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682Y1 - 가스레인지용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682Y1
KR200263682Y1 KR2020010027896U KR20010027896U KR200263682Y1 KR 200263682 Y1 KR200263682 Y1 KR 200263682Y1 KR 2020010027896 U KR2020010027896 U KR 2020010027896U KR 20010027896 U KR20010027896 U KR 20010027896U KR 200263682 Y1 KR200263682 Y1 KR 20026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cap
head
gas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682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가스레인지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버너는,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버너바디(22)와; 상기 버너바디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그 외측면과 상기 버너바디의 내측면 사이에서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버너헤드(24);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서 상기 가스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가 외측에서 내부로 분출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26)을 포함하고;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이 버너캡의 내측으로 집중된다. 그리고 가스레인지의 상면(10)은 상기 버너캡(26)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면과 버너부분 사이에 틈새의 발생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버너{Burner for gas range}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염이 중앙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면과의 틈새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화력을 집중할 수 있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일반적인 버너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버너는, 가스가 내부로 공급되는 버너바디(2)와, 상기 버너바디(2)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너헤드(4),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에설치되는 버너캡(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너바디(2)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는 중심부분을 따라서 버너헤드(4)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캡(6)과 버너헤드(4)의 사이에는 염공(8)이 성형되어 있는데,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염공(8)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점화에 의하여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캡(6)의 외측으로 퍼지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젠방식의 가스 버너는, 구성의 간단함과 내구성의 우수함 등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가장 큰 단점은 열전달 효율이 약 45% 내외로 낮다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버너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은, 버너캡(6)의 외측으로 퍼지는 형태의 화염이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이 낮게 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염이 버너캡(6) 외측으로 퍼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가열시 끓어넘치는 국물 등에 의하여 화염이 꺼질 수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다. 또한 이렇게 끓어넘치는 국물 등에 의하여, 버너캡(6)의 외측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 등이 오염될 수 있는 단점도 지적된다. 더욱이 상기 화염이 버너캡의 외측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부는 바람 등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러한 점 역시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가스레인지용 버너에 있어서,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버너에서 형성되는 화염이 중앙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화염을 중앙부분에 집중시킴으로써, 가열용기에 전달되는 열량이 많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염을 중심부분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스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스레인지의 상면에서 버너 주위에 간격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청소가 용이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버너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버너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면 22 ..... 버너바디
24 ..... 버너헤드 26 ..... 버너캡
Pa ..... 가스통로 Pb ..... 염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스레인지용 버너는,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그 외측면과 상기 버너바디의 내측면 사이에서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버너헤드;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서 상기 가스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가 외측에서 내부로 분출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이 버너캡의 내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스레인지의 상면은, 상기 버너캡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가스레인지의 상면과 버너부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스레인지의 상면은, 상기 버너헤드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면과 버너부분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염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화염이 버너캡의 내측면으로 집중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전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상면과 버너부분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서, 청소가 아주 편리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버너는,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바디(22)와, 상기 버너바디(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버너헤드(24),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24)의 상부에 올려지는 버너캡(2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너바디(22)는 본 고안의 버너 전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상부측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바디(22)의 내측에 안착되는 버너헤드(22)는, 상기 버너바디(22)와의 사이에서 가스통로(Pa)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버너바디(22)의 내측과, 버너헤드(24)의 외측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실질적으로 가스통로(Pa)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24)의 상부에는 버너캡(2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24)와 버너캡(26) 사이에는 염공(Pb)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버너헤드(24)의 상면에는 염공을 형성하기 위한 치형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버너캡(26)이 버너헤드(24)의 상면에 올려짐으로써 염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염공(Pb)은 버너헤드(24)와 버너캡(26) 사이에 형성되면 충분한 것으로, 상기 버너캡(26)의 하면에 염공 형성을 위한 치형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염공(Pb) 주위에서의 가스의 흐름을 살펴보면, 버너바디(22)의 내측과 버너헤드(24)의 외측 사이에 가스통로(P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버너바디(22) 및 버너헤드(24)의 중심부분에서 외측으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버너헤드(24)의 외주면을 타고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헤드(24)의 상부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헤드(24)와 버너캡(26) 사이에 있어서는, 가스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면서 상기 염공(Pb) 부분을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점화플러그(P)에 의하여 가스가 점화되면,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형상의 화염(F)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점화플러그(P)는, 상기 버너캡(26)의 내측부분에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점화플러그(P) 버너캡(26)의 내측부분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가열시 예를 들어 국물이 끓어넘치는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열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염검지봉도 상기 버너캡(26)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너캡(26)의 외주연부분은 버너바디(22)의 상단부와 결합되면서 상술한 가스통로(Pa)가 버너헤드(24)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너캡(26)의 외측부분에는, 가스레인지의 상면(10)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캡(26)과 상면(10) 사이에는 틈새의 발생이 방지되어, 상기 상면(10)에서의 이물질 등이 버너부분의 내부로 침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버너부분의 내부로는, 끓어서 넘치는 국물이 침투하게 되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면(10)에 머무는 이물질은, 사용자가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에 의한 버너를 적용하게 되면, 청소시 매우 간편한 잇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10)과 버너부분의 연결을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상면(10)은 버너캡(26)의 외주연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상면(10)과 버너부분(버너캡, 버너바디)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면(10)과 버너의 측면부분을 직접 연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10)을 버너바디(22)의 외주면에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너바디(22)의 외주면에, 상기 상면(10)이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버너바디(22)의 상단부에 상면(10)이 올려짐으로써, 그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버너헤드(24)와 버너캡(26) 사이에서 형성된 치형으로 가스가 공급될 때, 버너헤드(24)의 외측부분에서 내측을 향하는 가스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염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화염(F)이 내측으로 모아지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것은 실질적으로 화염이 분산되지 않고, 중심으로 집중되는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버너캡(26)의 외측면에 상면(10)이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버너캡(26)이 설치되는 상면(10)에서 틈새의 발생이 방지되기 때문에, 청소가 매우 쉽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버너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은, 실질적으로 중심부분으로 모이는 형태의 화염이기 때문에, 열량을 집중적으로 가열용기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열전달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점화플러그 및 염검지봉 등을 버너캡의 내측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음식물을 끓일 때 발생하는 국물 넘침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물질이 버너부분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관리 유지가 아주 편리하게 된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상면(10)과 버너부분 사이에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버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공급되는 가스가 유입되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그 외측면과 상기 버너바디의 내측면 사이에서 가스통로를 형성하는 버너헤드; 그리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사이에서 상기 가스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가 외측에서 내부로 분출되는 염공을 형성하는 버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염이 버너캡의 내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가스레인지의 상면은, 상기 버너캡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레인지의 상면은, 상기 버너헤드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공을 통하여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화플러그는 상기 버너캡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용 버너.
KR2020010027896U 2001-09-11 2001-09-11 가스레인지용 버너 KR20026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96U KR200263682Y1 (ko) 2001-09-11 2001-09-11 가스레인지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896U KR200263682Y1 (ko) 2001-09-11 2001-09-11 가스레인지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682Y1 true KR200263682Y1 (ko) 2002-02-08

Family

ID=7310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896U KR200263682Y1 (ko) 2001-09-11 2001-09-11 가스레인지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6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586Y1 (ko) 원형화덕용 바람막이 구조물
KR20026368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JP2005221226A (ja) こんろバーナ
JPH0435688Y2 (ko)
KR100272358B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200185283Y1 (ko) 버너에 씌워 난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버너관
CN210035496U (zh) 一种切槽式外火盖及燃烧器
KR200178206Y1 (ko) 가스기기의 버너구조
KR102065153B1 (ko) 가스레인지 화력 보호 장치
JP2007127309A (ja) コンロバーナ
JP2911944B2 (ja) ガスこんろ用親子バーナ
JP3837912B2 (ja) バー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ロ
KR200393064Y1 (ko) 가스 버너
KR200159705Y1 (ko) 가스버너의 버너바디
KR200320698Y1 (ko) 조리용 가스버너
KR200298125Y1 (ko) 버너용 조리용기 받침대
JP3843929B2 (ja) バー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ロ
CN218672162U (zh) 灶具燃烧器
JP3101220B2 (ja) ガスバーナ
KR200238357Y1 (ko) 연료절약용 냄비
KR0174894B1 (ko) 가스오븐렌지용 노즐버너
KR0170166B1 (ko) 곤로버너
JPH0456207B2 (ko)
KR200349276Y1 (ko) 가스버너
KR200225635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탑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