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11Y1 -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11Y1
KR200265211Y1 KR2020010033781U KR20010033781U KR200265211Y1 KR 200265211 Y1 KR200265211 Y1 KR 200265211Y1 KR 2020010033781 U KR2020010033781 U KR 2020010033781U KR 20010033781 U KR20010033781 U KR 20010033781U KR 200265211 Y1 KR200265211 Y1 KR 200265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le
present
doo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익
Original Assignee
손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제익 filed Critical 손제익
Priority to KR2020010033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11Y1/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나 일반산업용 기계장치에서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쇽압쇼버나 기타 완충장치에 부설하거나 회전식 도어 등에 부설하여 회전속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으로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 장치로서 각종 기계장치에서 진동이나 충격으로 부터 기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완충장치에 이용하였을 경우 진동이나 하중에 의하여 수축 또는 탄발되는 완충부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완충부재의 승강속도에 차이가 생기도록 본 고안장치에서 회전력을 제어하는 것이며, 회전식 도어 등에 이용되었을 경우 도어가 열릴때는 빠르게 회전하도록 도어가 닫힐때는 느리게 회전되도록 함으로 안전을 기할 수가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장치는 회전체에 가해지는 회전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됨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일정한 힘을 받더라도 회전체의 회전속도에는 차이가 생기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 장치의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Rotation Strength Control Box using oil Pressure}
본 고안은 자동차나 일반 산업용 기계장치에서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쇽압쇼버나 기타 완충장치에 부설하거나 회전식 도어 등에 부설하여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자동차나 일반 산업용 기계장치에 완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완충장치는 주로 쇽압쇼버나 기타 탄성완충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본 고안은 쇽압쇼버나 기타 회전속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쇽압쇼버의 기능은 진동이나 충격으로 부터 기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보호는 물론 승객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 쇽압쇼버의 구조를 보면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것과 유압이나 에어를 이용하는 것이 주로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완충용으로 이용되는 쇽압쇼버는 한결같이 수축과 탄발에 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으며, 진동계수나 충격 압력에 따라서 수축정도로에 따라서 탄발정도가 비례하는 것이다.
즉 스프링의 수축상태가 크거나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의 피스톤의 수축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복귀력이 빨라지게 되고 특히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장치는 빠른반발력 때문에 충격완화기능이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쇽압쇼버를 충격흡수장치 또는 충격완화장치로 이용하고 있는 자동차의 경우 차체중량에 의하여 수축되었던 쇽압쇼버의 피스톤이 빠른 속도로 원상복귀됨에 따라 차체나 승객에게 전달되는 진동이 커짐으로서 차체손상의 원인이 되었고 승객에게는 큰 불편함을 주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기체의 하중을 받았을때 완충장치의 수축시간은 느려지고 복귀시간은 빨라 저야하는 기능을 갖는 완충장치를 필요로 하는 기계의 경우 종래 완충장치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회전식 도어와 같이 개폐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열릴때와 닫칠때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있어야 할 경우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도어의 경우 도어가 개폐될때 속도를 달리 하기 위하여 도어 채크를 부설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큰 효과를 기대할 수 가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나 산업기계등의 완충부재로 이용할 수가 있으며 회전식 도어와 같은 개폐장치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가 있으며 유압완충장치로도 직접 이용될 수가 있도록 한 것으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는 빠른 속도로 수축되었던 완충부재가 원상으로 복귀될 때는 느린 속도로 복귀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중이 가해졌을 때는 느린 속도로 수축되었다가 원상으로 복귀될때는 빠른 속도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가 있으며 유압에 의한 회전속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본 고안은 밀폐된 하우징 내에 충진된 유압의 압력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는 가압판에 의해 압력을 받은 하우징내의 기름이 통과하는 기름유통공의 크기조절에 의하여 가압판에 가해지는 유압의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가압판의 외단부와 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유압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여 회전속도를 조절 할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일정하더라도 유압조절로서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을 적용한 사용상태의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하우징 (h1) 덮개
(10) 원형집유실 (10a)(10b) 반원형집유실
(20) 기름차단벽 (21) 홀 (22) 기름통과공
(30) 기름통과량조절구 (31) 기름통과량조절공
(40) 축공
(50) 회전부재 (51) 기름밀판
도 1은 본 고안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상태로서 하우징(h)에 편심되게 요설한 원형집유실(10)과 상기 집유실(10) 내벽에 일측에서 집유실(10) 중심을 향해 형성되며 수직상태로 천공되는 홀(21)을 구비한 기름차단벽(20)과 상기 홀(21)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 차단벽(20)의 전후면울 관통하여 천공되는 기름통과공(22)과 상기 홀(21)에 삽입되며 기름통과량 조절공(31)이 천공된 기름통과량 조절구(30)와 상기 집유실(10) 중앙부에 편심되게 요설된 축공(40)과 상기 축공(40)에 하단부가 끼워지며 일측벽에 기름밀판(51)을 구비한 회전부재(50)와 상기 기름차단벽(20)과 기름밀판(51)을 경계로 하여 형성되는 반원형 집유실(10a)(10b)과 상기 하우징(h)에 씌워지는 덮개(h1)로 이루위진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상기 회전부재(50)가 편심되도록 축설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회전부재(50)를 상기집유실(10)의 중심에 축설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원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하우징(h)의 집유실(10)에 기름을 채운 다음 덮개(h1)로 밀폐시키면 덮개(h) 중앙부로 회전부재(50)의 상단이 노출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00)은 완충부재이며, (110)은 기체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이용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완충부재(100)의 피스톤 하단을 본 고안장치의 회전부재(50) 상단에 유착시킨 상태로서 완충부재(100)가 기체(110)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되었을때 회전부재(50)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재 (50)와 일체로 형성된 기름밀판(51)이 집유실(10a) 쪽으로 따라 회전되면서 기름차단벽(20) 쪽으로 기름을 밀어 주게 되면 기름밀판(51)의 압력을 받은 기름이 기름차단벽(20)에 천공된 기름통과공(22)을 통해 반대편 집유실(10b)로 유입되는 것이다.
원형 집유실(10)은 축공(40)을 중심으로 기름차단벽(20) 쪽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부재(50)의 기름밀판(51)이 기름차단벽(50)과 직선 상태로 멈춰 있을 때는 기름밀판(51)의 끝단이 집유실(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가 되나 기름밀판(51)이 회전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기름밀판(51)의 끝단과 집유실(10)의 내벽면과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면서 기름밀판(51)의 끝단과 집유실(10)의 내벽 사이 간격으로 통과하는 기름량이 많아지게 되어 회전부재(50) 회전속도가 빨라 지게 됨으로 기체(110)의 하강속도로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일단 화강되었던 기체가(110)가 상승할 때는 완충부재(100)의 스프링 탄발력이나 유압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귀되는 힘을 얻게 되는 것이므로 회전부재(50)의 기름밀판(51)의 원상태로 복귀회전 될 때는 기름밀판(51)의 끝단과 집유실(10)의 내벽사이에 형성되었던 간격부가 점차 좁아짐으로서 기름 통과량이 줄어들게 되어 반대쪽 집유실로 이동되는 기름의 압력이 따라서 높아지게 됨으로 회전부재(50)의 회전속도가 느려지면서 아울러 하강되었던 기체(110)의 복귀속도도 느려져서 완충효과가 높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장치를 회전식 도어에 적용하였을 때 회전부재(50)의 상단에 도어 힌지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어를 열때는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쉽게 열리게 되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아질 때는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여 도어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막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장치를 이용하여 하중이나 기타 압력으로 인하여 기체가 느리게 하강 또는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기체가 원상으로 복귀할 때는 빠르게 동작되도록 할때는 회전부재(50)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완충부재를 취부시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부재(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기름 차단벽(20)의 수직홀(21)에 삽입된 기름통과량 조절구(30)를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기름차단벽(2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천공된 기름통과공(22)과 기름통과량 조절구(30)에 천공된기름통과량 조절공(31)이 일치된 상태에서는 가장 많은 기름이 통과하게 됨으로 압력이 저하되어 회전부재(50)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되고 회전부재(50)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해야할 경우 기름통과량 조절구(30)를 회전시켜 기름통과공(22)과 기름통과량 조절공(31)이 엇갈리도록 하여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는 원형집유실(10)을 편심되게 형성한 실시예이며, 도 4는 회전부재(50)를 편심되게 축설한 실시예로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원형집유실(10)의 중심부에 회전부재(50)를 축설한 실시예로서 회전부재(5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동일한 유압을 받도록 한 것으로서 기름 통과량 조절구(30)를 이용하여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고안은 자동차나 산업용 기계기구에 이용하면 효과적인 완충기능을 갖게 됨으로 기계장치의 경우 충격에 의한 기체의 손상이나 파손을 막을 수가 있게 되고 회전식 도어 등에 이용하였을 경우 도어가 열릴때는 가볍고 빠른 속도로 회전되고 도어가 닫칠 경우에는 느리게 회전됨으로 도어가 닫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손쉬울 뿐만아니라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기름의 통과량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됨으로 회전부재의 회전속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하우징(h)에 편심되게 요설한 원형집유실(10)과 상기 집유실(10) 내벽에 일측에서 집유실(10) 중심을 향해 형성되며 수직상태로 천공되는 홀(21)을 구비한 기름차단벽(20)과 상기 홀(21)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 차단벽(2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천공되는 기름통과공(22)과 상기 홀(21)에 삽입되며, 기름통과량 조절공(31)이 천공된 기름통과량 조절구(30)와 상기 집유실(10) 중앙부에 편심되게 요설된 축공(40)과 상기 축공(40)에 하단부가 끼워지며 일측벽에 기름밀판(51)을 구비한 회전부재(50)와 상기 기름차단벽(20)과 기름밀판(51)을 경계로 하여 형성되는 반원형 집유실 (10a)(10b)과 상기 하우징(h)에 씌워지는 덮개(h1)로 이루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0)가 집유실(10)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축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회전부재(50)가 집유실(10)의 중심에 축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KR2020010033781U 2001-11-05 2001-11-05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KR200265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81U KR200265211Y1 (ko) 2001-11-05 2001-11-05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81U KR200265211Y1 (ko) 2001-11-05 2001-11-05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25A Division KR100449589B1 (ko) 2001-11-05 2001-11-05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11Y1 true KR200265211Y1 (ko) 2002-02-25

Family

ID=7311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781U KR200265211Y1 (ko) 2001-11-05 2001-11-05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895B1 (en) Hinge structure for self-closing doors or the like, particularly glass doors or the like, and assembly incorporating such structure
US8613126B2 (en) Hydraulic door closure apparatus with boost
EP2467551A1 (en) Damped door hinge
JPH02248734A (ja) 液圧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203118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SE540238C2 (en) Hydraulic damping appliance
US3870287A (en) Gas spring
KR200265211Y1 (ko)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US4609081A (en) Hydraulic snubber
KR101753716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KR20030037408A (ko) 유압을 이용한 회전력 제어장치
US4178655A (en) Counterbalance mechanism
KR100192559B1 (ko) 탱크용 암 실린더 일체형 유기압 현수장치
EP3798398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200209588Y1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200310305Y1 (ko)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실린더형 완충기
CN110565340B (zh) 门盖阻尼装置、门盖组件及洗衣机
KR100394703B1 (ko) 자동차용 스테이 댐퍼의 완충구조
JP5000685B2 (ja) 無段ブロック可能なロック装置
JPH03129078A (ja) ダンパ付きドアヒンジ
KR200153984Y1 (ko) 자동차 도어의 개스댐퍼
KR20020010787A (ko) 수직형 도어 클로져
KR940000349A (ko) 댐퍼 스톱퍼 실린더
RU2031274C1 (ru) Амортизатор ударных нагрузок вращения власова в.н.
KR20240015928A (ko) 도어용 댐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