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801Y1 - 자동제어식 부채 - Google Patents

자동제어식 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801Y1
KR200265801Y1 KR2020010034375U KR20010034375U KR200265801Y1 KR 200265801 Y1 KR200265801 Y1 KR 200265801Y1 KR 2020010034375 U KR2020010034375 U KR 2020010034375U KR 20010034375 U KR20010034375 U KR 20010034375U KR 200265801 Y1 KR200265801 Y1 KR 200265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ntrol
shaft
expansion
faste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이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영 filed Critical 이원영
Priority to KR2020010034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801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첩형 부채를 전개한 선면판을 임의의 쪽수로 분활 재단한 소 정의 선면판재들을 체결축으로 조립하여 제조하는,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 식 부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들은, 전개나 합첩시킨 개개의 선면판재들이 정위치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품들 을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하고자, 체결축(11)의 일측단에 제 어편(14)과 신축링(12)을 형설하고, 선면판재(2)들 개개의 몸체(1)에 천공 하는 축부공(3)에 정착홈(4)을 연설하며 제어단(5)을 형성시켜, 신속용이 한 조립과, 전개와 합첩간에 자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제어식 부채{Automatic control Fan}
본 고안은 다절 합첩형 부채의 완전히 전개된 형상을 여러 쪽으로 임의분 할 하여 소정의 선면판재 형상으로 재단한 후 체결축으로 조립하는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에 관한 것 이다
종래까지의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들은 단순한 지점축으로만 조립되고 있는 관계로, 부채를 전개할 때 에는 개개의 선면판재들을 손으 로 펼쳐야할 뿐 만 아니라, 선면판재들의 전개나 합첩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배제되어 있는 관계로, 전개나 합첩시의 정위치들을 유지하 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이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 0172143호(1999.12.09) '달력'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 중앙에 단면이 타원형인 수직상하 이동식 지점축(20')의 지점축공 (25')에 지점축(20')이 상단부로 이동하였을 때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요삽홈(26')을 연장하여 천공하며, 서로 다른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축 이동로(36')들을 각각 천공한 후, 지점축(20')과 좌,우의 이동축 (30')들을 삽입 체결하고, 스프링이나 고무줄의 탄성 링(5')을 장착하여, 원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반발탄성의 수축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좌,우 이 동축(30')들이 전개와 합첩간에 이탈하지 않고 이동되며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면판재(10',11',12',13',14')들이 해지되지 않토 록 구성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고 있으나, 다수의 부속품을 사용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출하여 출원인이 선등록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0231931호(01.05.14)'부채'에서도 도5 에서와 같이, 합첩 식 부채를 전개한 판면의 형상을 임의의 쪽수로 균등하게 분할 재단하는 선면판재(2')들의 몸체(1') 중앙에, 소정의 돌기 이동공(4')을 각각 구비하 는 지점축공(3')을 천공하여 순서대로 정열한 후, 일측에 제어돌기(44')가 형설되어있는 지점축(33')을 삽입 장착하여 조합하며, 지점축(33')의 중앙 을 관상(管狀)으로 수직 천공한 중심공(34')의 일측으로 부터, 반분 절곡( ∩)한 탄성선(줄)의 절곡부를 삽입 관통시킨 후, 타측으로 돌출되어지며 형 성되는 탄성선(줄)의 올가미에 탄성선(줄)의 말단부로 부터 삽입 결속시킴 으로서 매듭(8')이 형성되어, 선면판재(2')들의 전개와 합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 6 에서와 같이 몸체(1')의 하단 외주 주연에 요홈(11')들을 형설 하고, 양단에 고리(12')가 부설된 지점축으로 몸체(1)를 조합하여, 탄성선 (줄)을 고리(12')에 연결 한 후, 원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반발탄성이 소 정의 한계까지 생성되도록 팽창시킨 상태에서, 역향하여 해지되는 일이 없 도록 역지구(13')를 삽지 장착시켜 요홈(11')과 치합되도록 함으로서, 견실한 정착과 자동제어의 목적은 달성하고 있으나, 탄성선(줄)이나 역지 구(13')와 같은 별도의 부품 사용과 조립공정들의 해소에는 미흡한 단점 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과제로서는, 상기와 같은 스프링이나 고무줄의 탄성링 (5')과 이동축(30')은 물론, 역지구(13')와 같은 별도의 부품 사용을 배제 하며, 몸체(1') 주연에 원호의 형상으로 천공하는 이동로(36')들에 의하여 몸체(1')의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체결축(11)의 일측단 에 제어단(5)과 신축링(12)을 일체로 연계 성형하는 단일부품과, 몸체 (1)의 중앙에 천공하는 단일개소의 축부공(3) 만으로 소기의 목적들을 달성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전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합첩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이동축 방식(실용0172143{99-12-09}) 참고도
도 5는 종래의 고무링 이용 (실용0216522{01-01-02}) 참고도
도 6은 종래의 역지구 이용 (실용0231931{01-05-14})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선면판재
3 : 축부공
4 : 정착홈
5 : 제어단
6 : 지지편
7 : 결합편
8 : 격리공간
9 : 체결축부
10 : 체결축공
11 : 체결축
12 : 신축링
13 : 신축공동
14 : 제어편
이 건 명세서에서는 종래 참고도들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기재 를 생략하고 당해 도면들에 도시된 원래의 부호에 (')를 첨자하여 표기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다절 합첩형 부채 를 완전히 전개한 선면판의 형상을 임의의 쪽수로 분할하여 소정의 선면판재(2)들로 재단하되, 완성된 부채를 전개할 때 에 서로 겹쳐질 소정의 폭을 확대한 선면판재(2)들의 하단에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하는 몸체(1)를 형설 재단하여, 소정의 축부공(3)과 연계되는 제어단(5)과 정착홈(4)을 일 체의 단일공으로 천공하여 조합한 후, 조합된 선면판재(2)들을 결합하는 지 지편(6)의 내면에 체결축공(10)을 구비하는 체결축부(9)를 형설하며, 신 축공동(13)을 구비하는 신축링(12)을 체결축부(9)의 측면에 연설하되,
독립적으로 분리된 신축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편(6)과의 사이에 격리공간 (8)을 형설하는 한편, 지지편(6)과 합치 체결하는 결합편(7)의 내면에는 체 결축(11)을 돌설하여, 한 조로 조합하여 합첩한 선면판재(2) 군의 몸체(1) 전,후에서 각각 삽지 체결하여, 과전개나 과합첩의 방지는 물론, 전개와 합첩시의 유격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축부공(3)의 제어단(5)과 연설하는 정착홈(4)은, 부채의 형 상과 규격,용도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형설 함으로서, 제어장치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전개각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정착홈(4)에 신 축링(12)이 합치 정착되도록 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다절 합첩형 부채를 전개한 선면판의 형상을 임의의 쪽수로 분 할하여 소정의 선면판재(2)들로 재단 함 에 있어서, 각개 선면판재(2)들의 규격과 형상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서, 전개나 합첩시의 형상을 임의의 상징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은, 전체적인 형상의 이미지나 각개 선면 판재(2)들의 서로 다른 형상과, 인쇄된 서화의 이미지들을 각개 용도에 따라 부각 시킬 수 있으며,
몸체(1)에 천공하는 축부공(3)의 위치 역시, 몸체(1)를 비롯한 선면 판재(2)의 어떠한 위치라도 용도에 따라 설정 함으로서, 임의의 상징적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르는 일 실시 예의 하나로, 5등분 한 경우를 첨 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선면판재(2)들의 몸 체(1)에 축부공(3)과 연계되는 제어단(5)과 정착홈(4)을 일체로 연계 천공 하여 조합한 후, 지지편(6)의 내면에는 체결축공(10)을 구비하며 체결축부 (9)의 측단에 연계되는 제어편(14)과, 지지편(6)의 내면과 격리되어 독립 적인 신축운동이 가능하도록 격리공간(8)을 사이에 두며 신축공동(13)을 구 비하는 신축링(12)을 제어편(14)과 연계시켜 일체로 돌설시켜, 한 조를 조합하여 합첩한 선면판재(2) 군의 몸체(1) 일면에서 삽지 장착하고, 체결 축(11)이 돌설되어 있는 결합편(7)을 타면으로부터 체결축공(10)과 체결축 (11)을 합치시켜 몸체(1)와 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으로서는, 독립적인 신축운동이 가능한 신축링(12)은 전개나 합첩간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착홈 (4)의 함몰부와 좌,우 측방에 위치하는 정착홈(4)의 함몰부 사이의 돌출부 에 의하여 신축공동(13)으로 굴절 신축되며 이동하여 전개나 합첩이 종료 되는 위치에서는 합치되는 정착홈(4)의 함몰부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복원되어, 개개의 선면판재(2)들로 하여금 유격이나 유동이 없이 정위치에 정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전개와 합첩시의 유격과 유동의 방지와 전개각의 제어가 가능하며, 동일한 단일 부품을 축부공의 천공위치를 변환 하여 조합하는 것 만 으로도 자동제어의 수행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부채의 형상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의 선면판재들과 지점축을 조합 제조하는 다절 합첩형 부채에 있어서, 선면판재(2)들 개개의 합첩과 전개각에 따라 설정되는 제어단(5)을 축부 공(3)에 연계하여 단일공으로 천설하며, 체결축공(10)과 제어편(14)을 구 비하는 체결축부(9)를 돌설한 지지편(6)과 체결축(11)을 돌설한 결합편(7) 을 조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
  2. 제 1항에 있어서, 신축공동(13)을 구비한 하나 내지 다수개의 신축링(12) 을 제어편(14)에 돌설하고, 선면판재(2)의 축부공(3)에 정착홈(4)들을 연 계 천설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를 포함하는 각개 선면판재(2)들의 규격과 형상을 서로 상이하게 재단하여 합첩과 전개시에 기히 설정된 형상을 표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 합첩형 자동제어식 부채.
KR2020010034375U 2001-11-09 2001-11-09 자동제어식 부채 KR200265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75U KR200265801Y1 (ko) 2001-11-09 2001-11-09 자동제어식 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75U KR200265801Y1 (ko) 2001-11-09 2001-11-09 자동제어식 부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801Y1 true KR200265801Y1 (ko) 2002-02-21

Family

ID=7308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75U KR200265801Y1 (ko) 2001-11-09 2001-11-09 자동제어식 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8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15083B1 (en) A toy building set comprising a tubular, elongated, flexible toy building element, and such toy building element
EP1219754A1 (en) Connections to make foldable structures
JP6620257B1 (ja) ソフトグリッパおよびソフトロボットのための膨張ブロックおよび曲げブロックを含むソフト駆動ブロックユニット
EP3061505B1 (en) Jungle gym joint
KR200265801Y1 (ko) 자동제어식 부채
KR20170058794A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JP6251438B1 (ja) 構造体構成部材の連結構造。
KR101819185B1 (ko) 서보 모터 모듈
KR200271395Y1 (ko) 자동제어식 부채
KR200231931Y1 (ko) 부채
KR101923582B1 (ko) 완구용 블록 연결구
CN107019923B (zh) 拼接式旋转积木组件及其拼接方法
KR101137670B1 (ko) 조립블럭
JP2013029542A (ja) 多面体構造体
KR200490129Y1 (ko) 가변 접이식 부채
WO2024034430A1 (ja)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体
US20240058718A1 (en) A rod of variable length for construction toys
KR100432060B1 (ko) 훌라후프 기능을 가진 굴렁쇠
KR200489890Y1 (ko) 종이블럭벽돌
KR200281376Y1 (ko) 절첩식 천막용 절첩간 연결핀
KR200216522Y1 (ko) 고무링을 이용한 자동접선
KR200216525Y1 (ko) 접는부채
JP3993161B2 (ja) 傘及び傘の製造方法
KR200232080Y1 (ko) 훌라후프 기능을 가진 굴렁쇠
JP3641186B2 (ja) 展開型トラス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