발달되며, 각 부재를 관리하는 정리정돈 능력이 자연스럽게 배양되고 습관화되는 학습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주어진 공간속의 배경무늬와 그려진 밑그림 및 그리는 덧그림의 혼합된 상태를 관찰한 어린이가 상상하고 연상된 내용을 부모 또는 선생님(이하 선생님)과 이야기하면서 자신감, 발표력, 어휘력 등이 발달하고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는 학습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 한 것으로 프레임 부재의 상세 구성 상태 도시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운용상태 설명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학습방법 순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운용순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학습에 의한 완성 상태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실시 예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부재(200)는 스크린창(125)이 구비된 스크린부재(120)의 뒷면에 프레임 창(115)을 구비한 띄움부재(110)를 붙인다. 이때 스크린창(125)의 넓이는 프레임창(115)보다 작다. 또한, 프레임창(115)을 메우기 위한 것으로 보호부재(130)가 구비된다. 보호부재(130)는 중앙 부분에 손잡이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띄움부재(110)의 뒷면에는 격벽부재(100)가 붙여지고, 격벽부재(100)의 뒷면에는 띄움부재(110)와 동일한 두께 및 크기의 뒷면의 띄움부재(110‘)가 붙여 지며, 상기 뒷면의 띄움부재(110’) 뒷면에는 상기 스크린부재(120)와 동일한 크기 및 두께의 뒷면의 스크린부재(120’)가 붙여진다. 이때 격벽부재(100)에는 배경무늬가 그려질 수 있다.
상기 뒷면 띄움부재(110‘)의 프레임창(115)을 메우기 위한 뒷면의 보호부재(130‘)가 동일한 두께 및 크기로 구비된다.
즉, 상기 프레임 부재(200)는 앞면과 뒷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쪽을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에 의하여 동시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스크린부재(120, 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해당 보호부재(130, 130’)를 프레임창(115, 115‘)에 삽입하여 메운다.
프레임부재(200)로 학습을 시작하는 경우, 선생님의 지도를 받은 어린이는 손잡이홈(135)을 이용하여 보호부재(130)를 제거 또는 분리한다. 이러한 과정은 어린이가 직접 하도록 하므로 손가락의 근육 및 움직임을 발달시킨다.
또한 어린이가 다수의 제 1 삽입부재(210)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제 1 삽입부재(210)를 프레임창(115)에 삽입하고, 다시 다수의 제 2 삽입부재(220)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부재(220)를 프레임창에 삽입된 제 1 삽입부재(210)의 앞면에 삽입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부재(210,220,230)를 삽입부재(240)로 한다.
이때 제 2 삽입부재(220)는 투명한 필름재질에 그려진 것이므로 다수를 선택하여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그림이 전혀 그려지지 않은 제 3 삽입부재(230)를 추가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 3 삽입부재(230)에는 사인펜, 볼펜, 매직 펜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덧그림을 그릴 수 있다.
제 3 삽입부재(230)는 프레임창(115)에 삽입된 제 1 삽입부재(210), 제 2 삽입부재(220)에 의하여 구성된 공간의 내용을 관찰하여 필요하다고 선택되는 덧그림을 추가로 더 그려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삽입부재(210,220,230)가 포함되는 삽입부재(240)는 프레임창(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200)의 위로 일정한 크기만큼 돌출되므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 1 삽입부재(210), 제 2 삽입부재(220), 제 3 삽입부재(230)는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프레임창(115)이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동시에 약간 위로 튀어나올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므로, 삽입부재(240)를 손으로 잡아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스크린창(125)의 크기(SIZE)는 프레임창(115)의 크기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 1 삽입부재(210), 제 2 삽입부재(220), 제 3 삽입부재(230)는 프레임창(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린 창으로 인출되지 않고 유지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부재(200)의 프레임창(115)에 제 1 삽입부재(210)가 먼저 삽입되고, 제 2 삽입부재(220)가 삽입된 다음에 제 3 삽입부재(230)가 삽입되는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제 2 삽입부재(220)는 다수가 삽입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 3 삽입부재(230)도 다수 삽입할 수 있다. 즉, 프레임창(115)이 형성하는 두께는 띄움부재(110, 110‘)의 두께에 의하여 형성 되는 것으로, 다수의 삽입부재(240)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유지한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운용 상태를 설명하면, 선생님의 지도를 받는 어린이에 의하여 프레임부재(200)의 프레임창(115)을 메우고 있는 보호부재(130)를 분리하여 제거한다(S100). 이때 어린이는 손가락을 손잡이홈(135)에 끼워 보호부재를 분리하도록 힘을 인가하면서 손가락의 근육을 발달시키고, 또한, 각 부재를 삽입하며 빼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힘과 놀림동작이 발달된다. 또한, 각 부재를 삽입하기 위하여 찾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세밀한 손놀림이 반복되고 정리정돈의 필요성을 인식하므로, 주변을 정리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체험하고 습득한다.
어린이는 선생님의 지도에 의하여 다수의 제 1 삽입부재(2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프레임창(115)의 공간에 삽입하고, 다수의 제 2 삽입부재(22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프레임창(115)의 공간에 삽입한다(S110). 이때 프레임창의 뒷면을 구성하는 격벽부재(100)에 그려진 무늬를 그대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제 1 삽입부재(210)를 프레임창(115)에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배경무늬가 선택된 경우, 필요에 의하여 선택된 제 2 삽입부재(220) 및 제 3 삽입부재(230)를 추가 삽입하거나 교체하여 삽입한다(S120). 즉, 어린이는 자신이 원하는 또는 상상하는 자신만의 공간을 구성하기위하여 삽입부재(240)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삽입하거나 교체하고 덧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창(115)에 삽입된 제 1 삽입부재(210)와 제 2 삽입부 재(220)의 합성에 의하여 구성된 공간을 관찰하고, 덧그림이 필요하다고 선택되면 제 3 삽입부재(230)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덧그림을 부가한다(S130). 이때 덧그림을 그리기 위하여 필기구, 일예로, 매직펜, 유성펜, 사인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창(115)의 공간에 삽입부재(240)가 삽입되어 애니메이션(ANIMATION) 영화(MOVIE)와 같이 구성된 그림을 관찰한 어린이는 연상되거나 상상되는 내용을 부모 또는 선생님에게 이야기하도록 시킨다(S140). 이러한 과정에서 어린이는 발표력, 어휘력 등이 발달하는 동시에 선생님과 더욱 가까워지게 되고, 칭찬을 들으면서 자신만의 공간을 구성하였다는 성취감 및 자신감을 갖게 되는 동시에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게 된다.
이때, 선생님의 지도 또는 도움을 받은 어린이에 의하여 프레임창(115) 공간에 삽입되어 구성된 내용을 수정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S150), 상기 삽입과정(S120)으로 궤환(FEEDBACK)하여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부재(220)를 선택하고, 프레임창(115)에 삽입하거나 기존에 삽입된 제 2 삽입부재(220)와 교체하며, 제 3 삽입부재(230)에 필요한 덧그림을 부가하고, 연상된 내용을 이야기 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S120, S130, S140).
또한, 공간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배경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S160)는 제 1 삽입부재(2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프레임창(115)에 교체 삽입하고(S170), 기존에 삽입되어 있는 제 2 및 제 3 삽입부재(220, 230)에 의한 밑그림과 혼합된 공간 구성을 관찰하여 연상되고 상상된 내용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또한, 배경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공간연상 학습교재를 이용한 체험학습을 마치고자 하는 경우는 프레임창(115)에 삽입된 제 1 삽입부재(210), 제 2 삽입부재(220), 제 3 삽입부재(230)를 모두 제거하고, 보호부재(130)를 프레임창(115)에 삽입한 후에 정리하는 종료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어린이가 각 삽입부재(240)를 종류별로 직접 정리정돈 및 관리하도록 체험학습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인 프레임부재(200)의 프레임창(115)에 제 1 삽입부재(210)를 삽입하고, 선택된 제 2 삽입부재(220)를 삽입하며, 또 다른 선택된 밑그림 부재를 삽입하고, 제 3 삽입부재(230)에 필기구로 필요한 덧그림을 그린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1 삽입부재(210)만을 교체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학습에 의한 완성 상태가 여러 가지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제 1 삽입부재와 제 2 삽입부재를 각기 달리하여 완성된 공간 구성상태가 여러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선생님은 어린이와 이야기 하면서, 주어진 작은 공간속이 “어디 이었나요?”, “누구와 같이 있었나요?”, “무엇이 놓여 있었나요?”, “거기서 무엇을 했었나요?”, “이번엔 어떤 곳으로 갔을까요?” 등과 같이 물으면서 이야기가 진행되도록 한다.
어린이와 함께하였던 장소가 있다면 해당 장소를 연상하도록 일깨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적당한 장소가 없는 경우는 재미나는 동화이야기를 선택하여 읽어주면서 상상하도록 한다.
일실시 예로, “모퉁이를 돌아가 보니 이미 토끼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천장이 낮은 기다란 넓은 방안이었습니다. 천장에 매달려 있는 한 줄의 램프가 방안을 환히 비춰 주고 있었습니다. 넓은 방 안 벽에는 문이 몇 개나 있었습니다. 그러나 어느 창문이고 자물쇠가 채워져 있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 은근히 걱정이 되었습니다. 맥없이 방 한가운데에 와보니 거기엔 세발 유리테이블이 놓여 있었습니다. 그 위에 한 개의 작은 황금열쇠가 얹혀 있었습니다.”등과 같은 동화를 읽어주고 나서, 본 발명에 의한 학습교재로 공간에 구성되는 배경무늬, 밑그림, 덧그림을 추가 및 바꾸면서 상상 및 연상하도록 하는 경우, 어린이의 기억력 등을 발달시키게 되면서 상상력, 추리력 등이 더욱 발달되고, 동화 속에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느끼게 하여 재미를 붙이게 되므로 학습에 흥미를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어린이가 체험학습을 진행하면서 관찰력, 사고력, 논리력, 추리력, 발표력, 어휘력 등을 발달시키고, 육체적으로 손가락의 기능을 발달시키며, 성취감과 자신감 및 학습의욕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 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구성 상태 도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프레임 부재의 상세 구성 상태 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운용상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학습방법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운용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공간연상 학습교재의 학습에 의한 완성 상태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격벽부재 110 : 띄움부재
115, 115‘ : 프레임창 120, 120’ : 스크린부재
125 : 스크린창 130, 130‘ : 보호부재
135 : 손잡이홈 200 : 프레임부재
210 : 제 1 삽입부재 220 : 제 2 삽입부재
230 : 제 3 삽입부재 240 : 삽입부재

Claims (17)

  1. 사각형상의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프레임창이 중앙에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띄움부재와, 스크린창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띄움부재의 전면에 부착되는 사각형상의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
    일측에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창의 상부로 삽탈되어 프레임창을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보호부재; 및
    배경무늬가 그려진 제1 삽입부재와, 그림이 그려진 투명한 재질의 제2 삽입부재와,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투명한 재질의 제3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창의 상부로 삽탈되는 삽입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창은 프레임창과 위치가 일치하며 프레임창에 삽입된 삽입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창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삽입부재에는 각각 다른 무늬와 그림이 그려진 공간연상 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격벽부재의 뒷면에 전면측과 대칭으로 띄움부재와 스크린부재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에는 배경무늬가 그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연상 학습교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92774A 2007-09-12 2007-09-12 공간연상 학습교재 KR10089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74A KR100897909B1 (ko) 2007-09-12 2007-09-12 공간연상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74A KR100897909B1 (ko) 2007-09-12 2007-09-12 공간연상 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08A KR20090027508A (ko) 2009-03-17
KR100897909B1 true KR100897909B1 (ko) 2009-05-18

Family

ID=4069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74A KR100897909B1 (ko) 2007-09-12 2007-09-12 공간연상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723U (ko) * 1997-05-29 1998-12-05 김선득 이야기 그림판
KR200255303Y1 (ko) * 2001-09-04 2001-12-01 오형석 홀로그램 표시창을 갖는 아동 도서
KR200267629Y1 (ko) 2001-12-06 2002-03-12 김동길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KR200289700Y1 (ko) * 2002-06-08 2002-09-19 최승혁 간이 인형극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723U (ko) * 1997-05-29 1998-12-05 김선득 이야기 그림판
KR200255303Y1 (ko) * 2001-09-04 2001-12-01 오형석 홀로그램 표시창을 갖는 아동 도서
KR200267629Y1 (ko) 2001-12-06 2002-03-12 김동길 그림판과 놀이상자가 결합된 어린이용 학습 놀이구
KR200289700Y1 (ko) * 2002-06-08 2002-09-19 최승혁 간이 인형극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08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son Child art after modernism: Visual culture and new narratives
Silverman Upside-down brilliance: The visual-spatial learner
Maslyk STEAM makers: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elementary classroom
Reagan STEM-infusing the Elementary Classroom
Steinmetz Computers and squeak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Porter The art of digital storytelling
Lauritzen Facilitat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eschool setting: A process approach
KR100897909B1 (ko) 공간연상 학습교재
Reyes A teacher's case for learning center extensions in kindergarten
Charles et al. Using multiliteracies and multimodalities to support young children's learning
Ardalan et al. Art and Technology: Innovative KÐ12 Digital Lessons
De Rijke ‘It Might Get Messy, or Not Be Right’: Scribble as Postdevelopmental Art
Rolling Sacred structures: Assembling meaning, constructing self
Caldemeyer On ideas: Organic creativity in teaching visual arts
Cecchini How dramatic play can enhance learning
Presicce Explorations in computational tinkering
Dolloff Evoking belief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mith Social competency skills through puppetry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Chung Barrington Bunny: case of the curious clouds a narrative picture book for symbolic play and STEM curriculum
Spiegelman et al. Lost in NYC: A Subway Adventure
Bhayat Quest.
Uka et al. CHILD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A CASE OF SKILL ACQUISITION
O’Connell Visual ways of knowing, thinking, and interacting
Mesquit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drawings of children from 6 to 9 years old: creating an animated pro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