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87Y1 - 배변용 복대 - Google Patents

배변용 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87Y1
KR200264387Y1 KR2020010034465U KR20010034465U KR200264387Y1 KR 200264387 Y1 KR200264387 Y1 KR 200264387Y1 KR 2020010034465 U KR2020010034465 U KR 2020010034465U KR 20010034465 U KR20010034465 U KR 20010034465U KR 200264387 Y1 KR200264387 Y1 KR 200264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resent
bowel movement
protrusion
ba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010034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87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배변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근을 누르는 복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인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복대 본체(10)와; 상기 복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0)와; 상기 복대 본체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복대의 돌출부(20)는 복대 본체(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0)는 고형물 또는 구(25)가 내장된 주머니(21)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돌출부(20)를 이용해 복사근을 누르게 되면 치골 직장근의 이완을 유도하여 결과 직장이 펴짐으로써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변비를 예방하고 복압이 약해진 노인이나 허약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배변용 복대{Abdominal bandage for a bowel movement}
본 고안은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배변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근을 누르는 복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주로 육류 위주의 식사를 하게 됨에 따라 섬유소가 부족하여 변비에 잘 걸린다. 또한 의자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나 반면 운동량이 감소하여 변비와 같은 장 관련 질병에 걸리기 쉽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배변시 많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더욱이, 통상의 좌변기는 타원형이면서 상부가 수평인 좌변기 본체와; 이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있는 좌판과; 이 좌판을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좌변기에 착석하면 엉덩이는 좌판에 끼이게 되어 항문이 닫히게 되고, 이때 하복부에 강한 힘을 가해야 하는 데 다리를 90도 각도로 놓게되므로 하복부에 큰 힘을 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통상의 좌변기 사용시 배변자는 오랫동안 앉아 있어야하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특히 복압이 약한 노약자는 하복부에 강한 힘을 가하기가 힘들어 배변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상의 좌변기 사용시 하복부에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복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변용 복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의 돌출부 대신 구가 내장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배변용 복대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돌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배변용 복대를 인체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복대 본체 20....돌출부
30....고정부 25....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부을 눌러주어 장운동을 활성화시켜줄 수 있는 도구로서 돌출부가 형성된 배변용 복대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고안은 하복부의 복사근을 눌러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배변용 복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하복부를 포함한 허리 부위에 착용하는 복대로서, 복대 본체와; 상기 복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복대 본체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복대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는 하복부를 눌러주는 데 사용되고, 복대 본체의 중심의 좌우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고형물 또는 구가 내장된 주머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돌출부가 하복부를 눌러주는 데 있어 배꼽의 좌우 주변에 있는 복사근을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복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변용 복대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복대 본체(10)와; 상기 복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0)와; 상기 복대 본체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대 본체(10)는 인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띠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대 본체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혁띠와 같은 가죽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특히 하복부에 가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를 착용시 복대 본체(10)의 양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복대 본체의 양끝단부에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체결구들로 이루어진 고정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는 후크(hook) 장치, 단추 또는 밸크로테이프(velcrotape)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20)는 복사근을 누를 수 있도록 복대 본체(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해서 양쪽으로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는 복대본체(10)의 내측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복사근은 배꼽의 좌우 주변 즉 복직근의 외각 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돌출부(20)는 고형물 형태로 이루어지고, 고형물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하복부 지압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고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하복부를 효과적으로 지압하기 위해서 반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부(20)는 타이어처럼 탄력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다소 단단한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가 내장된 주머니 모양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용 복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돌출부(20)는 구(25)가 삽입 또는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주머니(21)로 이루어지고, 복사근을 누를 수 있도록 복대 본체(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며 이때 복대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20)의 주머니(21)는 복대 본체와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0)의 주머니(21)에 내장되어 있는 구(25)는 다양한 크기의 공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25)의 지름이 5 내지 8c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테니스 공정도의 크기이고, 구(25)의 재질은 다소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도 2a의 돌출부(2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돌출부(20)가 형성된 복대의 세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20)는 상면부(22)를 통해 돌출부에 내장되어 있는 구(25)를 꺼내고 세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의 상부가 개봉되어 형성되거나 지퍼 또는 단추 등을 부착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배변용 복대를 인체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배변용 복대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돌출부(20)가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복대 본체(10)를 사용자의 배꼽을 비롯하여 하복부를 감싸면서 허리 부분에 두르고 양끝단부에 있는 고정부(30)를 이용하여 복대 본체(10)의 양끝을 연결하여 착용한다. 이 때 두개의 돌출부(20)는 각각 배꼽 주위의 복직근 외각에 위치하도록 하고, 돌출부(20)를 눌러줌으로써 배꼽의 바깥 쪽에 있는 복사근을 눌러준다.
또한 도 2a에서 도시한 구가 내장된 돌출부로 구성된 배변용 복대의 경우,돌출부(20)의 주머니(21)에 내장되어 있는 구(25)을 이용해 복사근을 눌러준다.
여기서 복직근은 배꼽을 중심으로 상하로 왕(王)자를 이루는 근육으로서, 복사근은 외복사근, 내복사근, 횡복사근으로 이루어지며, 횡복사근은 외복사근과 내복사근보다 복부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때 특히 횡복사근을 눌러줄 때 배변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지만, 횡복사근만 선택적으로 눌러줄 수 없으므로 외복사근, 내복사근, 횡복사근으로 구성된 복사근 전체를 눌러주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0)를 이용해 복사근을 눌러주게 되면, 복사근이 긴장됨으로서 직장을 걸고 있는 치골 직장근의 이완을 유도하여 직장을 펴게함으로써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의 돌출부(20)를 이용해 복직근 외각을 눌러주게 되면 복사근이 긴장되면서 치골 직장근이 이완되어 배변을 돕게 되고, 이때 하복부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변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의 복대본체(10)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 본 고안의 복대를 착용한 후 하복부에 힘을 주었다 뺐다하는 훈련을 반복함으로써 복사근 중 특히 횡복사근을 강화시켜 배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복부에 있는 복사근의 긴장을 유도함으로써 배변에 도움을 주는 복대이다.
즉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의 돌출부를 이용하면 복직근의 외부에 있는 복사근을 눌러 줌으로써 복사근의 긴장을 유도하고 결과 치골 직장근이 이완되어 직장이 펴짐으로서 변이 쉽게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통상의 좌변기에서 배변을 볼 때 하복부에 강한 힘을 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복사근을 눌러주어 치골 직장근의 이완을 초래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복부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변을 보는 데 도움을 주고, 또한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변비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배변용 복대는 복압이 약해진 노인이나 복부에 힘을 가하기가 어려운 허약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 신축성 소재로 구성된 복대를 이용하여 하복부을 당기고 풀어 주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횡복사근을 강화시켜 배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복부의 피하지방의 분해가 촉진되어 복부비만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복대본체와; 상기 복대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복대본체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변용 복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대본체 중심의 좌우에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복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고형물 또는 구가 내장된 주머니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복대.
KR2020010034465U 2001-11-09 2001-11-09 배변용 복대 KR200264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65U KR200264387Y1 (ko) 2001-11-09 2001-11-09 배변용 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65U KR200264387Y1 (ko) 2001-11-09 2001-11-09 배변용 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87Y1 true KR200264387Y1 (ko) 2002-02-19

Family

ID=7311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65U KR200264387Y1 (ko) 2001-11-09 2001-11-09 배변용 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472A1 (en) * 2012-01-06 2013-07-11 Hathorn James P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le colonoscopy compression
US10441222B2 (en) 2012-01-06 2019-10-15 Colowrap, Llc Endoscopy band with sigmoid support apparatus
US10624808B2 (en) 2012-01-06 2020-04-21 Colowra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visualization during endoscop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472A1 (en) * 2012-01-06 2013-07-11 Hathorn James P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le colonoscopy compression
US9724225B2 (en) 2012-01-06 2017-08-08 Colowra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le colonoscopy compression
US10441222B2 (en) 2012-01-06 2019-10-15 Colowrap, Llc Endoscopy band with sigmoid support apparatus
US10596025B2 (en) 2012-01-06 2020-03-24 Colowra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le colonoscopy compression
US10624808B2 (en) 2012-01-06 2020-04-21 Colowra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visualization during endoscopy
US11701286B2 (en) 2012-01-06 2023-07-18 Colowrap, Llc Endoscopy band with sigmoid suppor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362A (en) Glandular stimulator device and method
US7179206B2 (en) Non-weight bearing foot and leg exercising apparatus
WO2016036032A1 (ko) 복부 운동기구
US20220395426A1 (en) Sexual aid device for simulating the force-response characteristics of an erect penis
KR200264387Y1 (ko) 배변용 복대
KR101517028B1 (ko) 남성 성기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0680572B1 (ko) 안마기
JPS6344027Y2 (ko)
JP2003126295A (ja) 下半身エキスパンダー
CN206261819U (zh) 带脉刮痧治疗腰带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US20120004083A1 (en) Foldable Prone Support
CN110433026B (zh) 组合式可穿戴腹股沟疝治疗支具
JP6748994B2 (ja) ボールを利用した運動具
US20050233876A1 (en) Doctor underpants
CN207125838U (zh) 永久性心脏起搏器植入术后约束装置
JP2007144135A (ja) 筋膜マッサージ用着衣および筋膜マッサージ用ベルト
EP3574885A1 (en) Portable massage and storage device
US11806298B2 (en) Knee pain reduction strap
KR20200120124A (ko) 타이마사지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이요가 방법
CN218306008U (zh) 一种组合多功能力量训练阻力带
CN209574982U (zh) 一种修复产后腹直肌分离的矫正带
KR20110000714U (ko) 케겔운동 기구 및 그를 구비한 팬티
CN2231916Y (zh) 健腰护胃腹带
EP3551141A1 (de) Vorrichtung zum externen aufbringen einer lokalen druckkraft unterhalb des rippenbogens eines patienten zur verkleinerung des magenvolum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