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426Y1 -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 Google Patents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426Y1
KR200267426Y1 KR2020010039878U KR20010039878U KR200267426Y1 KR 200267426 Y1 KR200267426 Y1 KR 200267426Y1 KR 2020010039878 U KR2020010039878 U KR 2020010039878U KR 20010039878 U KR20010039878 U KR 20010039878U KR 200267426 Y1 KR200267426 Y1 KR 200267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wder
plant
absorbent portion
potted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기
Original Assignee
김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기 filed Critical 김흥기
Priority to KR2020010039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426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당량의 물을 장기간 급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물이 충진된 겉분과 식물이 심어진 속분이 결합된 이중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상기 속분에 흡수부를 성형하되 상기 흡수부를 상기 겉분의 내부에 안착시켜 식물에 물을 장시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A flowerpot having suction part of water}
본 고안은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속분과 겉분의 이중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속분의 하측에 흡수부를 형성하고, 이를 물이 충진되어진 겉분에 안착시켜 적당량의 물을 장기간 급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분의 내부에는 식물의 뿌리를 지탱하는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토가 채워지고, 화분의 바닥면에는 배수용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용 통공에서 배출되는 물을 담는 화분받침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화분에서 물을 주기적으로 주어야 식물의 생장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나, 장기간 여행 또는 출장 등으로 관리를 소홀히 하게 되면 식물이 말라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처음 화초를 키우는 사람들은 물의 양을 적정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많은 물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화분은 배수용 통공을 통해 화분 내부의 분토가 흘러내리거나 과잉 공급된 물이 화분받침대에서 넘쳐 주의환경를 지저분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고, 화분받침대에 물이 채워져 있으면 식물 뿌리가 섞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적당량의 물을 장기간 급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사용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화분
10: 겉분
20: 속분
21: 장식부
22: 흡수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이 충진된 겉분과 식물이 심어진 속분이 결합된 이중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상기 속분에 흡수부를 성형하되 상기 흡수부를 상기 겉분의 내부에 안착시켜 식물에 물을 장시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부는 황토에 화산재와 규사를 혼합하여 1200℃ ∼ 1250℃로 소성하여 무수한 기공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화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겉분(10)과 속분(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겉분(10)에는 물이 충진되어 있고, 속분(20)에는 관상용의 화초가 심어져 있다.
상기 속분(20)은 장식부(21)와 흡수부(2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부(22)를 상기 겉분(10)에 안착시켜 물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황토에 화산재와 규사를 혼합하여 1200℃ ∼ 1250℃로 소성한다.
그리고, 상기 화분의 장식부(21) 부위에만 유약을 도포하게 하게 되면 속분(20)이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속분(20)을 화산재와 규사를 혼합하여 소성하게 되면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소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화분에 심어진 화초 등에 별도의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속분(20)에 양파, 고구마, 마늘, 감자 등의 담아 놓으면, 겉분(10)에서 적당한 문을 흡수하여 싹이 나오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교육용으로도 활용할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은 장기간 화분에 물을 주지 않아도 흡수부에서 적당량의 물을 흡수하여 화초에 제공함으로서, 관리가 편리하고, 특히, 초보자들이 화초를 가꾸는데 편리하다.
또한, 분토가 흘러내리지 않고, 물받침이 필요없기 때문에 주의 환경이 위생적이고, 소량의 물로서 장기간 관리가 됨으로 물의 소비량을 줄일수 있다.
또한, 속분에 양파, 고구마 등의 담아 싹이 나오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교육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물이 충진된 겉분(10)과 식물이 심어진 속분(20)이 결합된 이중구조의 화분에 있어서, 상기 속분(20)에 흡수부(22)를 성형하되 상기 흡수부(22)를 상기 겉분(10)의 내부에 안착시켜 식물에 물을 장시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22)는 황토에 화산재와 규사를 혼합하여 1200℃ ∼ 1250℃로 소성하여 무수한 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KR2020010039878U 2001-12-24 2001-12-24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KR200267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78U KR200267426Y1 (ko) 2001-12-24 2001-12-24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78U KR200267426Y1 (ko) 2001-12-24 2001-12-24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426Y1 true KR200267426Y1 (ko) 2002-03-12

Family

ID=7311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78U KR200267426Y1 (ko) 2001-12-24 2001-12-24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852A1 (ko) * 2020-01-23 2021-07-29 (주) 웰그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852A1 (ko) * 2020-01-23 2021-07-29 (주) 웰그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89639U (zh) 水培与土培一体化种植系统及其装置
KR200267426Y1 (ko) 흡수부를 구비한 화분
CN2236732Y (zh) 一种保湿保肥、透气保洁的花卉栽培盆
US5549500A (en) Animalian figurine
US20020152676A1 (en) Plant water absorbing container
KR20100055176A (ko) 화분장치
CN204742116U (zh) 基质培、气雾培、水培三培结合的攀延植物栽培盆
KR20140007679A (ko) 잔디 테이블
KR200288835Y1 (ko) 배수구가 없는 투명화분
CN207075284U (zh) 一种接地气式多功能盆器
KR200370206Y1 (ko) 화초 재배장소가 구비된 테이블
CN2607012Y (zh) 双层花盆
JP2002000098A (ja) 浮遊式の草花栽培容器体、およびその草花栽培容器体を用いた浮遊式の花壇
CN101595813B (zh) 双盆式花盆
KR100689755B1 (ko) 관상용 이끼식물 석재 및 그 제조 방법
CN217445954U (zh) 一种组合式陶装饰性花盆
CN210840799U (zh) 一种兰花种植盆
CN201222899Y (zh) 双盆式花盆
KR900002546Y1 (ko) 벽걸이 화분
KR200242315Y1 (ko) 송이석을 이용한 액자형 분재
KR200220751Y1 (ko) 식물재배용 화분
KR200313507Y1 (ko) 배수구가 없는 화분
KR200397188Y1 (ko) 이끼식물 석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8485Y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한 화분
TWM542341U (zh) 水耕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