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966Y1 - 메리야스 - Google Patents

메리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966Y1
KR200266966Y1 KR2020010036657U KR20010036657U KR200266966Y1 KR 200266966 Y1 KR200266966 Y1 KR 200266966Y1 KR 2020010036657 U KR2020010036657 U KR 2020010036657U KR 20010036657 U KR20010036657 U KR 20010036657U KR 200266966 Y1 KR200266966 Y1 KR 200266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at
armpit
shoulder
maryas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만화
Original Assignee
안만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만화 filed Critical 안만화
Priority to KR2020010036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966Y1/ko

Link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통부 및 어깨부를 개량한 메리야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어깨부의 어깨선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어깨부를 인체의 어깨 및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시키는 스판부재와, 상기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는 땀제거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리야스의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되면서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좋은 메리야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메리야스{UNDERSHIRT}
본 고안은 메리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겨드랑이 부위가 처지지 않고,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좋은 메리야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메리야스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가 없는 나시 형태의 메리야스와 소매가 있는 티 형태의 메리야스가 있다.
이러한 메리야스는 사용자의 복부 및 등 부위를 수용하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목통과구와 팔통과구를 형성하는 어깨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메리야스는 착용상태에서 어깨부 하단의 겨드랑이 부위가 도 1의 "A"와 도 2의 "B"와 같이 처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의 몸부분의 피부와 팔부분의 피부가 맞닿아서 땀이 분비되는 단점이 있으며, 분비된 땀이 사용자의 몸으로 흘러내려 불쾌감을 조성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메리야스는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겨드랑이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겨드랑이 부위가 처지지 않고,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땀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메리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메리야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리야스 3 : 몸통부
5 : 어깨부 10 : 스판부재
11 : 땀제거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몸통부 및 어깨부를 갖는 메리야스에 있어서,상기 어깨부의 어깨선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어깨부를 인체의 어깨 및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시키는 스판부재와, 상기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는 땀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몸통부 양측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흡수패드와, 상기 흡수패드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통풍이 가능한 망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몸통부 양측을 모두 망사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판부재를 경계로 상기 어깨부로부터 연장된 소매부를 포함하며,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겨드랑이 근처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소매부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1)는 통상의 메리야스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복부 및 등 부위를 수용하는 몸통부(3)와, 몸통부(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어깨부(5)와, 어깨부(5)를 인체의 어깨 및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시키는 스판부재(10)와, 어깨선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어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는 땀제거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스판부재(10)는 탄성력이 우수한 스판사를 재료로 하여 밴드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도 3 및 도 4와 같이, 메리야스(1)의 어깨선에 둘레방향을 따라 재봉한다. 이 스판부재(10)는 메리야스(1)의 어깨부(5)를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에 밀착시킴으로써 어깨부(5) 하단의 겨드랑이 부위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스판부재(10)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과도하게 조이지 않도록 제작되는데, 이는 스판부재(10)의 재료인 스판사의 데니아(Denier: 스판사의 굵기 단위)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스판부재(10)의 형상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상의 줄 형태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스판부재(10)의 표면에 무늬 등을 형성하여 미관을 좋게 할 수도 있다.
땀제거부(11)는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스판부재(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땀을 흡수하는 흡수패드(13)와, 흡수패드(13)의 둘레에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를 겨드랑이로 통풍시키는 망사(15)로 구성된다. 흡수패드(13)는 흡수성이 우수하고 빠른 건조성을 갖는 합성섬유 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망사(15)의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 또는 레이스 등의 장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겨드랑이 털이 망사(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수치심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망사(15) 역시 합성섬유 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땀제거부(11)는 겨드랑이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1)를 도 4와 같이 입으면, 스판부재(10)의 탄력성에 의해 어깨부(5)가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 둘레에 밀착되어 어깨부(5) 하단이 처지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의 몸부분의 피부와 팔부분의 피부가 맞닿지 않게 되어 땀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땀이 분비되더라도 땀제거부(11)가 겨드랑이 부위에 접촉하기 때문에 겨드랑이에서 분비된 땀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겨드랑이에서 분비된 땀이 흡수패드(13)로 흡수된 다음 건조되고, 망사(1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겨드랑이로 유입되어 겨드랑이 부위를 건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가 항상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어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분비되는 땀에 의한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없다. 이때, 망사(15)를 통해 겨드랑이 부위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겨드랑이부위에 형성되는 인체의 뜨거운 공기의 순환흐름은 사용자의 몸과 팔의 움직임에 따라 망사(15)의 유동에 따라 망사부위의 공기가 망사(15)의 내, 외측으로 유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스판부재(10)가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 둘레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겨드랑이에서 분비된 땀이 사용자의 몸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생활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21)는 어깨선을 경계로 어깨부(25)로부터 연장된 소매부(27)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깨부(25)를 인체의 어깨 및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시키는 스판부재(30)와,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몸통부(23)와 소매부(27)에 마련되는 땀제거부(31)를 가지고 있다.
땀제거부(31)의 설치위치는 메리야스(21)에 소매부(27)가 마련된 이유로 몸통부(23)의 양 상측과 양 소매부(27)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땀제거부(31)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수패드(33) 및 망사(3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흡수패드(33)와 망사(35)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41)는 땀제거부(51)를 제외한 몸통부(43), 어깨부(45), 스판부재(50)의 구성이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몸통부(43), 어깨부(45), 스판부재(50)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3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410의 땀제거부(51)는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망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망사는 외부의 공기와 겨드랑이부위에 형성되는 인체의 뜨거운 공기를 망사의 내,외측으로 통풍시킴으로써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빠르게 건조시킨다. 이 망사 역시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 또는 레이스 등의 장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실시예에 따른 메리야스(61)는 제2실시예와 같이 어깨선을 경계로 어깨부(65)로부터 연장된 소매부(67)를 구비하고 있으며,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몸통부(63) 양 상측과 양 소매부(67) 하측에 각각 땀제거부(71)로서 망사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망사는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메리야스의 어깨선 둘레방향을 따라 스판부재를 마련하고,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땀제거부를 마련함으로써, 메리야스의 겨드랑이 부위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의 몸부분의 피부와 팔부분의 피부가 맞닿지 않게 되어 겨드랑이부위에서 땀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땀이 분비되더라도 스판부재에 의해 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땀제거부에서 분비된 땀을 빠르게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겨드랑이 부위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분비되는 땀에 의한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없어서 착용감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겨드랑이 부위가 처지지 않고, 겨드랑이에서 분비되는 땀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땀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이 좋은 메리야스가 제공된다.

Claims (4)

  1. 몸통부 및 어깨부를 갖는 메리야스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의 어깨선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어깨부를 인체의 어깨 및 겨드랑이 부위에 밀착시키는 스판부재와,
    상기 겨드랑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겨드랑이 부위에서 발생되는 땀을 제거하는 땀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몸통부 양측에 부착되어 땀을 흡수하는 흡수패드와, 상기 흡수패드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망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몸통부 양측에 마련되는 망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판부재를 경계로 상기 어깨부로부터 연장된 소매부를 포함하며, 상기 땀제거부는 상기 겨드랑이 근처의 상기 몸통부와 상기 소매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KR2020010036657U 2001-11-28 2001-11-28 메리야스 KR200266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57U KR200266966Y1 (ko) 2001-11-28 2001-11-28 메리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657U KR200266966Y1 (ko) 2001-11-28 2001-11-28 메리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966Y1 true KR200266966Y1 (ko) 2002-03-06

Family

ID=7307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657U KR200266966Y1 (ko) 2001-11-28 2001-11-28 메리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73Y1 (ko) 2013-11-27 2014-04-16 노화정 속옷상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73Y1 (ko) 2013-11-27 2014-04-16 노화정 속옷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635392B1 (ko) 형상 유지 기능을 가진 기능성 마스크
KR101114539B1 (ko) 이중 헤어웨어
KR101525794B1 (ko)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KR200266966Y1 (ko) 메리야스
KR101333284B1 (ko) 팔 토시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80084453A (ko) 여성용 무술 도복의 상의
KR19990017472U (ko) 음랑보호대
KR20100115657A (ko) 한지마스크
JP2006307396A (ja) 袖口カバー
KR200436212Y1 (ko) 기능성 바지
KR102317156B1 (ko) 착용성이 개선된 워머
KR200252493Y1 (ko) 남성용 팬티
KR200407449Y1 (ko) 발가락 덧버선
KR200208698Y1 (ko) 신경 보호구가 구비된 팬티
KR100823696B1 (ko) 고무장갑
JP2005103201A (ja) 衛生マスク
JP2018071006A (ja) 男性用下着
KR200386542Y1 (ko) 팔부분이 구성된 앞치마
KR200342603Y1 (ko) 분리세탁이 가능한 모피형 머리띠
KR200207765Y1 (ko) 기능성 방한용 마스크
KR20120100612A (ko) 원통형 스카프
KR200215467Y1 (ko) 기능성 의류 상의
KR200155745Y1 (ko) 모피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