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09Y1 - 하천용 호안부재 - Google Patents

하천용 호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09Y1
KR200263809Y1 KR2020010034401U KR20010034401U KR200263809Y1 KR 200263809 Y1 KR200263809 Y1 KR 200263809Y1 KR 2020010034401 U KR2020010034401 U KR 2020010034401U KR 20010034401 U KR20010034401 U KR 20010034401U KR 200263809 Y1 KR200263809 Y1 KR 200263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aquatic plants
guide
aquatic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4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09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수심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을 취하며 수면상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전체에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호안부재를 하천변에 길이방향으로 반복 설치 고정하여 주어, 하천변을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이 서식 및 번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하천 주변경관의 개선과 정서함양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생식물의 뿌리 근체에 의해 하천 자정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천용 호안부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중앙에는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의 활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취하도록 얽혀있는 천연섬유가 설치 고정되어 있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밀폐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외측 중앙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구와;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부구의 양,외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를 삽입 위치시켜 상,하부로 가이드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봉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용 호안부재{MEMBER OF EMBANKMENT FOR STREAM}
본 고안은 하천용 호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심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을 취하며 수면상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전체에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호안부재를 하천변에 길이방향으로 반복 설치 고정하여 주어, 하천변을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이 서식 및 번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하천 주변경관의 개선과 정서함양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생식물의 뿌리 근체에 의해 하천 자정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천용 호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과 접하게 되는 육지의 사면에는 하천수에 의해 발생되는 파도와 수류에 의해 제방 및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석축 또는 옹벽과 같은 방호벽이 인공적으로 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천의 굴곡부 사면을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으로 축조할 경우에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이에 따라 발생할 우려가 있는 제방의 침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축조비가 과다하게 발생하고, 하천수와 토양의 접촉을 완전 차단하여 하천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심지 하천 경관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홍수 발생시 수류가 증대하는 현상을 제공하여 제방을 파괴시키는 문제를 빈번히 발생시켜 주기적인 보수와 관리를 취해 주어야 하는 불편하고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천변에서 서식 및 번성하는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의 서식 및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사라지게 함으로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시킴은 물론이고, 하천변에서 번성하는 수생식물의 뿌리 근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하천자정(自淨)작용과 같은 현상도 전혀 기대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녹지공간의 축소를 초래하여 하천 주변경관을 저해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의 수심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을 취하며 수면상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전체에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호안부재를 하천변에 길이방향으로 반복 설치 고정하여 주어, 하천변을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이 서식 및 번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하천 주변경관의 개선과 정서함양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생식물의 뿌리 근체에 의해 하천 자정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천용 호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중앙에는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의 활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취하도록 얽혀있는 천연섬유가 설치 고정되어 있되,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밀폐된 밀폐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외측 중앙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구와;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부구의 양,외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를 삽입 위치시켜 상,하부로 가이드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봉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하천 12 : 하천 경사면
14 : 수생식물 16 : 천연섬유
18 : 밀폐공간부 20 : 가이드돌기
22 : 승,하강부구 24 : 가이드공
26 : 나선 28 : 앵커봉
30 : 옹벽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수초 및 물잔디와 같은 수생식물(14)의 활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취하도록 얽혀있는 천연섬유(16)가 설치 고정되어 있되,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밀폐된 밀폐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양,외측 중앙에는 가이드돌기(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구(22)의 양측에는 이 승,하강부구(22)의 양,외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0)를 삽입 위치시켜 상,하부로 가이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공(24)이 상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선(26)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봉(28)이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하천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이 그리 깊지 않은 하천변에 길이방향으로 반복 설치 고정하여 주어, 하천변에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인공적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천변의 유속을 저하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천변에 수생생물과 수생식물(14)의 서식뿐만 아니라 산란과 번식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하천 주변경관의 개선과 정서함양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대를 꾀하고, 수생식물(14)의 뿌리 근체에 의해 하천을 자정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수생식물(14)이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 수생식물(14)이 수중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시간을 벌어 주기 때문이다.
또한, 수심의 변화에 따라 수직 승,하강을 취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주어 가뭄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 직면하여 수심이 줄어드는 상황이 발생시에는 승,하강부구(22) 또한 수면과 동일한 위치를 취하도록 하강하게 됨에 따라 수생식물(14)의 뿌리가 공기중으로 노출되어 말라 죽게 되는 문제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는, 수생식물(14)을 중앙부에 활착하고 있는 승,하강부구(22)가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밀폐공간부(18)를 내측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 승,하강부구(22)를 하천변에 위치시키고 있는 앵커봉(28)이 이러한 승,하강부구(22)의 수직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24)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수심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을 취하며 수면상에 항상 위치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전체에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호안부재를 하천변에 길이방향으로 반복 설치 고정하여 주어, 하천변을 수생생물과 수생식물이 서식 및 번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확보함과 동시에 하천 주변경관의 개선과 정서함양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수생식물의 뿌리 근체에 의해 하천 자정기능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에는 수초와 같은 수생식물(14)의 활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취하도록 얽혀있는 천연섬유(16)가 설치 고정되어 있되,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밀폐된 밀폐공간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양,외측 중앙에는 가이드돌기(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구(22)와;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부구(22)의 양,외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20)를 삽입 위치시켜 상,하부로 가이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공(24)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나선(26)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봉(28)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호안부재.
KR2020010034401U 2001-11-09 2001-11-09 하천용 호안부재 KR200263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01U KR200263809Y1 (ko) 2001-11-09 2001-11-09 하천용 호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01U KR200263809Y1 (ko) 2001-11-09 2001-11-09 하천용 호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09Y1 true KR200263809Y1 (ko) 2002-02-09

Family

ID=7308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01U KR200263809Y1 (ko) 2001-11-09 2001-11-09 하천용 호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1B1 (ko)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생태 보호를 위한 낙차 감속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1B1 (ko)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생태 보호를 위한 낙차 감속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200263809Y1 (ko) 하천용 호안부재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2025654B1 (ko) 잠제형 해중림 어초
KR200401951Y1 (ko) 곤충과 수중생물의 생태형 옹벽블록
KR1005137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30046380A (ko) 초류식생블록
KR100753775B1 (ko) 친환경 식생호안블록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JP3716319B2 (ja) コンクリート護岸用擁壁
JP3948639B2 (ja) 蛍育成用水路ブロックを使用した蛍育成水路構造
KR200267791Y1 (ko)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200219577Y1 (ko) 하천의 어소(魚巢) 및 식생블록
KR200410846Y1 (ko) 하천 호안 법면의 12공 탄소블록 및 그 조립구조
KR100458719B1 (ko) 하천의 생태수로
JP3687969B2 (ja) 多自然型コンクリート水路構造
JP4780386B2 (ja) 干潟防波堤
KR200390358Y1 (ko) 어소블록
JP3080361B2 (ja) 漁礁用ブロック構造
JPH0739943Y2 (ja) 水制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