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48Y1 -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48Y1
KR200265748Y1 KR2020010036359U KR20010036359U KR200265748Y1 KR 200265748 Y1 KR200265748 Y1 KR 200265748Y1 KR 2020010036359 U KR2020010036359 U KR 2020010036359U KR 20010036359 U KR20010036359 U KR 20010036359U KR 200265748 Y1 KR200265748 Y1 KR 200265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nitor
mirror
video communication
ey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진
Original Assignee
전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우진 filed Critical 전우진
Priority to KR2020010036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48Y1/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통신시 시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기존기술은 모니터위에 카메라를 올려서 모니터를 보면 카메라를 볼수가 없어서 시선이 일치될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모니터를 아래에 배치하고 반투과 거울(1) 과 암실(2)을 이용하여 사람과 화면과 카메라를 일직선상에 놓음으로써 시선 불일치 현상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eye contact of image communications}
본 고안은 화상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컴퓨터용에 쓰이는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장치이다.
화상통신이란 서로 떨어져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을 통해서 화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달하여서 떨어져 있는 사람끼리 화상회의나 화상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 기술은 카메라를 모니터 위나 측면에 설치할 수밖에 없어서 상대방의 얼굴을 보기 위해 화면을 보면 카메라를 볼 수가 없어서 서로 상대방의 얼굴과 눈을 정면으로 볼 수 없어서 시선을 일치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기존화상통신 기술은 서로 상대방의 눈을 마주 볼 수 없어서 현실감이 떨어짐과 함께 심리적인 안정에도 영향이 있었고 눈을 볼 수 없어서 신뢰감을 형성하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이 고안으로 기존기술의 시선 불일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화상통신기술의 현실감과 안정감을 높이고자 한다.
도 1은 화상통신 시선일치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2는 화상통신 시선일치장치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화상통신 시선일치장치의 모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투과 거울 2 : 암실
3 : 카메라 받침대겸 각도조절장치 4 : 반투과 거울 각도조절용 경첩
5 : 받침대부분 6 : 거울 지지부의 고정홈과 돌출부
7 : 거울지지 부분 8 : 반투과거울 모서리에 달린 둥근 봉
9 : 반투과 거울 각도조절용 홈 10 : 사람(사용자)
11 : 화상카메라 12 : 모니터
13 : 빛의 진행경로
본 고안의 구성은 시선불일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10)와 반투과 거울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화면과 카메라(3)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고안의 기본적인 구조와 원리>
모니터를 아래쪽에 배치하고 그 위에 본 고안물을 올려놓는 형태이다. 도1을보며 설명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본 고안물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겠습니다. 모니터 위에 올려질받침대(5)에 반투과 거울(1)을 약45도 각도로 설치한다. 사용자를 촬영하기위한 화상카메라(11)는 반투과 거울(1) 뒷면의 암실(2) 속에 배치 된다.
본 고안물의 기본적인 작동원리는 반투과 거울(1) (일방투명경 [ 一方透明鏡, magic mirror ])의 어두운쪽면에서는 빛이 통과하여 반대편을 볼수 있으나 밝은쪽면에서는 빛이 반사되어서 거울로 보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사용자(10)는 화상카메라(11)가 설치되어있는 암실(2)보다 상대적으로 밝은 쪽에 있기 때문에 모니터(12)에서 나오는 빛이 반투과 거울(1)을 통해 반사되어 상대방의 얼굴을 볼 수 있고 화상카메라(11)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암실 속에 있으므로 빛이 거울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정면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대방의 얼굴을 봄과 동시에 화상카메라를 바라보게 되어서 시선불일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부수적인 구조와 작동원리 설명>
거울지지부(7)의 상단에 있는 홈(9)과 반투과 거울 끝에 달린 원형 봉(8)은 받침대(5)에 설치된 경첩과 함께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거울지지부(7)하단에 있는 고정용 홈과 돌출부분(6)은 거울지지부(7)를 받침대(5)에 고정하기도 하고 분리하여서 도 2 처럼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카메라 받침대겸 각도조절장치(3)는 화상카메라(11)를 고정하고 각도조절을 위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화상카메라(11)에 필요한 배선을 하기 위한 부분이다.
시선 불일치 현상을 해결함으로써 화상통신의 현실감과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모니터를 아래에 배치하고 반투과 거울과 암실 사용을 특징으로 하고 경첩(4)과 홈(9)과 봉(8)을 이용한 각도조절장치가 있는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KR2020010036359U 2001-11-26 2001-11-26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KR200265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59U KR200265748Y1 (ko) 2001-11-26 2001-11-26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59U KR200265748Y1 (ko) 2001-11-26 2001-11-26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48Y1 true KR200265748Y1 (ko) 2002-02-25

Family

ID=7307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59U KR200265748Y1 (ko) 2001-11-26 2001-11-26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29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얼굴과 눈동자 캡쳐를 위한 이미지 반사경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29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얼굴과 눈동자 캡쳐를 위한 이미지 반사경 장치
KR102378047B1 (ko) * 2020-07-31 2022-03-24 주식회사 리버스톤미디어 얼굴과 눈동자 캡쳐를 위한 이미지 반사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9160B2 (en) Versati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US6710797B1 (en) Adaptable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US5777665A (en) Image blocking teleconferencing eye contact terminal
US5890787A (en) Desktop large image and eye-contact projection display
US7057637B2 (en) Reflected backdrop for communications systems
US20060181607A1 (en) Reflected backdrop display and telepresence network
JPH01144876A (ja) 視聴覚通信用端末装置
US82792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ception of a continuous surface in a telepresence system
CN111435441A (zh) 压力转向式电子镜面装置
US92709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e-to-face video communication
WO2023040625A1 (zh) 转轴机构、镜架、眼镜以及智能眼镜
KR20210066784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200265748Y1 (ko) 화상통신 시선일치 장치
CN205880364U (zh) 一种目镜系统和头戴显示设备
US5025320A (en) Video imaging podium
JP2000166656A (ja)
KR101413543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CN210924101U (zh) 一种光学模组结构的vr眼镜
CN220817377U (zh) 可穿戴设备及其转轴组件
JP3652838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474116B1 (ko) 화상 통화용 카메라 시스템
KR20190073817A (ko)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KR20130022497A (ko) 반사판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거치로봇 및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111929918B (zh) 鼻托组件和眼镜
CN210870817U (zh) 立体视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