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912Y1 -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912Y1
KR200263912Y1 KR2020010030873U KR20010030873U KR200263912Y1 KR 200263912 Y1 KR200263912 Y1 KR 200263912Y1 KR 2020010030873 U KR2020010030873 U KR 2020010030873U KR 20010030873 U KR20010030873 U KR 20010030873U KR 200263912 Y1 KR200263912 Y1 KR 200263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data
multimedi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훈
윤상우
Original Assignee
윤용훈
윤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훈, 윤상우 filed Critical 윤용훈
Priority to KR202001003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지탈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디지탈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와, 상기 영상에 따른 음을 청각적으로 들려주는 음향출력부를 가지고 있으며,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촬상하여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입력부와, 원격한 외부에 위치한 저장기기와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입출력부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멀티미디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앨범, 일정관리, 디지털카메라,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및 시스템관리를 수행하는 운영체제 알고리즘을 갖는 운영체제부를 가지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액자기능과 디지털카메라 기능, 각종 동영상자료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기능과 전자수첩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정보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Terminal for Digital Picture}
본 고안은 디지탈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진이나 그림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지탈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기술이 개발되면서 개별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사진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데이터만을 활용할 수 있는 복합영상기술들이 요구되고 이다.
이와 같은 복합영상기술은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부터 더욱더 전문적인 단말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와 같은 단말기가 없기 때문에 고가의 장비인 퍼스널 컴퓨터(PC) 조립체를 구입하여야 하고, PC가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고 있어 공간활용적인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있다하더라도, 종래의 기술은 디지털 액자로서, 단순히 사진이나 그림만을 저장된 순서와 시간설정만으로 액자기능만을 충족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운영체제(GUI 환경)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자료를 타 주변장치(컴퓨터,캠코더,디지탈카메라 등)로 부터 전송 받아 저장하고, 터치패널상의 펜마우스를 조작하여 디지털 액자기능 및 전자수첩기능, 동영상 Viewer기능 등을 사용하고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디지털 사진을 촬영, 저장하여 상기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고, 다변화하는 복합영상매체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단순 디지털 액자가 아닌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기능별로 선택하여 설정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액자기능 부터 각종 중요약속 및 기념일에 알람기능을 갖춘 전자수첩기능과 뮤직비디오 및 각종 동영상자료를 감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내장된 카메라로 즉석에서 필요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탈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영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와, 상기 영상에 따른 음을 청각적으로 들려주는 음향출력부를 갖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촬상하여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입력부와, 원격한 외부에 위치한 저장기기와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입출력부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멀티미디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앨범, 일정관리, 디지털카메라,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및 시스템관리를 수행하는 운영체제 알고리즘을 갖는 운영체제부를 가지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운영체제부는 윈도우CE의 GUI환경을 기초로 한 인터페이스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이터저장부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확장슬롯과 외부 플래쉬메모리 카드를 입출력 할 수 있는 외부메모리 입출력 슬롯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의 전체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의 외형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2의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를 양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영상입출력부
30 : 데이터 입출력부 40 : 데이터 저장부
50 : 표시부 60 : 디스플레이 제어부
70 : 음향출력부 80 : 제어부
90 : 운영체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의 전체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의 외형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2의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를 양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50)와, 상기 영상에 따른 음을 청각적으로 들려주는 음향출력부(7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표시부(50)와 상기 음향출력부(70)는 일체화된 케이싱 내에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내장되어 있다.
즉,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촬상하여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입력부(20)와, 원격한 외부에 위치한 저장기기와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입출력부(30)와, 상기 영상입력부(20)와 상기 데이터입출력부(30)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멀티미디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40)와, 상기 데이터저장부(4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60)와,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앨범, 일정관리, 디지털카메라,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및 시스템관리를 수행하는 운영체제 알고리즘을 갖는 운영체제부(90)를 가지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80)들이 상기 표시부(50)와 상기 음향출력부(7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들이다.
상기 키입력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전원버튼(11)과 운영체제를 사용시 제어하기 위한 방향키로 우(14)키, 좌(13)키, 상(12)키, 하(15)키와 선택 및 실행(16)키로 이루어져 있고, 기본적으로 단말기를 운영하기 위한 키입력 조작은 펜마우스(17)를 사용하여 터치패널(51)상에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51)은 표시부(50) 상에 디스플레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운영체제부(90)에서 제어하고 있다.
상기 영상입력부(20)는 디지탈카메라를 내장하여 원하는 이미지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자료를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30)는 사진이나 동영상 및 기타 자료를 컴퓨터나 디지탈카메라, 캠코더 등의 외부 주변기기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저장부(40)에 있는 자료를 상기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정보들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은 음성 및 음악을 포함하고 있으며, 재생시에 동영상에 맞추어 음성과 음악 및 멜로디가 재생될 수 있는 영상자료이다.
상기 데이터저장부(40)는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64Mb의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5개의 메모리 모듈을 증설할 수 있는 구조로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확장슬롯(43)과 외부 플래쉬메모리 카드(45)를 입출력 할 수 있는 외부메모리 입출력 슬롯을 갖고 있다. 다른 측에는 AV단자(46)와 각종 포트(48)들이 마련되어 전원공급과 데이타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는 TFT(Thin Film Transistor) LC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는 데이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재생시 및 전자수첩에서의 알람기능사용시와 녹화된 음성메모 청취시 사용하며 스트레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운영체제부에는 윈도우CE와 같은 GUI환경을 기초로 하며 화면상에 기능에 따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형식을 갖고 있으며, 디지털앨범, 일정관리, 디지털카메라,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및 시스템관리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구축되어 있다. 디지털앨범에서는 각종 사진이나 이미지 등을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과 앨범재생 개수 및 시간, 각 이미지별 프리젠테이션 효과설정등을 마치 그래픽툴처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관리에서는 현재월별 달력과 시간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일별로 각종 약속시간, 기념일등을 설정하면 해당 약속시간 및 기념일에 알람 및 메시지를 들려준다. 그 외 주소록 및 기타 정보관리 기능도 제공된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에서는 사진촬영기능과 저장된 사진 편집기능이 있으며 사진촬영시 외부리모콘으로 조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는 각종 동영상 및 음악파일들을 입출력장치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으며 감상할 수 있다. 시스템관리에서는 메모리 관리 및 각종 제어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입력부(10)의 전원버튼(11)을 누르면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실행되고 기능별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키입력부(10)의 제어버튼이나 펜마우스를 통해서 해당 메뉴를 선택 실행한다.
첫 번째 디지털 액자기능의 경우, 데이터입출력부(30)를 통해서 디지털카메라나 컴퓨터 등을 통해서 이미지자료를 전송 받아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시킨 후 디스플레이 순서와 시간, 프리젠테이션 효과 등을 설정하여 액자기능을 실행한다.
두 번째 전자수첩기능의 경우 데이터입출력부(30)를 통해 컴퓨터에서 상호 호환되는 전자수첩프로그램을 통해서 편집된 자료를 송수신받아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고 단말기 자체 내에서도 편집 및 수정을 할 수 있으며 각종 기념일 및 중요약속일이나 시간에 알람이나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메뉴에서 전자수첩기능을 선택할 경우 화면에 현재시간과 달력을 디스플레이 한다.
세 번째 디지털카메라 기능의 경우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즉석에서 이미지를 촬영하여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여 액자기능에 활용 및 외부주변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네 번째 동영상Viewer기능의 경우 데이터입출력부(30)를 통해서 컴퓨터나 캠코더를 통해서 각종 동영상자료(뮤직비디오,영화,mp3,비디오촬영)를 입출력 받아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하여 감상할 수 있다.
디지털카메라기능의 경우 원거리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전용리모콘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단말기는 휴대 및 벽걸이가 가능하며 차량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는 복합적인 정보를 요구하는 시대에 맞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각종 멀티미디어자료(사진, 이미지, 동영상, Mp3등)를 외부주변기기로 부터 입출력을 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액자기능과 디지털카메라 기능, 각종 동영상자료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기능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수첩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정보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Claims (3)

  1. 영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와, 상기 영상에 따른 음을 청각적으로 들려주는 음향출력부를 갖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정지영상과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촬상하여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영상입력부와;
    원격한 외부에 위치한 저장기기와 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정보를 입출력하는 데이터입출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데이터입출력부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과 멀티미디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신호로 가공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와;
    상기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앨범, 일정관리, 디지털카메라, 멀티미디어플레이어 및 시스템관리를 수행하는 운영체제 알고리즘을 갖는 운영체제부를 가지며, 상기 데이타저장부에 저장된 영상과 멀티미디어정보를 상기 표시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재생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부는 윈도우CE의 GUI환경을 기초로 한 인터페이스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이터저장부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확장슬롯과 외부 플래쉬메모리 카드를 입출력 할 수 있는 외부메모리 입출력 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KR2020010030873U 2001-10-10 2001-10-10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KR200263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73U KR200263912Y1 (ko) 2001-10-10 2001-10-10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73U KR200263912Y1 (ko) 2001-10-10 2001-10-10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912Y1 true KR200263912Y1 (ko) 2002-02-19

Family

ID=7306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873U KR200263912Y1 (ko) 2001-10-10 2001-10-10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9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736A (ko) * 2002-09-05 2004-03-18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Mpeg-4 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엔코더
KR100529216B1 (ko) * 2002-02-22 2005-11-17 주식회사 렛스비전 디지털 카메라용 동영상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16B1 (ko) * 2002-02-22 2005-11-17 주식회사 렛스비전 디지털 카메라용 동영상 모듈
KR20040022736A (ko) * 2002-09-05 2004-03-18 주식회사 뉴웰텔레콤 Mpeg-4 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엔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178B1 (ko)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523392B (zh) 个人化幻灯片放映生成
KR101067396B1 (ko) 화면 영역 인셋 내에 데이터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퓨터 저장 매체
US20100042926A1 (en) Theme-based slideshows
KR100726258B1 (ko) 휴대단말의 사진파일 및 음성파일을 이용한 영상물 제작방법
CN10117892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09025875A (ja) 携帯情報端末
US7746730B2 (en) Multifunction reminder system
JP2009533780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装置によるノートテイキングのユーザ体験
WO2006011401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08946A (ja) 撮像装置
CN104020990A (zh) 日期选择控件显示方法及装置
JP4561867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KR200263912Y1 (ko) 디지털 복합영상정보 단말기
US20060277217A1 (en) Method for creating a data file
TWI299466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sentation files for an embedded system
KR100818927B1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7072Y1 (ko) 디지털 전자 액자
JP3176784U (ja) メッセージ媒体
JP2007164866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KR20070010894A (ko) 디지털 사진 및 동영상 이미지용 디지털 액자(또는 앨범)
TW594572B (en) Multi-functional multimedia playing device
TWI398812B (zh) 音訊記錄/播放方法及應用該方法的數位相框
CN100380925C (zh) 摄像机
JP2004343392A (ja) 議事録機能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議事録生成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