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057Y1 -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057Y1
KR200265057Y1 KR2020010036967U KR20010036967U KR200265057Y1 KR 200265057 Y1 KR200265057 Y1 KR 200265057Y1 KR 2020010036967 U KR2020010036967 U KR 2020010036967U KR 20010036967 U KR20010036967 U KR 20010036967U KR 200265057 Y1 KR200265057 Y1 KR 200265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nveyor
pieces
rota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효
Original Assignee
이길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효 filed Critical 이길효
Priority to KR2020010036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057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물성 섬유보드(2)를 절단날(11)에 의해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2')으로 만드는 단계를 컨베이어를 구비하고서 수행하는 절단장치(10)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이격 및 이송장치(30')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편 회전장치(20')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30')는 이송컨베이어(31'), 상기 이송컨베이어(31') 위에 프레임(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는 제 1컨베이어(21)와 그리고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레벨 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제 2컨베이어(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간의 간격은 상기 절단장치(10) 측으로 갈수록 작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측으로 갈수록 크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 각각은 상기 절단장치(10)측의 단부가 상기 복수의 절단날(11)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apparatus for rotating a plurality of cut pieces at an angle of 90 degrees}
본 고안은 복수의 광물성 섬유쉬트로 적층되어 샌드위치 패널에 충전재로서 사용되는 광물성 섬유보드가 일정한 크기로 두께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절단편을, 복수의 광물성 섬유쉬트의 적층으로 인하여 형성된 줄무늬가 절단편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이 되도록, 신속하게 90° 회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 등으로서 사용되는 기존 샌드위치 패널에는 양 철판 사이에 방음성, 단열성 및 강도성이 우수한 스치로폼이 충전재로서 삽입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충전재인 스치로폼은 내화성을 갖고 있지 않아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그 건축물이 쉽게 타버리게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극복하고자, 상기 샌드위치 패널에는 스치로폼 재질의충전재 대신에 내화성이 우수한 광물성 섬유 재질의 보드가 충전재로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샌드위치 패널에 충전재로서 사용되는 상기 광물성 섬유 재질의 보드는 광물성 섬유 재질의 쉬트가 여러 겹으로 포개어져서 적층되어 있는 보드이다. 이 보드는 상기 겹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강도가 작아, 샌드위치 패널의 구성요소로서 부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보드는 좌측면에서 우측면 방향으로 또는 우측면에서 좌측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균등한 복수의 절단편으로 절단되고, 가로방향에 있어서 그 절단된 복수의 절단편의 정면 또는 뒷면들끼리가 서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게 하는 방식으로, 그 구조를 변형시켜 본래의 강도 보다 큰 강도를 갖게 할 필요가 있다.
광물성 섬유보드가 보다 큰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한 구조변경처리공정은 통상 광물성 섬유보드를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 90° 회전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을 서로 이음시키는 단계, 서로 이음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는 단계, 그리고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을 적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여러 단계들 중에서, 광물성 섬유보드를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으로 만드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장치(10)와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편 회전장치(2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물성 섬유보드(2)는 절단장치(10)에 의해 절단되어 복수의 절단편(2')으로 만들어진 후, 가이드 컨베이어(30)에 이송된다. 상기 가이드 컨베이어(30)에 이송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2')은, 상기 절단장치(10)에 의해 절단된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이드 컨베이어(30)에 의해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에 이송된다.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컨베이어(21)와 그리고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레벨 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제 2컨베이어(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컨베이어(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3) 상에 일정간격을 갖고서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벽(24)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제 1컨베이어(21)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절단편(2')들을 일정 간격 이격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 1컨베이어(21)에서 상기 제 2컨베이어(22)로 상기 복수의 절단편(2')을 90° 회전 이송시키는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컨베이어(21)측에 제일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제 2컨베이어(22)의 캐리어벽(24)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A)에 절단편(2')이 비어 있는 상태를 도시되지 않은 제 1센서로 확인하고, 제 1컨베이어(21)에 절단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되지 않은 제 2센서로 확인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컨베이어(21)를 일정시간 가동시켜 절단편(2') 1개를 제 2컨베이어(22)에 떨어뜨리고 나서 제 1컨베이어(21)를 정지시키는 제 2단계, 제 2컨베이어(22)에 상기 떨어진절단편(2')이 적재되어 있는 것을 제 1센서로 확인하고 다음의 절단편(2')을 받아내기 위해 상기 제 2컨베이어(22)를 일정시간 가동시키는 제 3단계, 그리고 상기 제 2 및 제 3단계를 반복하여 원하는 수량의 절단편(2')이 제 2컨베이어(22)에 이송되면 상기 원하는 수량의 절단편(2')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절단편(2')을 90° 회전 이송시키는 종래의 공정에서는, 광물성 섬유보드를 절단장치(10)에서 절단한 후, 90° 회전 이송시키는 공정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비록 절단장치(10)에 의해 광물성 섬유보드가 절단되어 복수의 절단편으로 되어 있지만, 이 복수의 절단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에 형성되어 있는 섬유결(줄무늬)들이 서로 엉켜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이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없을 정도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이 제 1컨베이어(21)에서 제 2컨베이어(22)로 이동될 때 서로에 대하여 자연적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절단편들이 제 1컨베이어(21)에서 제 2컨베이어(22)에 떨어질 때, 절단편이 일정하게 정돈된 모양으로 떨어지도록, 제 2컨베이어(22)의 벨트(23)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벽(2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였으나, 보드의 절단 후에도 복수의 절단편이 섬유결에 의해 서로 붙어 있어, 용이하게 상기 제 2컨베이어(22)에 구획형성된 공간에 상기 복수의 절단편이 수용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기 구획형성된 공간에 절단편을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기 위해, 제 1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를 교대로 가동시켜 상기 절단편들을 순차적으로 이송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제 1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가 가동, 정지를 계속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절단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광물성 섬유보드의 복수의 절단편을 서로 분리시켜 이송시키도록, 절단장치와 절단편 회전장치 사이에 절단편 이격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하여 절단편과 절단편 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확보하게 함과 동시에 제 2컨베이어의 벨트에 구비되어 있는 캐리어벽이 불필요하게 되는,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종래의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절단편 90° 회전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물성 섬유보드를 절단날에 의해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으로 만드는 단계를 컨베이어를 구비하고서 수행하는 절단장치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이격 및 이송장치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편 회전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위에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는 제 1컨베이어와 그리고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레벨 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제 2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간의 간격은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갈수록 작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측으로 갈수록 크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 각각은상기 절단장치측의 단부가 상기 복수의 절단날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절단편들을 90° 회전시키는 장치(100)에 대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절단편 회전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물성 섬유보드(2)를 복수의 절단날(11)에 의해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2')으로 만드는 단계를 컨베이어를 구비하고서 수행하는 절단장치(10)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이격 및 이송장치(30')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편 회전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31'), 상기 이송 컨베이어(31') 위에 프레임(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하고 있다. 이 복수의 가이드 레일(32')간의 간격은 상기 절단장치(10) 측으로 갈수록 작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측으로 갈수록 크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 각각은 상기 절단장치(10)측의 단부가 상기 복수의 절단날(11)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어, 상기 광물성 섬유보드(2)가 절단날(11)에 의해 절단되자 마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에 의해 그 광물성 섬유보드(2)의 절단부분들이 강압적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컨베이어(21)와 그리고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레벨 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제 2컨베이어(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컨베이어(22')는, 벨트(23) 상에 일정간격을 갖고서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벽(24)을 구비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제 2컨베이어(22)와 다르게, 벨트(23')상에 캐리어벽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절단편 회전장치(1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물성 섬유보드(2)가 절단장치(10)에 의해 절단되어 복수의 절단편(2')으로 만들어진 후, 이격 및 이송장치(30')에 이송된다. 그 다음,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30')에 이송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2')은,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30')의 가이드 레일(32')에 의해 점차적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31')에 의해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의 상기 제 1컨베이어(21)에 이송된다.
그 다음, 서로에 일정 간격을 갖고서 상기 제 1컨베이어(21)에 이송된 상기 복수의 절단편(2')들은 상기 제 1컨베이어(21)에 의해 전진 이송되어 제 2컨베이어(22')에 일정 간격을 가고서 90° 회전되어 떨어지고 난 다음, 도시되지 않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절단장치의 배출 측에 광물성 섬유보드의 복수의 절단편을 서로 분리시켜 이송시키도록, 절단장치와 절단편 회전장치 사이에 절단편 이격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하여 절단편과 절단편 간의 간격을 확실하게 확보하게 함과 동시에 제 1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가동시키면서 복수의 절단편을 확실하게 90° 회전시켜서 제 1컨베이어에서 제 2컨베이어에 이송시킬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는 종전과 같이 제 1컨베이어와 제 2컨베이어를 가동과 정지를 반복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그리고 확실하게 종래 보다 신속히 원하는 배열로 복수의 절단편이 배치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광물성 섬유보드(2)를 절단날(11)에 의해 절단하여 복수의 절단편(2')으로 만드는 단계를 컨베이어를 구비하고서 수행하는 절단장치(10)에 이어서 배치되어 있는 이격 및 이송장치(30')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절단편 회전장치(20')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이격 및 이송장치(30')는 이송컨베이어(31'), 상기 이송컨베이어(31') 위에 프레임(3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는 제 1컨베이어(21)와 그리고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레벨 보다 낮은 레벨에 있는 제 2컨베이어(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간의 간격은 상기 절단장치(10) 측으로 갈수록 작고, 상기 절단편 회전장치(20')측으로 갈수록 크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레일(32') 각각은 상기 절단장치(10)측의 단부가 상기 복수의 절단날(11)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KR2020010036967U 2001-11-30 2001-11-30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KR200265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67U KR200265057Y1 (ko) 2001-11-30 2001-11-30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67U KR200265057Y1 (ko) 2001-11-30 2001-11-30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057Y1 true KR200265057Y1 (ko) 2002-02-21

Family

ID=7307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67U KR200265057Y1 (ko) 2001-11-30 2001-11-30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0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16B1 (ko) 2006-11-30 2008-04-11 아이케이 주식회사 이동식 샌드위치패널 제조시스템
KR101391871B1 (ko) * 2013-04-02 2014-05-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적입공정용 자동화장치
KR101424203B1 (ko) 2013-04-02 2014-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간격조정용 자동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16B1 (ko) 2006-11-30 2008-04-11 아이케이 주식회사 이동식 샌드위치패널 제조시스템
KR101391871B1 (ko) * 2013-04-02 2014-05-1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적입공정용 자동화장치
KR101424203B1 (ko) 2013-04-02 2014-07-3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 보드의 간격조정용 자동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4889C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verwidth veneers
CN108974627B (zh) 玻璃夹纸、玻璃板包装体、玻璃夹纸层叠方法及玻璃夹纸层叠装置
KR200265057Y1 (ko) 복수의 절단편을 90° 회전시키는 장치
US5927582A (en) Separator for stacked corrugated board
KR20140007410A (ko) 라미네이트된 보드의 개선
KR200265058Y1 (ko) 복수의 절단편을 90°회전시키는 장치
JP6057426B2 (ja) シート裁断及び丁合装置
KR101882772B1 (ko) 단열재 투입장치, 이종 단열재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100464643B1 (ko)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팩킹 시스템
KR101841912B1 (ko) 선박용 보온재의 홈 가공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보온재
JPS6114812A (ja) 電気絶縁用菱形カルタの自動バリ取装置
JP4299171B2 (ja) 板状部材横積層装置
KR100359123B1 (ko) 패널 내장용 글라스울보드의 정렬방법과 그 정렬장치 및 상기 정렬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라스울보드
KR101948829B1 (ko) 충전재 바 간격 조절장치, 샌드위치패널 충전재 바 이송장치 및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EP2757208B1 (en) Method for producing, transporting and installing insulating lamellae of mineral wool
JP2003048663A (ja) 段ボールシート搬送ラインにおけるバッチ積み装置
JP4036974B2 (ja) 積層板の堆積方法
KR20030057251A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제조시스템
JPH07206247A (ja) シート切断搬送装置のリジェクト機構
KR20030059641A (ko) 폭방향 줄무늬가 형성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두께방향줄무늬가 형성된 광물성 섬유보드로 자동으로 생산하는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절단 컨베이어
CN209903320U (zh) 一种切肉机
JP4518488B2 (ja) スライスパンの整列装置
KR20050018736A (ko) 자동 레이업 시스템
JP5758643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H10305404A (ja) 構造用単板積層材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