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637Y1 - 압인기 - Google Patents

압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637Y1
KR200266637Y1 KR2020010036868U KR20010036868U KR200266637Y1 KR 200266637 Y1 KR200266637 Y1 KR 200266637Y1 KR 2020010036868 U KR2020010036868 U KR 2020010036868U KR 20010036868 U KR20010036868 U KR 20010036868U KR 200266637 Y1 KR200266637 Y1 KR 200266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edestal
upper mold
guid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 석 김
Original Assignee
주 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석 김 filed Critical 주 석 김
Priority to KR2020010036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637Y1/ko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유동방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유동방지홈에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대의 타측과 이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 내부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관통공과 평행하게 스프링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은 힌지축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 돌기가 형성된 가압수단과; 상기 캠형 돌기와 접촉되는 누름판 양측에 상기 관통공과 가이드홈에 삽입되게 상부금형고정부와 가이드가 일체를 이루면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압수단에 힘을 가하면 하부로 이동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압력전달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고정부와 상기 받침대의 안착홈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설치된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위치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인기{A stamper}
본 고안은 압인기(stamp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표시부를 갖는 제품에 정보를 각인(刻印)하여 표시할 수 있는 압인기에 관한 것이다.
소형 물건은 운송의 편리함에 따라 행랑(行廊) 등에 담아 운송한다. 특히, 우편물은 행선지 별로 구분하여 우편 행랑(郵便行廊)에 넣어 운송하는 데, 우편물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행랑목을 묶은 후 봉인을 하고 행선지 등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우편 행랑의 목을 봉인하는 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0231873 호에 개시된 우편행랑용 봉인 결속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우편행랑용 봉인 결속밴드는 길이가 길고 얇은 판상체의 저면에 톱니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부가 역이탈이 방지되도록 끼워지는 결속부를 갖는 머리부로 구성되되, 결속부에는 몸체부가 통과되는 결속구멍과, 몸체부 쪽구멍 내부 일면에 형성된 톱니의 후퇴방지턱과, 후퇴방지턱이 형성된 일측면에 톱니의 중앙부 홈에 삽입되어 몸체부를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머리부의 단부 상면에는 행선지 등을 각인하는 평면의 표시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단부에 절결구멍이 형성되고, 몸체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우편행랑용 봉인 결속밴드는 머리부의 표시부에 행선지 등을 각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에 행선지 등의 각인은 압인기를 이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압인기는 타측에 하부금형이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의 일측과 일체로 형성된 몸체에 손잡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이 힌지(hinge)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몸체는 받침대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의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사이에 스프링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수단의 힌지 결합된 부분은 힌지축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cam type) 돌기가 형성되는 데, 이 캠형 돌기는 가압수단이 눌려질 때 회전 운동한다.
회전 운동하는 캠형 돌기는 압력전달수단의 누름판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데, 이 누름판은 상부금형이 고정된 상부금형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은 하부금형과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압력수단을 누르면 누름판에 의해 상부금형은 하부금형에 끼여진 결속밴드의 머리부와 접촉되게 하부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결속밴드의 머리부의 양 표면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정보가 각인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압인기는 몸체와 받침대가 한 몸체를 이루므로 제작이 어렵고, 또한, 하부 금형이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금형을 교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위치를 변화시킬 수 없어 특정 작업 및 한정된 작업자만 사용하므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압인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 상태에 따라 표시수단을 이루는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위치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는 일측에 유동방지홈이형성되고 타측에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유동방지홈에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대의 타측과 이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 내부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관통공과 평행하게 스프링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은 힌지축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 돌기가 형성된 가압수단과; 상기 캠형 돌기와 접촉되는 누름판 양측에 상기 관통공과 가이드홈에 삽입되게 상부금형고정부와 가이드가 일체를 이루면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압수단에 힘을 가하면 하부로 이동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압력전달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고정부와 상기 받침대의 안착홈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설치된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몸체 13 : 작동공간 15 : 관통공
17 : 스프링고정홈 19 : 가이드홈 21 : 받침대
23 : 유동방지홈 25 : 안착홈 27 : 제 1 고정볼트
29 : 제 2 고정볼트 31 : 가압수단 33 : 캠형 돌기
35 : 힌지축 41 : 압력전달수단 43 : 누름판
45 : 상부금형고정부 47 : 스프링 49 : 가이드
51 : 결합홈 53 : 핀 61 : 표시수단
63 : 상부금형 65 : 사각돌기 67 : 하부금형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는 몸체(11), 받침대(21), 가압수단(31), 압력전달수단(41), 표시수단(61)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몸체(11)는 일측이 받침대(21)의 일측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받침대(21)의 타측과 이격되며 내부에 관통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 타측 상부 내에 관통공(15)과 연결되는 작동공간(13)이 형성된다.몸체(11)는 작동공간(13) 내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관통공(15)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프링고정홈(17)과 가이드홈(19)이 형성된다.
받침대(21)는 일측에 유동방지홈(23)이 형성되고 타측에 안착홈(2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받침대(21)와 몸체(11)는 제 1 고정볼트(27)에 의해 결합되는 데, 유동방지홈(23)은 몸체(1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몸체(11)와 받침대(21)가 분리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가압수단(31)은 몸체(11)의 작동공간(13) 내에 힌지축(35)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가압수단(31)의 힌지 결합된 부분은 힌지축(35)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cam type) 돌기(33)가 형성되는 데, 이 캠형 돌기(33)는 가압수단(31)이 눌려질 때 회전 운동한다.
압력전달수단(41)은 누름판(43)의 양측에 상부금형고정부(45)와 가이드(49)가 일체를 이루면서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고정부(45)는 몸체(11)의 관통공(15)에 관통되게 끼워지며, 가이드(49)는 가이드홈(19)에 삽입된다. 또한, 스프링고정홈(17)에는 스프링(47)이 끼워져 있다.
압력전달수단(41)은 가압수단(31)의 작동에 의해 캠형 돌기(33)가 회전 운동하면 상부금형고정부(45) 및 가이드(49)와 일체를 이루는 누름판(43)은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에서 상부금형고정부(45)는 관통공(15)을 따라 이동하여 압력을 하부로 전달하고, 가이드(49)는 가이드홈(19)을 따라 이동하여 왕복 운동시 압력전달수단(41)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누름판(43)은 눌려진 상태에서 스프링고정홈(17)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표시수단(61)은 상부금형(63)과 하부금형(6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부금형(63)은 사각돌기(65)가 결합홈(51)에 끼워지고 핀(53)에 의해 상부금형고정부(45)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하부금형(67)은 안착홈(25)에 끼워지고 제 2 고정볼트(29)에 의해 받침대(2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부금형(63) 및 하부금형(67)은 결속밴드(1)의 머리부(3) 표면에 각인할 정보가 표시된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부금형(67)은 각인할 정보가 표시된 면이 결속밴드(1) 머리부(3)의 형상으로 오목하며 소정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소정 부분이 개방된 오목하게 형성된 표면에 결속밴드(1)의 머리부(3)가 용이하게 끼워지 뿐만 아니라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부금형(63)은 오목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금형(67)은 사용자에 따라 개방된 방향을 임의로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금형(63)의 방향도 바뀌어야 된다. 통상적으로 결속밴드(1)의 머리부(3)를 하부금형(67)에 끼울 때,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을 사용하고 왼손잡이는 왼손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모두 상부금형(63) 및 하부금형(67)을 편리한 방향으로 바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금형(63) 및 하부금형(67)을 작업 내용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므로 소정 작업 이외의 작업도 가능하므로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하부금형(67)에 결속밴드(1)의 머리부(3)을 끼운 후 가압수단(31)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 힌지축(35)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 돌기(33)가 회전 운동한다. 이에, 캠형 돌기(33)는 압력전달수단(41)의 누름판(43)을 눌러 상부금형고정부(45)에 설치된 상부금형(63)이 하부로 이동하여 결속밴드(1)의 머리부(3)와 접촉되어 압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결속밴드(1)의 머리부(3) 양 표면에 각각 상부금형(63) 및 하부금형(67)에 형성된 표시 정보가 각인된다. 상기에서 누름판(43)을 눌려질 때 스프링(47)도 눌려지고, 또한, 가이드(49)도 가이드홈(19)을 따라 이동하여 압력전달수단(41)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압수단(31)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가압수단(31)이 원위치로 이동하면 캠형 돌기(3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누름판(43)을 누르던 힘이 제거된다. 그러므로, 누름판(43)은 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되며, 이에 의해, 상부금형(63)은 결속밴드(1)의 머리부(3)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는 몸체의 일측이 받침대의 일측에 제 1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은 상부금형고정부와 받침대의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압인기는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또한, 상부 및 하부 금형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위치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체할 수 있어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유동방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유동방지홈에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받침대의 타측과 이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 내부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상기 관통공과 평행하게 스프링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은 힌지축에 대해 편심을 갖는 캠형 돌기가 형성된 가압수단과;
    상기 캠형 돌기와 접촉되는 누름판 양측에 상기 관통공과 가이드홈에 삽입되게 상부금형고정부와 가이드가 일체를 이루면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은 상기 가압수단에 힘을 가하면 하부로 이동하고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압력전달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고정부와 상기 받침대의 안착홈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설치된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압인기.
KR2020010036868U 2001-11-29 2001-11-29 압인기 KR200266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68U KR200266637Y1 (ko) 2001-11-29 2001-11-29 압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68U KR200266637Y1 (ko) 2001-11-29 2001-11-29 압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637Y1 true KR200266637Y1 (ko) 2002-03-02

Family

ID=7311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68U KR200266637Y1 (ko) 2001-11-29 2001-11-29 압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4478B2 (en) Mold assembly for embossing thin products
JPH0432885U (ko)
KR200266637Y1 (ko) 압인기
EP0273405A3 (en) Mould exchanging apparatus for a plastic injection-moulding machine
SG73558A1 (en) A press specifically punch press
US6796230B2 (en) Self-inking stamp
CN207787454U (zh) 一种压料器
US9718293B1 (en) Embossing seal
CN201172485Y (zh) 气动咬扣器
EP1287976A3 (de) Hydraulische Presse zum Pressen von Metallpulver
CN201703046U (zh) 回墨印章
JP3092908U (ja) 印 章
CN2331498Y (zh) 一种半u型模具
US6840172B2 (en) Multiple-seal-faced stamp of liquid-exuding type
EP0728985A3 (en) Breakaway engagement mechanism
CN217144700U (zh) 一种具有提手的垃圾桶盖的注塑模具
CN208645354U (zh) 一种机械手自动夹取装置
CN211464438U (zh) 一种金属制品双面压印装置
CN219325685U (zh) 一种标识牌压印装置
CN108128038B (zh) 喷印装置
CN213441830U (zh) 一种锁壳打钢印设备
CN208099111U (zh) 一种冲压五金模具
CN2333542Y (zh) 一种便携式钢印机
CN218982809U (zh) 一种便于更换模具的徽章机
CN214002301U (zh) 基于兽药二维码安全追溯的可溶性粉包装压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