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48Y1 -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48Y1
KR200264348Y1 KR2020010033258U KR20010033258U KR200264348Y1 KR 200264348 Y1 KR200264348 Y1 KR 200264348Y1 KR 2020010033258 U KR2020010033258 U KR 2020010033258U KR 20010033258 U KR20010033258 U KR 20010033258U KR 200264348 Y1 KR200264348 Y1 KR 200264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g strap
strap
present
adjust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창
Original Assignee
박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창 filed Critical 박성창
Priority to KR2020010033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48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방끈에 부설된 조절금구의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가방끈을 잡아당기면 조절금구의 걸림돌기가 가방끈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면서 가방끈이 조절되는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간단한 동작만으로 가방끈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측 가방끈의 일면에 안내 경사면과 걸림단턱이 형성된 레일을 형성하는 한편, 전.후 가방끈에 부설되는 조절금구에는 버튼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해제토록함에 있다.

Description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The bag-string for the use of length controller }
본 고안은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방끈에 부설된 조절금구의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가방끈을 잡아당기면 조절금구의 걸림돌기가 가방끈에 형성된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면서 가방끈이 조절되는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멍이 뚫려있는 한쪽끈을 다른 한쪽끈에 부착한 핀이 달린 버클에 통과시킨후 상기 핀을 상기구멍에 끼움으로써 가방끈을 고정하며, 구멍의 위치에 따라 가방끈의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가방끈의 조절이 핀을 구멍에서 빼고 다시 끼우고 하는 동작을 한손으로는 가방끈 상부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핀을 구멍에서 빼거나 끼우는 동작을 양쪽 모두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간단한 동작만으로 가방끈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측 가방끈의 일면에 안내 경사면과 걸림단턱이 형성된 레일을 형성하는 한편, 전.후 가방끈에 부설되는 조절금구에는 버튼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단턱에 걸리거나 해제토록함에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배낭형 가방의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길이가 조절되는 가방끈을 필요로하는 모든 가방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절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가방끈 2 : 안내경사면 3 : 걸림단턱
4 : 레일 5 : 조절금구 6 : 회전축봉
8 : 걸림돌기 11 : 표시커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상세도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실시예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전.후 두겹으로 구성되는 가방끈(1a)(1b)중 전측 가방끈(1a)의 일면에 안내경사면(2)과 걸림단턱(3)이 형성된 레일(4)을 형성한후, 전.후측 가방끈(1a)(1b)이 겹쳐지면서 상기 레일(4)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조절금구(5)를 부설하되, 조절금구(5)의 중앙부에는 회전축봉(6)을 축설하여 일측 버튼(7)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되게 하며, 상기 회전축봉(6)에는 걸림돌기(8)를 일체화 시켰으며, 조절금구(5)의 전면 상.하 플랜지(9a)(9b)에는 매직테이프(10a)(10b)를 부착하여 표시커버(11)를 탈부착 가능하게 한 구조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배낭, (13)은 코일스프링, (14)는 착탈식 가압금구를 지칭하고 있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조절금구(5)의 회전축봉(6)이 버튼(7)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하는 방식은 통상의 혁대등의 방식에서 이미 나타나 있어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 도 3은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즉, 조절금구(5)를 장착한 배낭(12)의 실시예시도를 나타낸 것인바, 배낭(12)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방끈(1a)(1b)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절금구(5) 일측의 버튼(7)을 누름과 동시에 전측 가방끈(1a)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된다.
전측 가방끈(1a)을 잡아 당기면 조절금구(5)의 회전축봉(6)이 회전되면서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8)가 레일(4)의 걸림단턱(3)에서 이탈되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안내경사면(2)을 타고 미끄러지게 되고, 이상태에서 버튼(7)의 누름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즉, 누르고 있던 버튼(7)을 놓으면 다시 회전축봉(6)이코일스프링(13)의 복귀탄성으로 원위치되면서 회전축봉(6)의 걸림돌기(8)가 직각의 걸림단턱(3)에 걸리면서 전측 가방끈(1a)이 고정된다.
따라서 가방끈(1a)(1b)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조절금구(5)의 버튼(7)을 누르면서 단순히 전측 가방끈(1a)을 잡아 당기기만 하면 가방끈의 길이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조절금구(5)의 상.하 어느 위치든 상관없이 착탈식 가압금구(14)를 이용, 전.후 가방끈(1a)(1b)을 누르게 되면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금구(5)의 유격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조절금구(5)의 상.하 플랜지(9a)(9b)상의 매직테이프(10a)(10b)상에는 표시커버(11)의 이면 매직테이프(미도시됨)를 접착하면 표시커버(11)가 조절금구(5)의 보호커버역할을 할 뿐 아니라 표시커버(11)상에는 각종 캐릭터나 가방회사의 상호 또는 로고를 인쇄하면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방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가방을 착용한 상태에서 가방끈을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가방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후 두겹으로 구성되는 가방끈(1a)(1b)중 전측 가방끈(1a)의 일면에 안내경사면(2)과 걸림단턱(3)이 형성된 레일(4)을 형성한후, 전.후측 가방끈(1a)(1b)이 겹쳐지면서 상기 레일(4)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조절금구(5)를 부설하되, 조절금구(5)의 중앙부에는 회전축봉(6)을 축설하여 일측 버튼(7)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되게 하며, 상기 회전축봉(6)에는 걸림돌기(8)를 일체화 시켰으며, 조절금구(5)의 전면 상.하 플랜지(9a)(9b)에는 매직테이프(10a)(10b)를 부착하여 표시커버(11)를 탈부착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KR2020010033258U 2001-10-31 2001-10-31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KR200264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58U KR200264348Y1 (ko) 2001-10-31 2001-10-31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58U KR200264348Y1 (ko) 2001-10-31 2001-10-31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48Y1 true KR200264348Y1 (ko) 2002-02-19

Family

ID=7311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258U KR200264348Y1 (ko) 2001-10-31 2001-10-31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115A (en) Tourniquet
US6578745B1 (en) Removable belt clip
US7254872B2 (en) Belt buckle
US20040195281A1 (en) Removable cover piece for belt buckle
US6547388B1 (en) Enclosed releasable and adjustable eyeglass restraining and securing device and method
US20100205789A1 (en) Buckle attachment device
JP4567330B2 (ja) バックル装置
KR200264348Y1 (ko)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US5997039A (en) Means for fastening the hand to a ski pole
US5875523A (en) Belt and buckle arrangement
US6658705B2 (en) Exchangeable self-adjusting device for use in belt
US6609276B1 (en) Buckle device for a skate
JP5008352B2 (ja) グリップベルトと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CN210130442U (zh) 具有按压结构的皮带扣头
JP2004275578A (ja) 装身具用バンド及びそれを用いた装身具
JP2509243Y2 (ja) バックル
EP1029466A1 (en) Fastenings
KR970005447Y1 (ko) 혁대
KR200264292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가방끈
KR950000472Y1 (ko) 가방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조절가방
JP4647221B2 (ja) 帯状装身具の中留
KR200186805Y1 (ko) 가방끈 길이 조절장치
FI90389B (fi) Esisolmittu, säädettävä solmio
KR19980021094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JPH0746163Y2 (ja) ベルトの長さ調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