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297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297Y1
KR200263297Y1 KR2020010032322U KR20010032322U KR200263297Y1 KR 200263297 Y1 KR200263297 Y1 KR 200263297Y1 KR 2020010032322 U KR2020010032322 U KR 2020010032322U KR 20010032322 U KR20010032322 U KR 20010032322U KR 200263297 Y1 KR200263297 Y1 KR 200263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housing
lower filtration
filtration members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우
Original Assignee
남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우 filed Critical 남영우
Priority to KR2020010032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5/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이 생식되는 균상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분해되도록 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는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기관에 설치되는 하우징; 이산화티타늄(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purification Apparatus of Garbage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산화티타늄()이 고정된 여과부재과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반응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램프가 내설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도록 된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활로 인하여 파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감량화 상태로 매립하거나 사료 및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나, 매립의 경우에는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재활용의 경우에는 그 처리과정에 많은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주원료로 하는 사료는 그 위생적인 측면이 제대로 검증되어있지 않으므로 동물 사육시 집단폐사의 위험부담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 한 후 땅으로 되돌려 보내는 소위 리싸이클(Recycle) 방법도 등장하였으나, 이 경우 도시지역에서는 퇴비를 신속히 처리할 수 없게 되어 또다른 형태의 쓰레기를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고, 퇴비화에 따른 미생물이 호기성균에 국한됨으로써 쓰레기의 분해 시간이 지연되었음은 물론 난분해성 물질이 잔류되는 등 완전한 분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1)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이 배양되는 균상과 함께 고온에서 교반시켜 소멸처리하게 된 것으로, 본체(2)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배양되는 균상을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 균상과 함께 발효되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악취와 미생물이 배기관(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배기가스중의 악취성분 및 유독성분, 미생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채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를 오염시켜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열선과 탈취기 등을 구비한 여과장치에 의해 다소 해소될수 있었으나, 이러한 여과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인 문제로 실용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조를 갖으며, 탈취는 물론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배기관
20 : 하우징 30A,30B : 상,하부 여과부재
40 : 자외선 램프 60 : 열선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이 생식되는 균상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분해되도록 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는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기관에 설치되는 하우징; 이산화티타늄()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하부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 여과부재;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동시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는 활성탄 또는 다층으로 된 금속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출구 측에는 열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붇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화장치는 본체(10)의 상부로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하부 여과부재(30A,30B)과,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교반익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배기관(12)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기관(12)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교반익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자외선 램프(40), 열선(6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배기관(12)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배기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거나 외부에 설치되는 배기관(12)과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을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은 이산화티타늄()이 고정된 활성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활성탄에 미세한 이산화티타늄()이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활성탄의 흡착 작용 및 후술할 자외선 램프(40)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광촉매 반응에 의해 공기중, 즉 배기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을 활성탄에 고정시키는 것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정화작용도 이미 알려진 것으로, 그 작용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구성된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금속망에 이산화티타늄()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하부 여과부재(30A,30B)는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거리를 유지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의 교체 또는 정비가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을 분리형으로 구성하거나, 상,하부 여과부재(30A,30B)의 설치부위에 도어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 램프(40)는 상기 활성탄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작용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 여과부재(30A)와 하부 여과부재(30B)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4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동과 동시에 점등되도록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자외선 램프(40)와 더불어 형광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형광등은 상기 자외선 램프(40)와 더물어 상기 활성탄 또는 금속망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램프(40)와 상,하부 여과부재(30A,30B)가 내설된 하우징(20)이 배기관(1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미생물이 생식되는 균상을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어서 본체(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한 온도까지 상승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를 돕는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면서 분해되는 과정이 진행되면 각종 가스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에는 미생물과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발생된 가스는 상기 배기관(12)을 통하여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 여과부재(30B)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가스와 미생물 등이 상기 하부 여과부재(30B)를 통과하게 되면, 각종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상기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각종 유해성분이 상기 활성탄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즉, 상기 자외선 램프(40)의 점등으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탄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작용이 활성화되어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정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여과부재(30B)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정화된 배기가스는 하부 여과부재(30B)와 상부 여과부재(30A)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포함된 미생물이 상기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유해가스에 포함된 각종 미생물이 자외선 램프(40)의 자외선에 의해 소멸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하부 여과부재(30A,30B)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부 여과부재(30A)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정화된다. 즉, 공간부를 통과하여 상부 여과부재(30A)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여분의 유해가스 및 악취물질은 활성탄과 이에 부착된 이산화티타늄()에 의해 최종적으로 정화되는 것이다.
결국,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각종 유해가스 및 악취성분, 미생물 등이 포함된 배기가스는 상기 하부 여과부재(30B)와 상,하부 여과부재(30A,30B) 사이의 공간부 및 상부 여과부재(30A)를 통과하면서 활성탄 및 이산화티타늄(), 자외선에 의해 다단계로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가 다수층으로 구성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0)의 출구측에 열선(60)이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열선(60)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도록 구성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연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열선(60)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배기가스를 하우징(20)으로 통과시키게 되면,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에 포함된 유해성분, 즉 악취를 발생시키는 성분 또는 미생물 등은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에 의해 1,2차 정화되고,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며, 최종적으로 열선(60)에 의해 연소되면서 잔류성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선(60)은 하부 여과부재(30B)의 하부, 즉 하우징(20)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자외선 램프(40)가 설치된 위치에 자외선 램프(40)를 제거하고, 상기 열선(60)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선(6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선(60)이 설치되는 부위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온도센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열선(60)을 설치하고 이 열선(6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를 지나 열선(60)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의 잔류 유해성분이 열선(60)에 의해 연소되면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이산화티타늄이 부착된 활성탄을 각각 설치하고, 자외선 램프를 설치함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미생물 등이 다단계로정화되고 살균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저가 제작이 가능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열선을 추가로 설치하게 되면, 유해성분을 연소시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이 생식되는 균상을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균상을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킨 후 분해하도록 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기관(12)에 설치되는 하우징(20);
    이산화티타늄()이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상/하부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 여과부재(30A,30B); 및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동시 점등되는 자외선 램프(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는 다층의 금속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여과부재(30A,30B)는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출구 측에는 열선(60)이 설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KR2020010032322U 2001-10-23 2001-10-2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KR200263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22U KR200263297Y1 (ko) 2001-10-23 2001-10-2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322U KR200263297Y1 (ko) 2001-10-23 2001-10-2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297Y1 true KR200263297Y1 (ko) 2002-02-04

Family

ID=7311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322U KR200263297Y1 (ko) 2001-10-23 2001-10-2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2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1318A (zh) 恶臭污染物废气的处理设备及处理方法
CN103990363A (zh) 一种恶臭气体收集与净化的集成设备及其方法
CN101837142B (zh) 一种光解除臭装置及方法
CN203458963U (zh) 工业废气净化装置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6755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329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정화장치
KR10026327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180015909A (ko)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N211677123U (zh) 一种防水卷材微波uv高效净化除臭机
CN211084076U (zh) 一种化工焚烧炉
KR20010076581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소멸식 처리장치
KR19980056659U (ko) 광화학 탈취장치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553874B2 (ja) 脱臭処理装置
KR100715271B1 (ko) 응축수 처리용 평막이 장착된 유기성 폐기물 분해장치
CN217855433U (zh) 一种工业含硝废气处理净化装置
CN212633817U (zh) 一种食物垃圾处理器
KR100676518B1 (ko) 유해가스 제거수단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8834037U (zh) 一种厨余垃圾废气净化装置
CN218795018U (zh) 一种医疗废水尾气处理装置
CN102836624A (zh) 一种有毒有害废气的低温等离子体-生物法组合工艺处理方法
KR20039912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46614Y1 (ko) 실외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46613Y1 (ko) 실내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