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398Y1 - 다용도 고정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398Y1
KR200267398Y1 KR2020010039409U KR20010039409U KR200267398Y1 KR 200267398 Y1 KR200267398 Y1 KR 200267398Y1 KR 2020010039409 U KR2020010039409 U KR 2020010039409U KR 20010039409 U KR20010039409 U KR 20010039409U KR 200267398 Y1 KR200267398 Y1 KR 200267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ove
piece
shelf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20010039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398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7), 거울(8)등의 틈새공간이 있는 장소에 고정·장착하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정부(2)와 조절부(3)로 형성된 고정장치를 이용함으로서 각종의 도어(7)나 거울(8)등의 틈새공간을 이용하여 선반(4), 원통형수납함(5), 소반함(6)등의 각종거치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안은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2)에는 도어(7), 거울(8)등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삽입고정판(2a)과 조절부(3)가 결합되기 위한 조절편결합홈(2b)가 형성되고 조절부(2)에는 일측에 고정끼움편(3a)이 형성되고 중앙에 돌림조절대(3b)가 형성되고 반대일측에는 결합끼움편이 형성되며 고정끼움편 내측에 삽입나사홈(3d)이 형성되고 조절편받침대(3f)가 결합된 조절나사(3e)가 형성되어서 고정부(2)와 조절부(3)의 간격을 조절가능케 하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수납수단이면서 일측에는 공통적으로 같은 형태의 슬라이드걸림편(4a, 5a, 6a)을 결합끼움편(3c)에 결합함으로서 원통형수납함(5), 소납함(6)등을 구성할 수 도 있고 복수개의 선반고정구(4)를 설치함으로서 선반을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으로서 벽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도 손쉽게 거치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재설치시 분해·조립이 간편한 점등 본 고안은 그 유용성이 다대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고정구{omitted}
본 고안은 도어(7), 거울(8)등의 틈새공간이 있는 장소에 고정·장착하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절부(3)과 고정부(2)로 형성된 고정장치를 이용함으로서 각종의 도어나 거울등의 틈새공간을 이용하여 선반, 원통수납함, 소반함등의 각종거치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거치수단의 고정구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방법인 드릴을 이용하여 못, 나사등을 벽면에 고정하여 각종 거치기구를 장착하여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이보다 좀 발전한 방법으로는 각종의 포스트상에 나사 및 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류의 고정구를 장착하여 상기 브라켓고정구에 각종 선반등을 구성하여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고정구가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중 못, 나사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은 벽면에 못자국 및 흠집을 남기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고정방법도 어려운 등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그 외 나사 및 볼트를 이용한 브라켓류의 고정구를 이용한 고정방법은 포스트와 같은 지지대가 있어야 장착이 가능한 것이므로 욕실내의 거울이나도어등에 못, 나사등이 없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가 없으므로 이러한 못, 나사가 없이도 간편하게 고정구를 탈·부착함으로서 각종 수납이 가능한 새로운 고안품이 필요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고정부(2)와 조절부(3)로 형성이 되며 고정부의 삽입고정판(2a)을 거울의 틈새공간과 도어의 상면 및 양측면에 끼움결합시켜 1차적으로 장착시키고 조절부의 돌림조절대(3b)를 회전시켜 삽입고정판(2a)과 조절편받침대(3f)를 밀착시켜 거울면과 도어면에 본 다용도 고정구(1)가 완전하게 장착되게 하며, 상기와 같이 고정된 다용도고정구(1)의 결합끼움편(3c)에는 수납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면서도 동일형태의 슬라이드걸림편(4a)이 형성된 각종 거치수단을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함으로서 다양한 수납종류의 각종 거치수단을 장착가능하며, 다용도 고정구(1)는 용도에 따라 복수개를 사용할 수 도 있는바 각종 거치수단중 선반고정구(4)를 복수개를 장착하면 선반을 형성할 수 도 있고 단수개를 이용하여서는 원통형수납함(5), 소반함(6)등의 다양한 종류의 수납함이 설치가능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포스트등의 지지대가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벽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도 누구나 손쉽게 조립·분해가 가능한 다용도 고정구(1)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보조연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장착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다용도 고정구 2: 고정부
2a: 삽입고정판 2b: 조절편결합홈
3: 조절부 3a: 고정끼움편
3b: 돌림조절대 3c: 결합끼움편
3d: 삽입나사홈 3e: 조절나사
3f: 조절편받침대 4: 선반고정구
4a, 5a, 6a: 슬라이드걸림편 4b: 조절봉체결홈
4c: 선반조절봉 5: 원통형수납함
6: 소반 7: 도어
8: 거울 9: 벽면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도어(7), 거울(8)등의 틈새공간에 고정·장착하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별도의 지지기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조절부(3)과 고정부(2)로 형성된 고정장치를 이용함으로서 각종의 도어(7)나 거울(8)등의 틈새공간을 이용하여 선반고정구(4), 원통형수납함(5), 소반함(6)등의 각종 거치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고정구(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용도 고정구(1)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용도 고정구(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2), 조절부(3), 선반고정구(5)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선반고정구(4)대신에 원통형수납함(5)과 소반함(6)등으로 대체·장착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분류되는 본 고안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까 합니다.
먼저, 고정부(2)는 욕실내의 벽면(9)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거울(8)의 4방면의 가장자리면과 벽면(9)과의 틈새공간이라든지 욕실도어(7)의 4방면의 가장자리면에 삽입되기 위한 ' V ' 자 형상의 뽀쪽하게 돌출된 형태의 삽입고정판(2a)과 조절부의 고정끼움편(3a)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아래로 길게 홈이 터져 형성된 조절편결합홈(2b)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조절부(3)는 조절편결합홈(2b)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부(2)와 조절부(3)를 결합시켜주는 고정끼움편(3a)와 상기 고정끼움편(3a)의 일측에 거울(8), 도어(7)면에 완전하게 고정 및 분해하기 위하여 회전시켜 조절하는 돌림조절대(3b)와 상기돌림조절대(3b)의 일측에 각종 거치수단을 끼움·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형상이며 내측은 협소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결합끼움편(3c)와 상기 원형 형태의 결합끼움편(3c)의 내측에는 조절나사(3e)가 삽입조절되기 위하여 나사형식으로 홈이 형성된 삽입나사홈(3d)과 상기 삽입나사홈(3d)을 따라 회전하면서 조절되어 좌우이동이 되는 조절나사(3e)와 상기 조절나사의 일면에 거울(8)등의 면을 받쳐주는 조절나사받침대(3f)로 구성이 된다.
선반고정구(4)는 슬라이드걸림편(4a)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조절부(3)의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되는 것으로 막대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조절봉체결홈(4b)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용도 고정구(1)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거울 및 도어에 복수개를 장착하여 여기에 선반고정구(4)를 각 장착한 뒤 다수개의 선반조절봉(4c)을 복수개의 선반고정구(1)의 조절봉체결홈(4c)상호간에 연결하여 선반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반고정구(1)는 조절부(3)의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되기 위한 일측면에는 외측은 협소하고 내측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형태로서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드걸림편(4a)이 형성되며 슬라이드걸림편의 상부는 선반고정구가 결합끼움편(3c)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막혀있는 형상이며 그 하부는 자유로이 착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드걸림편(4a)과 슬라이드걸림편(4a)의 이면에는 선반이 설치되기 위한 직사각형태의 몸통에 선반조절봉(4c)이 연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조절봉체결홈(4b)로 구성된다.
상기의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되는 것으로 선반고정구(4)대신 원통형수납함(5)과 소반함(6)을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바, 원통형수납함(5)과 소반함(6)은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되는 슬라이드걸림편(4a)부분은 선반고정구의 슬라이드걸림편(4a)부분과 그 형태가 동일하며 이면의 수납형태의 구성은 수납용도에 따라 그 형태가 상이한데 원통형수납함(5)은 물컵의 형태와 유사한 원통형의 형태이며 소반함(6)은 측면부분이 다소 낮은 사각형태로서 이면에는 각 슬라이드걸림편(5a, 6a)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진다.
구체적인 구성에 이어 결합과정 및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본 고안인 다용도 고정구(1)가 결합되어 욕실거울(8) 및 도어(7)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조절편받침대(3f)와 결합된 조절나사(3e)를 고정부(2)의 내측에서 조절편결합홈(2b)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끼운채 조절부(3)의 삽입나사홈(3d)을 조절나사(3e)에 회전시킴으로서 결합·장착되는 것으로 끝까지 회전시켜 완전하게 장착이 되게 한다.
이렇게 고정부(2)와 조절부(3)가 일시적으로 결합이 되면 장착하고자 하는 욕실의 도어(7)측면이라든가 거울(8)면과 벽면(9)과의 틈새공간에 삽입고정판(2a)을 끼우는 것으로서, 삽입·장착된 삽입고정판(2a)과 조절편받침대(3f) 사이에 거울면이나 도어면이 완전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고 일방으로 돌림조절대(3b)를 회전시켜 끝까지 조여져 있던 나사를 풀게 되면 삽입고정판(2a)과 조절편받침대(3f)는 그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최대한 나사를 풀면 삽입고정판(2a)과 조절편받침대(3f)가 최대한 그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거울면과 도어면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므로 본 다용도 고정구(1)는 거울(8)면과 도어(7)면에완전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끼움편(3c)를 통하여 선반고정구(4) 및 원통형 수납함(5), 소반함(6)등을 장착할 수 있는바, 상기에 언급된 수납용구인 선반고정구, 수납함, 소반함의 일측에 형성된 내광외협(內廣外狹)형태의 슬라이드 걸림편(4a, 5a, 6a)을 통해 내협외광(內狹外廣)형태의 결합끼움편(3c)에 결합·장착이 되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장착은 슬라이드걸림편(4a, 5a, 6a)의 하부를 결합끼움편(3c)의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드식으로 장착하면 슬라이드걸림편은 결합끼움편에 완전히 결합·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선반고정구(4), 원통형수납함(5), 소반함(6)등을 장착할 수 있는바, 여기에서 각 거치수단의 장착방법 및 활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원통형태의 수납함과 사각형태의 소반함은 슬라이드걸림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보조적인 장착없이 원통형수납함과 소납함으로 완성되며, 선반고정구는 선반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고정구는 슬라이드걸림편이 형성된 이면에 길게 형성된 막대형식으로 선반조절봉(4c)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절봉체결홈(4b)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이렇게 형성된 선반고정구를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개 형성하면 다수개의 조절봉체결홈간에 선반조절봉을 나란히 장착하게 되면 선반이 구성된다.
이렇듯 상기와 같이 다용도 고정구(1)를 이용하여 선반, 수납함, 소반등을 수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다용도고정구를 이용하게 되면 수납,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은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즉, 결합끼움편(3c)에 끼움·장착되는 슬라이드걸림편(4a, 5a, 6a)과 같은 체결수단만을 일측에 형성하면 어떠한 종류의 수납거치함이라도 다용도 고정구(1)를 이용하여 수납,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고정구(1)는 욕실내의 거울면의 틈새공간이나 도어면에 장착하여 선반 및 수납함, 소반등을 구성하기 위한 다용도 고정구로서 본 고안은 별도의 포스트등의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특히 벽면에 못등으로 인한 흠집을 내지 않고도 다용도 고정구의 고정부와 조절부를 이용하여 거울 및 도어면에 고정시키고 여기에 각종의 수납용구인 선반, 수납함, 소납등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이동조립시에도 분해 및 재설치가 간편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

  1. 욕실등의 벽면(9)에 고정·장착된 거울(8)면과 벽면(9)과의 틈새공간이라든가 각종 도어(7)의 가장자리면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각종의 수납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틈새공간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형태의 삽입고정판(2a)과 조절부(3)의 고정끼움편(3a)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아래로 길게 홈이 터져 형성된 조절편결합홈(2b)이 형성된 고정부(2)와;
    상기 고정부(2)의 조절편결합홈(2b)에 원활하게 장착되기 위하여 원형이며 원형의 내측에는 홈이 터져있고 외면에는 돌출면이 있는 '' 형태의 고정끼움편(3c)이 형성되고 고정끼움편의 일측에는 원형테두리의 표면부분에 일정간격으로 소횡홈이 형성된 돌림조절대(3b)가 형성되고 돌림조절대의 가장자리측면에는 원형형상이며 내협외광 형태의 결합끼움편(3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끼움편(3a)의 내면에는 나사형식으로 일정한 길이의 홈이 형성된 삽입나사홈(3d)과 상기 삽입나사홈에 회전시켜 장착되어 좌우의 폭의 조절기능을 하는 외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조절나사(3e)와 상기 조절나사의 일측면에 거울이나 도어의 면을 효율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조절나사받침대(3f)로 형성이 되는 조절부(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고정구(1).
KR2020010039409U 2001-12-11 2001-12-11 다용도 고정구 KR200267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09U KR200267398Y1 (ko) 2001-12-11 2001-12-11 다용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09U KR200267398Y1 (ko) 2001-12-11 2001-12-11 다용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398Y1 true KR200267398Y1 (ko) 2002-03-12

Family

ID=7307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409U KR200267398Y1 (ko) 2001-12-11 2001-12-11 다용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3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386B1 (ko) 2008-04-16 2010-11-30 이안제 행거 설치형 선반
KR101846649B1 (ko) * 2016-03-15 2018-05-18 김태연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386B1 (ko) 2008-04-16 2010-11-30 이안제 행거 설치형 선반
KR101846649B1 (ko) * 2016-03-15 2018-05-18 김태연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6013A (en) Support post mounting assembly
RU2422072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US6164610A (en) Concealed cantilever shelf support
JP5515052B2 (ja) 引出し用フロント調整器及び引出し
US20030168414A1 (en) Adjustable rackmount assembly
US200702524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liding drawer within a cabinet
KR200267398Y1 (ko) 다용도 고정구
US20190174919A1 (en) Cabinet drawer
US20060043039A1 (en) Integrated posts/ferrule
KR200417642Y1 (ko) 벽면부착형 조립식 선반
EP1993419B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barre d'accrochage d'ustensiles de cuisine
GB2126879A (en) Shower stalls and fittings therefor
FR2802787A3 (fr) Appareil electromenager encastrable, notamment refrigerateur equipe de dispositifs de reglage millimetrique de la position de l'habillage frontal de finition
KR200167011Y1 (ko) 화장실칸막이 고정받침대
EP1614821B1 (en) Partition wall system for offices and the like with a closure device for wall panels
JP5540999B2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装置
JP5720120B2 (ja) 木質系の組立式机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KR200237868Y1 (ko) 선반수납물의 낙하방지를 위한 아암조절장치
JP3031710U (ja) 流し台下方空間に設置する置棚
JPH10117968A (ja) 衛生室用付属物品の取付構造
JP3598996B2 (ja) 出窓付きキッチン
RU2268632C2 (ru) Перегородка с элементом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го аксессуара
JPH079297Y2 (ja) スタンド用固定金具
KR100286432B1 (ko) 조립식 쇼우케이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