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57Y1 -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 Google Patents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57Y1
KR200265857Y1 KR2020010023205U KR20010023205U KR200265857Y1 KR 200265857 Y1 KR200265857 Y1 KR 200265857Y1 KR 2020010023205 U KR2020010023205 U KR 2020010023205U KR 20010023205 U KR20010023205 U KR 20010023205U KR 200265857 Y1 KR200265857 Y1 KR 200265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ane
guide rod
air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3국산업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3국산업,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3국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3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57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도봉의 장착 및 제거를 신속하게 하거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 차선의 노면(300)상에 삽입되게 되는 고정 하우징(100)과, 상기 고정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공기의 압축으로 고정되게 되는 유도봉(20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유도봉(200)은 내부 하단에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는 피스톤(20)이 내장되게 되고 상단에 에어 주입구(22)가 형성되게 되며 상단 측부에 에어 배출버튼(23)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20) 하부에 피스톤(20)의 승·하강에 따라 팽창 또는 축소되게 되는 테이퍼부(21)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봉(200) 상단 외주면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반사체(24)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Guidance bar for guidance of traffic lane}
본 고안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도봉의 장착 및 제거를 신속하게 하거나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도로의 요금 톨게이트에는 상·하행선의 차량을 유도하기 위해 상·하행 차선이 구분되어지게 설치물 등을 원하는 라인에 놓아주게 된다.
이때, 상행선 방향의 차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 방향으로 차선을 넓혀주어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게 되고 반대로 하행선 방형의 차량 증가에서도 마찬가지로 하행선 방향으로 차선을 넓혀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차선을 유도하기 위해 차량의 흐름에 따라 차선유도용 이동식 설치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해당 라인에 갖다 놓아야 되고 또한, 유도해야 될 차선이 수시로 바뀌게 되어 그에 맞게 해당 라인도 변하게 되는 관계로 설치물도 바꿔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차선을 유도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설치 작업이 지연되게 되므로 교통 체증을 더욱 더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선을 유도하게 되는 유도봉을 설치함에 있어 압축공기를 이용하므로써 신속하게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게 되고 그로 인해 교통 체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 차선의 노면상에 삽입되게 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어 공기의 압축으로 고정되게 되는 유도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봉은 내부 하단에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는 피스톤이 내장되게 되고 상단에 에어 주입구가 형성되게 되며 상단 측부에 에어 배출버튼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 하부에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팽창 또는 축소되게 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봉 상단 외주면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반사체가 형성되어진 유도봉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도 1 의 내부단면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A'부 확대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도 4 의 내부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 하우징 (200) : 유도봉
(300) : 노면 (10) : 삽입홈
(20) : 피스톤 (21) : 테이퍼부
(22) : 에어 주입구 (23) : 에어 배출버튼
(24) : 반사체 (25) : 스크류
(26) : 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도 1 의 내부단면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A'부 확대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도 4 의 내부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선상에 설치되어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에 있어서, 각 차선의 노면(300) 내부에 내삽되게 되는 고정 하우징(100)과, 상기 고정 하우징(100)에 장착 및 고정되게 되는 유도봉(200)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고정 하우징(100)은 내부에 유도봉(200)이 장착되어지게 하단부가 원뿔형으로된 삽입홈(1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유도봉(200)은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하게 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 하부에 형성되게 되어 피스톤(20)의 승·하강에 따라 팽창 및 축소되게 되는 테이퍼부(21)와, 상기 피스톤(20)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상단부에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에어 주입구(22)와, 상기 에어 주입구(22)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부 일측에 형성되게 되는 에어 배출버튼(23) 및 상부 외주면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반사체(24)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 유도봉(20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도로 차선의 노면(300)상에 상기 고정 하우징(100)을 내삽되게 설치하고 이 고정 하우징(100)의 삽입홈(10)에 유도봉(200)을 압축공기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주입구(22)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유도봉(2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20)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20)이 하강하게 되면서 테이퍼부(21)를 팽창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 하우징(100)의 삽입홈(10)에 테이퍼부(21)가 밀착되게 되므로 유도봉(200)이 고정 하우징(100)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봉(200)을 고정 하우징(100)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에어 배출버튼(23)을 눌러 유도봉(200) 내부에 압축되어 있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도봉(2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되게 되고 이때 피스톤(20)이 상승하게 되면서 팽창되어 있던 테이퍼부(21)가 축소되게 되므로 유도봉(200)이 고정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봉(200)은 내부에 스크류(25)가 형성되어지되 이 스크류(25)에 피스톤(20)이 체결되게 되며 내측 상단부에 스크류(25)를 회전시킬 수 있는 키(26)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도봉(200)의 상단부를 돌리게 되면 스크류(25)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스크류(25)의 회전으로 인하여 피스톤(20)이 승·하강하게 되므로 테이퍼부(21)가 팽창 및 축소되게 되어 유도봉(200)을 고정 또는 해체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을 압축공기의 공급과 배출에 의해 유도봉이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유도봉의 설치 및 해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조작의 간편화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선의 노면(300) 내부에 내삽되게 되고 내주 하단부에 원뿔형의 삽입홈(10)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100)과, 상기 고정 하우징(100)의 삽입홈(10)에 압축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장·탈착되게 되는 유도봉(20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봉(200)은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하게 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 하부에 형성되게 되어 피스톤(20)의 승·하강에 따라 팽창 및 축소되게 되는 테이퍼부(21)와, 상기 피스톤(20)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상단부에 형성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에어 주입구(22)와, 상기 에어 주입구(22)를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상부 일측에 형성되게 되는 에어 배출버튼(23) 및 상부 외주면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반사체(24)를 포함한구성으로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봉(200)은 내부에 스크류(25)가 형성되어지되 이 스크류(25)에 피스톤(20)이 체결되게 되며 내측 상단부에 스크류(25)를 회전시킬 수 있는 키(26)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KR2020010023205U 2001-07-31 2001-07-31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KR200265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05U KR200265857Y1 (ko) 2001-07-31 2001-07-31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205U KR200265857Y1 (ko) 2001-07-31 2001-07-31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857Y1 true KR200265857Y1 (ko) 2002-02-27

Family

ID=7306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205U KR200265857Y1 (ko) 2001-07-31 2001-07-31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91B1 (ko) * 2013-03-08 2013-10-08 신현수 복원기능을 갖는 도로 규제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91B1 (ko) * 2013-03-08 2013-10-08 신현수 복원기능을 갖는 도로 규제봉
WO2014137198A1 (ko) * 2013-03-08 2014-09-12 주식회사 코트라스 복원기능을 갖는 도로 규제봉
CN105008619A (zh) * 2013-03-08 2015-10-28 科特拉斯株式会社 具有恢复功能的道路分道柱
US9580877B2 (en) 2013-03-08 2017-02-28 Kotrass Co., Ltd. Delineator post having restoratio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573E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rotation type drain pin
DE50115270D1 (de)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KR200265857Y1 (ko) 차선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봉 장치
DE50000634D1 (de) Strangpresskopf zum Extrusionsblasformen von Kunststoffbehältern
US5564510A (en) Pneumatic drill hammer
CN1121563A (zh) 塑料制的膨胀栓塞
CN209785253U (zh) 一种便捷交通信号灯
EP1483478B1 (en) Double-cone device and pump
KR200489878Y1 (ko) 전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로등
CN204703870U (zh) 射孔管柱
KR200327796Y1 (ko) 도로경계블록
CN2108831U (zh) 能自动泄流、防砂阻的单向阀
KR101129688B1 (ko) 회전형 가로등
RU200311747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лд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для выдувания в формы машины, формующей стеклянные контейнеры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KR200249536Y1 (ko) 도로 맨홀 뚜껑의 높이 인상틀
CN208899364U (zh) 附着式反光轮廓标
KR200242756Y1 (ko) 차선 규제봉
KR200229370Y1 (ko) 러버콘을 이용한 안전휀스
CN113430893A (zh) 一种路面积水处垫步装置
CN2758448Y (zh) 抽油杆防偏磨扶正器
CN114991287A (zh) 一种下水道系统
CN204959822U (zh) 防翻转安全窨井盖
KR102134975B1 (ko) 원심 펌프 성능 변환 방법
KR200285854Y1 (ko) 맨홀링 직경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