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168Y1 - 광고용 차광필름 - Google Patents

광고용 차광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168Y1
KR200265168Y1 KR2020010030982U KR20010030982U KR200265168Y1 KR 200265168 Y1 KR200265168 Y1 KR 200265168Y1 KR 2020010030982 U KR2020010030982 U KR 2020010030982U KR 20010030982 U KR20010030982 U KR 20010030982U KR 200265168 Y1 KR200265168 Y1 KR 200265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ight
film
advertising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희
Original Assignee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희 filed Critical 박준희
Priority to KR2020010030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168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용 차광필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광고용 차광필름은 단순히 투명의 필름원단 일면에 바탕도료와 유색도료로 이루어진 불투명도료를 도트형식으로 코팅하여 특정한 문구나 도형을 나타내어 광고기능과 차광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광고필름은 일면에서는 정상적인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일면에서는 알아볼 수 없는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내지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트형식으로 1차·2차·3차코팅하여 이루어진 차광도료(16)에 의해 차광성을 확보하되, 상기 차광도료(16)는 바탕색을 이루는 도트형식의 1차코팅인 바탕도료(22)와, 그 위에 도트형식으로 2차코팅한 바탕도료(22)와,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유색도료(24)로 이루어져 차광기능과 광고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면에 갖춰진 접착층(10)을 이용하여 고정된 유리창(32)(예를 들어 전동차나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유리창)에 부착시키면 실외에서는 도트형식의 흑색도료(20)만 보이게 되어 차광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고, 실내에서는 바탕도료(22)에 특정한 모양으로 3차코팅된 유색도료(24)에 의해 광고용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고용 차광필름{Shading film for advertisement}
본 고안은 광고용 차광필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측에서는 외부를 투시하면서 햇빛의 차광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고문구나 광고도안을 볼 수 있도록 한 광고용 차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에 부착하는 차광필름은 얇은 비닐지로 이루어져 다양하게개발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광필름은 사용목적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는데, 그 한가지는 차광기능을 갖춘 차광필름이 있고, 다른 한가지는 일면에 광고문안이나 광고문구가 인쇄된 광고용 차광필름이 있다.
상기 차광필름은 일명 썬팅필름 이라고 불리며, 이면지와 접착층이 일면에 갖춰지고, 다른 일면에 자외선 차단도료를 전체적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차광필름은 건물 및 상점의 유리 또는 차량의 유리 일면에 접착시켜서 햇볕의 자외선이나 외부의 강한 빛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광고용 차광필름은 자외선을 일부 차단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문구 또는 광고문안 등을 코팅하여 내부에서는 차광필름의 기능, 외부또는 내부에서는 광고필름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광고용 차광필름은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폴리 에스터 테레프탈레이트(PET)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한 필름원단(1)에 상하좌우로 반복되는 일정직경의 불투명도료(2)가 코팅되어 지는데, 상기 불투명도료(2)는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3)와 문자나 문구를 나타내는 유색도료(4)로 이루어 지고, 상기 바탕도료(3)와 유색도료(4) 사이사이에는 투명의 여백부(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투명한 필름원단(1)의 일면에 등간격을 이루며 상하좌우로 바탕도료(3)와 유색도료(4)를 코팅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광고문자나 광고문안을 임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광고기능을 갖게 되며, 또한 이러한 필름원단(1)을 유리창(6)에 부착하게 되면, 필름원단(1)의 일면에 코팅된 바탕도료(3)와 유색도료(4)로 이루어진 불투명도료(2)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햇빛과 같은 강한 빛을 차단시킴으로서 차광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고용 필름은 단순히 투명의 필름원단(1) 일면에 바탕도료(3)와 유색도료(4)로 이루어진 불투명도료(2)를 코팅하여 유리창(6)에 부착하는 것으로 특정한 문구나 도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필름원단(1)을 유리창(6)에 부착하는 것으로 광고기능과 차광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광고필름은 일면에서는 정상적인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다른 일면에서는 알아볼 수 없는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광고용 필름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필름원단의 일면에 햇빛을 차단하는 도료와 바탕색의 도료를 도트형식으로 1·2차코팅를 하고, 그 위에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도료를 3차로 코팅하여 차광 및 광고기능을 갖는 광고용 차광필름을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접착층과 이면지가 부착된 투명의 필름원단에 차광도료가 도트형식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차광필름에 있어서, 상기 차광도료는 흑색도료와 바탕도료 및 유색도료가 순차적으로 도트형식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흑색도료를 1차코팅하여 차광기능을 확보하고, 그 위에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를 도트형식으로 2차코팅하며, 도트형식으로 코팅한 바탕도료 위에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유색도료를 3차코팅함으로서 광고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필름원단은 일면에 갖춰진 접착층을 이용하여 고정된 유리창(예를 들어 전동차나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유리창)에 부착시키면 실외에서는 도트형식의 흑색도료만 보이게 되어 차광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실내에서는 바탕도료에 특정한 모양으로 코팅된 도료에 의해 광고용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 광고용 차광필름의 사용상태 부분 확대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차광필름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차광필름의 사용상태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착층, 12 - 이면지,
14 - 필름원단, 16 - 차광도료,
20 - 흑색도료, 22 - 바탕도료,
24 - 유색도료.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차광필름의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예시도 3 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광고용 차광필름의 사용상태 확대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착층(10)과 이면지(12)가 부착된 투명의 필름원단(14)에 차광도료(16)가 도트형식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차광필름에 있어서, 상기 차광도료(16)는 도트형식으로 1차코팅하는 흑색도료(20)와, 그 위에 2차코팅하여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22)와, 상기 바탕도료(22) 위에 적층상태로 3차코팅하는 유색도료(24)로 이루어져 차광기능과 광고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흑색도료(20)나 바탕도료(22) 및 도료(24)가 코팅되지 않은 투명의 여백부이고, 32는 필름원단(14)이 부착되는 유리창 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예시도 2 내지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투명의필름원단(14)의 일면에는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코팅되어 접착층(10)을 이루고, 그 위에 이면지(12)가 부착되어 있고, 다른면에는 전체적으로 차광기능을 갖는 흑색도료(20)가 도트형식으로 1차코팅 된다.
상기와 같이 필름원단(14)의 1차코팅된 흑색도료(20) 위에 동일한 직경의 바탕도료(22)가 2차코팅되면, 접착층(10)을 갖춘 일면에서는 필름원단(14)이 전체적으로 도트형식으로 1차코팅된 흑색도료(20)만 보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2차코팅된 필름원단(14)을 일 예를 들어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전동차의 유리면 내측에 부착시키면 승차한 승객들은 2차코팅된 바탕도료(22)의 색상을 보게 되고, 필름원단(14)이 부착된 유리면과 근거리에 있는 승객들은 투시되는 여백부(30)를 통해 외부의 풍경을 볼 수 있으나, 외부에서는 전동차의 유리면에 필름원단을 통해 1차코팅된 흑색도료(20)가 보이게 된다.
또한, 상기 흑색도료(20)에 의해 외부의 강한 햇빛은 차단되어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승객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2차코팅된 필름원단(14)의 바탕도료(22)에 광고문구나 도형을 나타내는 유색도료(24)가 3차로 코팅되어 필름원단은 차광기능 외에 광고기능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즉, 흑색도료(20)로 1차코팅 한 후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22)를 2차코팅하고, 특정부위에만 바탕도료(22)의 색상과 틀린 색상의 유색도료(24)을 3차로 코팅하게 되면, 코팅된 필름원단(14)에는 특정한 문구나 도형이 나타나게 되어 광고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3차로 코팅되는 도료(24)는 바탕도료(22)의 색상과 보호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2차코팅을 하는 바탕도료(22)의 색상이 명도가 낮으면 3차코팅하는 유색도료(24)의 색상은 명도가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2차코팅하는 바탕도료(22)의 색상이 명도가 높으면 3차코팅하는 유색도료(24)의 색상명도는 낮은 것을 선택하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광고문구나 도형을 눈에 띄게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1차코팅하는 흑색도료(20)는 굳이 흑색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설명상 필요에 의해 흑색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의 어떠한 색상을 선택하여 코팅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1차·2차·3차코팅한 필름원단(14)을 대중교통수단, 예를 들어 창이 고정된 열차의 객차나 고속버스의 유리창에 부착시키면, 실내에서는 필름원단(14)의 여백부(30)를 통해 외부를 투시할 수 있으면서 외부의 강한 햇빛은 1차·2차·3차에 걸쳐 코팅된 흑색도료(20)와 바탕도료(22) 및 유색도료(24)에 의해 차단되고, 실외에서는 필름원단(14)에 전체적으로 코팅된 흑색도료(20)만 보이게 되어 깨끗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특히, 필름원단(14)의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22)와 광고문구나 도형을 나타내는 유색도료(24)의 색상을 서로 보호색을 이루도록 선정하면, 승차한 승객들에게 강한 이미지를 심어주게 되어 광고의 인지도가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트형식으로 1차·2차·3차코팅하여 이루어진차광도료(16)에 의해 차광성을 확보하되, 상기 차광도료(16)는 바탕색을 이루는 도트형식의 1차코팅인 바탕도료(22)와, 그 위에 도트형식으로 2차코팅한 바탕도료(22)와, 문자나 도형을 나타내는 유색도료(24)로 이루어져 차광기능과 광고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면에 갖춰진 접착층(10)을 이용하여 고정된 유리창(32)(예를 들어 전동차나 기차 또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유리창)에 부착시키면 실외에서는 도트형식의 흑색도료(20)만 보이게 되어 차광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고, 실내에서는 바탕도료(22)에 특정한 모양으로 3차코팅된 유색도료(24)에 의해 광고용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착층(10)과 이면지(12)가 부착된 투명의 필름원단(14)에 차광도료(16)가 도트형식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진 차광필름에 있어서, 상기 차광도료(16)는 도트형식으로 1차코팅하는 흑색도료(20)와, 그 위에 2차코팅하여 바탕색을 이루는 바탕도료(22)와, 상기 바탕도료(22) 위에 적층상태로 3차코팅하는 유색도료(24)로 이루어져 차광기능과 광고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용 차광필름.
KR2020010030982U 2001-10-11 2001-10-11 광고용 차광필름 KR200265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82U KR200265168Y1 (ko) 2001-10-11 2001-10-11 광고용 차광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982U KR200265168Y1 (ko) 2001-10-11 2001-10-11 광고용 차광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168Y1 true KR200265168Y1 (ko) 2002-02-21

Family

ID=731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982U KR200265168Y1 (ko) 2001-10-11 2001-10-11 광고용 차광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1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5088B2 (ja) パネル
JP3455854B2 (ja) 光透過像を有するパネル
KR100422744B1 (ko) 디스플레이패널
JP5243016B2 (ja) 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および消防・防災・安全用標識プレート作成キット
JPH0532721B2 (ko)
JP6774099B2 (ja) グラフィックス表示体
JP2000321414A (ja) 光再帰性反射シート
EP1058227B1 (en) Sign plate for an illuminated sign
KR200265168Y1 (ko) 광고용 차광필름
JP2012032439A (ja) 再帰反射性表示体
JP2004226478A (ja) 透視性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17196Y1 (ko) 광고용 썬팅지
KR20000008579U (ko) 차광성 배면을 구비한 유리창 부착용 스티커
KR100267528B1 (ko) 광고용 차광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685B1 (ko) 광고용 조명패널, 이를 위한 무늬지 시트, 및 이 무늬지 시트의 제조방법
JP3018625B2 (ja) 交通機関用壁材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JP5909313B2 (ja) 再帰反射性表示体
JPH08221023A (ja) 透光性を抑制した広告装置
GB2331393A (en) Differential reflective sign
GB224574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reflective sheets
KR950002354Y1 (ko) 광선차단 겸용 광고판
JP3066075U (ja) 可透視ポスタ―
KR200249928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JPH11301107A (ja) 印刷用シート及び装飾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