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35Y1 -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35Y1
KR200395435Y1 KR20-2005-0016450U KR20050016450U KR200395435Y1 KR 200395435 Y1 KR200395435 Y1 KR 200395435Y1 KR 20050016450 U KR20050016450 U KR 20050016450U KR 200395435 Y1 KR200395435 Y1 KR 200395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wearer
necklace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태
Original Assignee
이훈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태 filed Critical 이훈태
Priority to KR20-2005-0016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35Y1/ko
Priority to US11/515,062 priority patent/US20070209163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4Means for forming and holding simultaneous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3Article holder attachable to apparel or body
    • Y10T24/1374Neck supported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줄 형태나 슬라이더 파스너 형태의 목걸이부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탈착이 용이한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목걸이부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목걸이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로서, 상기 목걸이부의 양쪽이 삽입되어 하단부에서 모일 수 있도록 역삼각 모양의 지지대를 중심으로 소정의 폭으로 상부가 개방된 Y자형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끼움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뒤쪽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면 보다는 높게 고정턱이 형성된 착용기 몸체와; 상기 끼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상기 Y자형 통로의 내측과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덮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목걸이부를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Tie wearing device and ti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줄 형태나 슬라이더 파스너 형태의 목걸이부에 겸용으로 사용할 있으며 넥타이의 탈착이 쉬운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시에 많이 착용하게 되는 바, 착용자의 와이셔츠 칼라 밑으로 하여 목에 걸어서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길이가 긴 1개의 넥타이는 착용시 착용자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와, 착용자의 앞에 적당한 길이로 늘어지는 노출부와, 목걸이부와 노출부를 매듭지어 길이를 조절하는 매듭부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넥타이를 착용하고자 할 때, 목걸이부를 착용자의 목에 걸은 다음, 통상 넥타이 매는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매듭을 지어 매듭부를 형성하고, 이렇게 매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하부로 늘어져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이 노출부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노출부의 길이가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도록 넥타이를 조절하게 되는 바, 이 노출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한번에 이루어지면 좋겠으나, 실상 쉽지 않은 작업이라 여러 번에 걸쳐 넥타이를 풀었다 다시 매었다 하면서 넥타이의 노출부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쁜 출근 시간에 넥타이 매는 시간으로 인해 시간에 쫓기는 경우가 있어 넥타이 착용에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목걸이부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넥타이용 지지부)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0916호에 소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0916호에 개시된 넥타이용 지지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6) 내측 하단 중앙에 있는 걸고리통로중앙구(205) 좌, 우측에 걸고리(203; 목걸이부)를 놓고 걸고리통로중앙구(205)에 걸고리통로결정체(204)를 끼워서 결합, 고정하여서 걸고리(203)가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하여 그 통로 안에 걸고리(203)가 결합되어 있고 이 때에 걸고리통로결정체(204)와 걸고리통로중앙구(205)가 통로 안에 들어있는 걸고리(203)를 적당하게 압박하여 걸고리(203)가 통로를 통하여 상, 하로 움직일 때에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며 이것은 넥타이 착용 시 스프링 장치 같은 보조구조물이 없이도 넥타이 매듭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므로 넥타이 착용이 간편하고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넥타이용 지지부는 걸고리통로중앙구에 걸고리통로결정체가 끼워져 줄 형태의 걸고리를 압박하는 형태로서, 걸고리통로중앙구와 걸고리통로결정체 사이에 밀착력이 좋으면 걸고리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쉽지 않고 무리하게 힘이 작용할 경우 걸고리통로중앙구에서 걸고리통로결정체가 빠져버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밀착력이 떨어지면 걸고리의 고정력이 떨어져 넥타이가 흘러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걸고리를 밀착하는 부분이 걸고리통로결정체가 결합되는 부분에 한정되기 때문에, 걸고리가 걸리고통로결정체와 걸고리통로중앙구에서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넥타이용 지지부에는 슬라이더 파스너(silder fastner)가 설치된 걸고리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넥타이는 착용한 후에 외력으로 넥타이의 노출부가 당겨지게 되면 착용자의 목이 조이게 되어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줄 형태의 목걸이부를 압박하지 않더라도 통로를 통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넥타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넥타이 착용기에 내설되는 줄 형태의 목걸이부 부분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줄 형태나 슬라이더 파스너 형태의 목걸이부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4 목적은 외력에 의해 넥타이의 노출부가 당겨지더라도 착용자의 목이 조이지 않고 떨어지도록 구성된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목걸이부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목걸이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로서, 상기 목걸이부의 양쪽이 삽입되어 하단부에서 모일 수 있도록 역삼각 모양의 지지대를 중심으로 소정의 폭으로 상부가 개방된 Y자형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끼움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뒤쪽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면 보다는 높게 고정턱이 형성된 착용기 몸체와, 상기 끼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상기 Y자형 통로의 내측과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덮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목걸이부를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에 있어서, 목걸이부가 줄인 경우 상기 덮개는 끼움대에 결합되고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Y자형 통로의 내측과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를 덮는 덮개판과, Y자형 통로를 통과하는 목걸이부가 지그재그로 결합될 수 있도록 덮개판의 하부면에서 지지대 양쪽의 Y자형 통로의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뻗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에 있어서, 걸대는 Y자형 통로의 양쪽에 3개씩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에 있어서, 덮개판이 안정적으로 상기 착용기 몸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의 내측과 이웃하는 Y자형 통로의 내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안내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에 있어서, 목걸이부에 슬라이더 파스너가 결합된 경우 덮개는 끼움대에 결합되고 지지대에 탑재되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를 덮는 덮개판과, 끼움대에 걸린 슬라이더의 손잡이를 구속할 수 있도록 덮개판의 하부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끼움대에 삽입되는 삽입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에 있어서, 착용기 몸체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출 성형물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전술된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은 목걸이부가 결합된 넥타이 착용기와, 상기 넥타이 착용기에 대응되는 역삼각 모양으로 상기 넥타이 착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Y자형 통로의 하부로 인출된 상기 목걸이부가 인출되는 하부 개방부가 형성된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의 상부 개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매듭부 아래로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면서 상기 매듭부에 삽입된 상기 넥타이 착용기를 둘러싸는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목걸이부의 중간 부분에는 탈착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에 있어서, 탈착 부재는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4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서, 넥타이 착용기(40)에 목걸이부(10)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목걸이부(10)의 양단이 삽입되어 목걸이부(10)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로서, 착용기 몸체(50)와 덮개(60)로 구성된다.
착용기 몸체(50)는 목걸이부(10)의 양쪽이 삽입되어 하부면에서 모일 수 있도록 역삼각 모양의 지지대(51)를 중심으로 소정의 폭으로 상부가 개방된 Y자형 통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51) 하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끼움대(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51) 뒤쪽에 지지대(51)의 상단면 보다는 높게 고정턱(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60)는 끼움대(55)에 결합되고 지지대(51)에 탑재되며, 외곽이 Y자형 통로(52)의 내측과 고정턱(56)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52)를 덮어 Y자형 통로(52)를 따라서 이동하는 목걸이부(10)를 일시적으로 구속한다.
이때 착용기 몸체(50)에 덮개(60)가 결합되어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착용기 몸체(50)는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목걸이부(10)는 양단이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폐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Y자형 통로(52)중 V자형 통로(53) 상부의 목걸이부(10) 부분이 목을 감게 된다. V자형 통로(53) 아래 부분의 일자형 통로(54)로 목걸이부(10)의 하단부가 인출된다.
한편 덮개(60)는 목걸이부(10)가 줄인지 슬라이더 파스너가 결합된 형태인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착용기 몸체(50)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 목걸이부(10)가 줄 형태로서 덮개(6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덮개(60)는 끼움대(55)에 결합되고 지지대(51)에 탑재되며 외곽이 Y자형 통로(52)의 내측과 고정턱(56)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52)를 덮는 덮개판(61)과, Y자형 통로(52)를 통과하는 목걸이부(10)가 지그재그로 결합될 수 있도록 덮개판(61)의 하부면에서 지지대(51) 양쪽의 V자형 통로(53)의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뻗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63)를 포함한다. 그리고 덮개(60)에는 끼움대(5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하는 끼움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목걸이부를 압박하지 않더라도, 걸대(63)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된 목걸이부(10) 사이에 발생되는 결합력으로 Y자형 통로(52)를 통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넥타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걸대(63)는 V자형 통로(53)에 각기 3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대가 한 개 또는 두 개 일 때는 목걸이부를 걸대에 걸더라도 양호한 결합력이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에, 넥타이의 흘러내림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걸대가 3개 이상일 때는, 목걸이부에 결합력이 너무 커져 목걸이부를 상호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판(61)이 안정적으로 착용기 몸체(5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턱(56)의 내측과 이웃하는 V자형 통로(53)의 내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안내턱(57)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40)를 갖는 넥타이(100)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40)를 갖는 넥타이(1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40)를 갖는 넥타이(100)는 목걸이부(10)가 결합된 넥타이 착용기(40)와, 넥타이 착용기(40)가 삽입되는 매듭부(20)와, 매듭부(20)와 일체로 형성된 노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매듭부(20)는 넥타이 착용기(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40)에 대응되는 역삼각 모양의 삽입 공간(22)을 포함하며, 삽입 공간(22) 안으로 넥타이 착용기(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개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Y자형 통로(52)의 하부로 인출된 목걸이부(10)가 인출되는 하부 개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공간(22)을 중심으로 상부 개방부(24)가 하부 개방부(26)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개방부(26)의 내경은 Y자형 통로(52)의 하부로 인출된 목걸이부(10)와 노출부(30)가 함께 인출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출부(30)는 매듭부의 상부 개방부(24)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 공간(22)을 지나 하부 개방부(26)를 통하여 상기 매듭부(20) 아래로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면서 매듭부(20)에 삽입된 넥타이 착용기(40)를 둘러싼다. 이때 매듭부(20) 아래로 인출된 목걸이부(10)는 노출부(30)에 의해 가려진다.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100)는 역삼각 모양으로 매듭이 형성된 매듭부(20)에 노출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매듭부(20)의 하부 개방부(26)로 노출부(30)를 삽입하는 것으로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100) 형태로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매듭부(20)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매듭부(20) 상부에 위치하는 목걸이부(10)의 중간 부분에는 탈착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탈착 부재(70)로는 단추나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ner)가 사용될 수 있다.
탈착 부재(70)를 설치한 이유는, 외부에서 노출부(30)를 잡아당길 경우, 목걸이부(10)에 의해 목이 졸리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데, 목걸이부(10)에 탈착 부재(70)를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일정 이상의 힘이 목걸이부(10)에 작용할 경우, 탈착 부재(70)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되어 목걸이부(10)가 분리됨으로써 목걸이부(10)가 목을 조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넥타이 착용기(40)에 줄 형태의 목걸이부(1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파스너(180)를 갖는 목걸이부(11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용기 몸체(150)에서 슬라이더 파스너(180)를 설치할 수 있는 덮개(160)로 교체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기 몸체(150)와 덮개(160)로 구성되며, 착용기 몸체(15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착용기 몸체(15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덮개(16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덮개(160)는 끼움대(155)에 결합되고 지지대(151)에 탑재되며, 고정턱(156)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152)를 덮는 덮개판(161)과, 슬라이더(183)의 손잡이(185)를 끼움대(155)에 걸어 구속할 수 있도록 덮개판(161)의 하부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끼움대(155)에 삽입되는 삽입대(163)를 포함한다. 삽입대(163)가 끼움대(155)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지지하는 지지턱(164)이 덮개판(16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164)은 끼움대(155)에 가까운 지지대(151)의 꼭지점 부분과 밀착된다.
즉 목걸이부(110)에 설치된 슬라이더 파스너(180)는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이들(181; teeth)이 배열된 테이프(182; tape)와, 양쪽 테이프(182)에 형성된 이들(181)을 결합/분리시키는 슬라이더(183; slid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더(183)는 이들(181)을 결합/분리시키는 슬라이더 몸체(184)와, 슬라이더 몸체(18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185; pull-tab)를 포함하며, 손잡이(185)는 끼움대(155)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 구멍(186)이 형성되어 있다.
목걸이부(110)를 넥타이 착용기(140)에 설치할 때, 먼저 착용기 몸체의 끼움대(155)에 슬라이더 손잡이(185)의 삽입 구멍(186)을 끼운다. 테이프(182)가 형성된 양쪽을 분리하여 Y자형 통로(152)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덮개(160)로 덮어 목걸이부(110)를 구속한다.
이때 덮개판(161)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대(163)를 끼움대(155)의 상단부에 끼워 끼움대(155)에 삽입된 슬라이더(183)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판(161)의 지지턱(164)은 삽입대(163)가 끼움대(155)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지지한다.
따라서 넥타이 착용기(140)를 중심으로 상하로 인출된 목걸이부(110)를 위에서 잡아당기거나 아래에서 잡아당김으로써, 고정된 슬라이더(183)에 대해서 테이프(182)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이들(181)이 서로 결합/분리되어 넥타이 착용기(140) 상부의 목걸이부(110)의 내경이 조절된다.
물론 제 1 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지만, 넥타이 착용기(140) 상부의 목걸이부(110)에는 탈착 부재(1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140)를 갖는 넥타이(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부(110)가 슬라이더 파스너(180)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는 목걸이부가 줄 형태인지 슬라이더 파스너가 결합된 형태인지에 따라서 착용기 본체에서 덮개만을 교체함으로써,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조를 따르면 착용기 본체의 Y자형 통로를 따라서 형성된 걸대들에 줄 형태의 목걸이부를 지그재그로 결합시킴으로써, 줄 형태의 목걸이부를 압박하지 않더라도 통로를 통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넥타이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가 끼움대에 결합되고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Y자형 통로의 내측과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Y자형 통로를 덮어 Y자형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목걸이부를 구속하기 때문에, Y자형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목걸이부에 의해 덮개가 밖으로 빠져나가거나 목걸이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착용기 본체에서 덮개 교체를 통하여, 줄 형태나 슬라이더 파스너 형태의 목걸이부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듭이 형성된 매듭부에 노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노출부를 매듭부의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인출시킴으로써, 넥타이를 목에 멜 수 있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여 넥타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매듭부에 매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의 양단 부분에 탈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노출부를 잡아당길 경우, 목걸이부에 의해 목이 졸리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데, 목걸이부에 탈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110 : 목걸이부 20 : 매듭부
30 : 노출부 40, 140 : 넥타이 착용기
50, 150 : 착용기 몸체 51, 151 : 지지대
52, 152 : Y자형 통로 53 : V자형 통로
55, 155 : 끼움대 56 : 고정턱
60, 160 : 덮개 61, 161 : 덮개판
62 : 끼움 구멍 63 : 걸대
70, 170 : 탈착 수단 100, 200 : 넥타이
163 : 삽입대 162 : 삽입 구멍
180 : 슬라이더 파스너

Claims (6)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목걸이부의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목걸이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기로서,
    상기 목걸이부의 양쪽이 삽입되어 하단부에서 모일 수 있도록 역삼각 모양의 지지대를 중심으로 소정의 폭으로 상부가 개방된 Y자형 통로가 형성된 착용기 몸체와;
    상기 착용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목걸이부를 구속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기 몸체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끼움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 뒤쪽에 상기 지지대의 상단면 보다는 높게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끼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상기 Y자형 통로의 내측과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가 줄인 경우 상기 덮개는,
    상기 끼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며, 외곽이 상기 Y자형 통로의 내측과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덮는 덮개판과;
    상기 Y자형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목걸이부가 지그재그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서 상기 지지대 양쪽의 Y자형 통로의 바닥면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뻗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넥타이 착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부에 슬라이더 파스너가 결합된 경우 상기 덮개는,
    상기 끼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며, 상기 고정턱의 내측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Y자형 통로를 덮는 상기 덮개판과;
    상기 끼움대에 걸린 상기 슬라이더의 손잡이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대에 삽입되는 삽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넥타이 착용기와;
    상기 넥타이 착용기에 대응되는 역삼각 모양으로 상기 넥타이 착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Y자형 통로의 하부로 인출된 상기 목걸이부가 인출되는 하부 개방부가 형성된 매듭부와;
    상기 매듭부의 상부 개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매듭부 아래로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면서 상기 매듭부에 삽입된 상기 넥타이 착용기를 둘러싸는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목걸이부의 중간 부분에는 탈착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부재는 단추 또는 벨크로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착용기를 갖는 넥타이.
KR20-2005-0016450U 2005-06-09 2005-06-09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KR200395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50U KR200395435Y1 (ko) 2005-06-09 2005-06-09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US11/515,062 US20070209163A1 (en) 2005-06-09 2006-09-05 Tie support and ti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50U KR200395435Y1 (ko) 2005-06-09 2005-06-09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35Y1 true KR200395435Y1 (ko) 2005-09-14

Family

ID=3852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450U KR200395435Y1 (ko) 2005-06-09 2005-06-09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09163A1 (ko)
KR (1) KR2003954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337B1 (ko) 2005-09-29 2006-11-23 그린하나로텍(주) 넥타이
KR100899444B1 (ko) 2007-12-31 2009-05-26 김영선 간소화된 구조의 넥타이용 착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8899B2 (ja) * 2009-01-07 2014-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高純度アルミニウム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614A (en) * 1970-02-23 1973-07-17 C Tsang Tie-knot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337B1 (ko) 2005-09-29 2006-11-23 그린하나로텍(주) 넥타이
KR100899444B1 (ko) 2007-12-31 2009-05-26 김영선 간소화된 구조의 넥타이용 착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9163A1 (en)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9195A1 (en) Speed lacing device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CN107105803A (zh) 用于调整带的长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
JP2007500835A (ja) コードロック装置
KR200395435Y1 (ko) 넥타이 착용기 및 그를 갖는 넥타이
US4513453A (en) Pre-tied necktie
US20160015131A1 (en) Shoela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Using Same
US6141835A (en) Adjustable belt buckles
US4246658A (en) Cord necktie
US3489153A (en) Garment with readily adjustable and replaceable shoulder straps
US4771481A (en) Holder for pre-knotted neckties
US20030177564A1 (en) Zippered necktie, and necktie knot support
US4615048A (en) Holder for pre-knotted neckties
KR20070112753A (ko) 체결 안정도가 우수한 지퍼
KR200442308Y1 (ko) 넥타이
JPH0739797B2 (ja) ロ−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ン着脱装置
WO1999026105A1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releasing the spectacle cord on the arms of the frame
KR970002512B1 (ko)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KR200227597Y1 (ko) 넥타이용 매듭구
KR100899444B1 (ko) 간소화된 구조의 넥타이용 착용구
KR200268891Y1 (ko) 넥타이용 매듭구
US20170266505A1 (en) Head strap for swimming goggles
KR200203989Y1 (ko) 매듭장치가 구비된 넥타이
KR200387187Y1 (ko) 혁대
KR200411713Y1 (ko) 지퍼 넥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