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11Y1 - 넥타이용 매듭구 - Google Patents

넥타이용 매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11Y1
KR200265811Y1 KR2020010035015U KR20010035015U KR200265811Y1 KR 200265811 Y1 KR200265811 Y1 KR 200265811Y1 KR 2020010035015 U KR2020010035015 U KR 2020010035015U KR 20010035015 U KR20010035015 U KR 20010035015U KR 200265811 Y1 KR200265811 Y1 KR 200265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tie
hole
shaft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환
Original Assignee
조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환 filed Critical 조광환
Priority to KR2020010035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11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식 넥타이의 매듭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넥타이 착용시 와이셔츠의 칼라앞쪽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넥타이 매듭부분이 형성된 앞판과 별도로 만들어진 목걸이끈을 착용자의 목에 걸고 매듭구에 끼워진 목걸이끈을 잡아당겨서 조여주도록 구성하여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용 매듭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매듭을 형성한 넥타이의 앞판의 이면에 매듭구를 부착하고, 이와 별도로 가는 끈으로된 목걸이끈을 매듭구에 끼워서 끈조임부를 구비한 넥타이용 매듭구에 있어서, 매듭구는 몸체를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몸체의 상부중앙에 반원형요입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이면내측에 원형축공이 천공된 축가이드편과 반원형 축가이드홈이 천공된 끈가이드편 및 직사각형의 유도공을 몸체와 일체로 형성한 몸체부와; 축받이가 형성된 승강축의 하단부를 톱니가 외주면에 삭설된 지지봉에 결합하여, 상기한 승강축과 슬리브 및 내측공이 형성된 버튼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상기한 축받이를 버튼의 저부 내측공에 결합하여 구성한 작동부재와; 목걸이끈과 원통형끈고정구와 리벳공 및 리벳으로 구성되는 작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용 매듭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넥타이용 매듭구{Tie holder of necktie}
본 고안은 착탈식 넥타이의 매듭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넥타이 착용시 와이셔츠의 칼라앞쪽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넥타이 매듭부분이 형성된 앞판과 별도로 만들어진 목걸이끈을 착용자의 목에 걸고 매듭구에 끼워진 목걸이끈을 잡아당겨서 조여주도록 구성하여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용 매듭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넥타이는 착용할 때마다 매듭부를 형성하여 착용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넥타이를 맬 때 넥타이의 앞판이 길어지나 또는 너무 짧아져서 다시 풀었다가 재차 매게되고, 이때 매듭의 모양도 넥타이의 재질이나 굵기에 따라 일정하게 미려한 모양이 나오지 않으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인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2000-35214호(2000년 12월 15일 출원) "넥타이용 매듭구"에 의하면, 상기 넥타이용 매듭구는 매듭구에 슬라이드파스너를 구성하고 슬라이드파스너에 소폭 띠를 구성하여서 매듭구에서 슬라이드파스너를 당기는 방향에 따라 소폭 띠의 줄임 또는 늘림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착달식 넥타이의 매듭구에 있어서, 매듭구를 좌측매듭구와 우측매듭구로 분리하고 좌측매듭구와 우측매듭구는 리벳팅하여 결합시키되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좌측매듭구와 우측매듭구의 하단부가 가운데로 모아지도록 하며, 하단부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하단부의 돌기가 슬라이드파스너를 억류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파스너 및 소폭 띠를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좌우 매듭구의 상단을 중앙방향으로 누름으로서 하단부가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파스너 및 소폭 띠의 억류를 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넥타이용 매듭구는 부드럽게 작동하고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파지력이 강하여 매듭구가 스스로 흘러내리는 폐단 및 문제점등은 다소 해소되었고, 전면 넥타이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였으나 구성부품의 수가 많고 조립공정이 복잡하며 특히 토션스프링을 삽입하는 공정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넥타이 착용시에 와이셔츠 앞쪽으로 노출되는 넥타이의 앞판(대검부)의 매듭부위를 만들기 위한 번거로움 없이 매듭이 형성된 앞판을 매듭구의 전면에 리베팅하여 부착하고, 넥타이의 뒷판(소검부)에 해당하는 목걸이 끈을 앞판과 별도로 구성하여 매듭구에 걸어서 목걸이 끈을 와이셔츠의 목부위에 걸고 목걸이 끈의 하단부를 잡고 손으로 넥타이의 매듭부위를 올려줌으로서 넥타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용 매듭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용 매듭구를 이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태내기 위한 결합단면도로 써, 도 2a는 매듭구에 구비된 목걸이끈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목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목에 맞게 길이가 조절되도록 목걸이끈이 느슨해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인 매듭구가 넥타이의 매듭부위에 구비됨을 나타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듭구 2 : 몸체 4 : 축가이드편
4a : 원형축공 5 : 끈가이드편 5a : 축가이드홈
7 : 승강축 7a : 축받이 8 : 지지봉
9 : 버튼 9a : 슬리브 9b : 내측공
10 : 코일스프링 11 : 목걸이끈 13 : 횡격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매듭을 형성한 넥타이의 앞판의 이면에 매듭구를 부착하고,이와 별도로 가는 끈으로된 목걸이끈을 매듭구에 끼워서 끈조임부를 구비한 넥타이용 매듭구에 있어서, 매듭구는 몸체를 전체적으로 "Y"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몸체의 상부중앙에 반원형요입부를 형성하고, 몸체의 이면내측에 원형축공이 천공된 축가이드편과 반원형 축가이드홈이 천공된 끈가이드편 및 직사각형의 유도공을 몸체와 일체로 형성한 몸체부와; 축받이가 형성된 승강축의 하단부를 톱니가 외주면에 삭설된 지지봉에 결합하여, 상기한 승강축과 슬리브 및 내측공이 형성된 버튼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상기한 축받이를 버튼의 저부 내측공에 결합하여 구성한 작동부재와; 목걸이끈과 원통형끈고정구와 리벳공 및 리벳으로 구성되는 작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넥타이용 매듭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용 매듭구를 이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태내기 위한 결합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인 매듭구가 넥타이의 매듭부위에 구비됨을 나타내 예시도이다.
본 고안인 매듭구(1)는 몸체(2)를 전체적으로 " Y "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몸체(2)의 상부중앙에 반원형요입부(3)를 형성하고, 몸체(2)의 이면 내측에 원형축공(4a)이 천공된 축가이드편(4)과 반원형 축가이드홈(5a)이 천공된 끈가이드편(5)을 몸체(2)와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한 몸체(2)의 중간부에 역시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된 횡격판(12)의 중앙에 직사각형의 유도공(6)을 천설하고, 몸체(2)의 전면에 작은 리벳공(13a)을 천설하여 구성한 몸체부와; 원기둥형축받이(7a)가 형성된 승강축(7)의 하단부를 톱니(8a)가 외주면에 다수형성된 지지봉(8)에 수직되게 결합하여 상기한 승강축(7)과 슬리부(9a)가 형성된 버튼(9)사이에 스프링(10)을 개재시켜서 상기한 축받이(7a)를 버튼(9)의 저부의 내측공(9b)에 결합하여 구성한 작동부재; 와 목걸이끈(11)과 원통형 원통형끈고정구(12)와 리벳공(13a) 및 리벳(13)으로 구성되는 작용부재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넥타이용 매듭구(1)는 목걸이끈(11)의 양단부를 몸체(2)의 양측면과 끈가이드편(5)사이를 거쳐서 횡격판(13)의 유도공(6) 내로 빼내어 끈고정구(12)에 끼운다.
매듭을 형성하여 셋팅한 넥타이의 앞판은 매듭이면에 매듭구(1)를 끼워서 리벳(13)으로 리베공(13a)에 리베팅하여 고정시킨다.
슬리브(9a)가 외향돌출되고 저부내측에 원형공(9b)이 천공된 모자형상의 버튼(9)의 상단부를 축가이드편(4)의 원형축공(4a)에 밑에서부터 위로 끼운 다음 상기한 축가이드편(4)과 끈가이드편(5) 사이에 스프링(10)을 탄지 시키고, 톱니(8a)가 외주면에 다수 삭설된 지지봉(8)에 수직으로 결합된 승강축(7)을 밑에서부터 차례로 유도공(6), 축가이드홈(5a), 스프링(10)의 중심부 및 축가이편(4)의 원형축공 (4a)에 관통시켜서 승강축(7)의 축받이(7a)의 상단부를 버튼(9)의 저부내측공(9b)에 결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넥타이를 착용할 때 목걸이끈 (11)을 와이셔츠의 칼라 외측의 목부위에 걸고 목걸이끈(11)의 하단부에 끼워진 끈고정구(12)를 가볍게 잡아당기면서 매듭구(1)의 표면에 부착된 넥타이의 매듭부분을 쥐고 상방으로 적당한 위치까지 올리고 목걸이끈(11)의 끈고정구(12)를 놓으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하여 지지봉(8)이 횡격판(13)의 저부에 밀착되어 목걸이끈(11)의 양측이 지지롤러(8)의 톱니(8a)에 의하여 밀착 지지되어 사용중 매듭구(1)가 하방으로 밀려 내려오지 않게 되고 넥타이를 풀 때에는 매듭구(1)의 전면 상부중앙에 형성된 반원형요부부(3)에 돌출된 버튼(9)을 누리면서 매듭구(1)를 하향시켜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 (8)이 하향되어 횡격판(13)과의 사이가 벌어져서 매듭구(1)가 목걸이끈(11) 하방으로 쉽게 내려오게 되므로 넥타이를 벗을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 일반적인 넥타이를 착용하였다 벗을 경우에는 넥타이의 매듭의 상부에 검지손가락을 끼워서 하방으로 매듭부위를 내려서 넥타이를 풀게 되는 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매듭구(1)의 상부 중앙에 유설된 버튼(9)을 간단히 검지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리면 쉽게 넥타이를 풀어 벗을 수 있으므로 바쁜 생활을 하는 현대인이나 넥타이 매는데 서투른 사람 또는 여성의 경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넥타이를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매듭구에 목걸이끈을 걸고 매듭구의 하단부에 끈조임부를 구비하며, 매듭구의 전면에 넥타이의 앞판을 부착하고 끈조임부는 매듭구의 하단부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과 버튼을 수납부에 끼워 넣어 버튼이 탄발되도록 하는 것과, 목걸이끈이 수납부의 유통공의 유통공을 통하여 하단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서 된 넥타이용 매듭구에 있어서,
    "Y"자 형상의 몸체(2) 상부 중앙에 반원형요입부(3)를 형서하고 몸체(2)의 이면 내측에 원형축공(4a)이 천공된 축가이드편(4)과 반원형축가이홈(5a)이 천공된 끈가이드편(5)을 몸체(2)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한 몸체(2)의 중간부에 몸체(2)와 일체로 형성된 횡격판(12)의 중앙부에 직사각형의 유도공(6)을 천설하고 몸체(2)의 전면일측에 리벳공(13a)을 천공하여 구성한 몸체부와; 원기둥형축받이(7a)가 단부에 형성된 승강축(7)이 톱니(8a)가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지지봉(8)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슬리브(9a)가 형성된 버튼(9)의 저부내측공 (9b)에 스프링(10)을 개재시켜서 상기한 원기둥형축받이(7a)의 상단부를 결합하여 구성한 작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용 매듭구.
KR2020010035015U 2001-11-14 2001-11-14 넥타이용 매듭구 KR200265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15U KR200265811Y1 (ko) 2001-11-14 2001-11-14 넥타이용 매듭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015U KR200265811Y1 (ko) 2001-11-14 2001-11-14 넥타이용 매듭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811Y1 true KR200265811Y1 (ko) 2002-02-25

Family

ID=7307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015U KR200265811Y1 (ko) 2001-11-14 2001-11-14 넥타이용 매듭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9675A (en) Corsage support
JP3111240U (ja) ネクタイ
KR200265811Y1 (ko) 넥타이용 매듭구
US10238182B2 (en) Cufflink device
JP3138623U (ja) 鳥用オムツ
KR200395435Y1 (ko)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US2047432A (en) Buckle or fastening device
KR200453337Y1 (ko) 넥타이 매듭용 장신구
KR200268891Y1 (ko) 넥타이용 매듭구
KR200291459Y1 (ko) 넥타이용 매듭구
CN201577651U (zh) 方便调整织带长度的结构
KR200304319Y1 (ko) 넥타이용 매듭구
EP1129638A3 (en) Hook assembly used for waist-adjusing mechanism of garment and garment having waist-adjusting mechanism
KR200265816Y1 (ko) 넥타이 착용구
KR200231788Y1 (ko) 넥타이매듭구
CN218245984U (zh) 一种松紧带挂钩紧固装置
KR200246452Y1 (ko) 벨트 고정 장치
KR100350856B1 (ko) 끈 단말 커버
CN113397235B (zh) 一种防止肩部吊带拉长的针织吊带裙
CN214414220U (zh) 一种服装服饰上的松紧变换装置
JP2003174916A (ja) 肩ベルトおよび肩ベルト付き鞄
KR20110042536A (ko) 탈부착식 넥타이
JP3113846U (ja) ネックレス
KR960002972Y1 (ko) 의복용 허리띠의 착탈장치
JPH03340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