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217Y1 -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217Y1
KR200263217Y1 KR2020010032594U KR20010032594U KR200263217Y1 KR 200263217 Y1 KR200263217 Y1 KR 200263217Y1 KR 2020010032594 U KR2020010032594 U KR 2020010032594U KR 20010032594 U KR20010032594 U KR 20010032594U KR 200263217 Y1 KR200263217 Y1 KR 200263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mo
case
fitting hole
memo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승
Original Assignee
민병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승 filed Critical 민병승
Priority to KR2020010032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217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는, 메모지가 수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메모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뚜껑 본체(20)의 중앙부에 팽이 끼움공(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팽이 끼움공(21)에 원추형 팽이 동체(31) 및 그 원형 상부면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32)로 이루어진 팽이체(30)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된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는 종래 메모지 케이스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진 메모지 케이스의 상기 커버에 팽이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써 메모지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지 케이스의 뚜껑으로부터 팽이체를 분리시켜 유희용 팽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희성과 오락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A memo case with a lid having the function of a top}
본 고안은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다수의 메모지를 수용하는 메모지 케이스 본체와 그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메모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이체가 구비되므로써 어린이들에게 유희성 및 오락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지 케이스는 간단한 내용은 물론 중요한 요점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다량의 메모지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메모지케이스는 주로 책상에 비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가방 등에 휴대하여 사용하는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메모지 케이스가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모지 케이스는 다량의 메모지를 수납하도록 하는 본체와, 이 본체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이 구비되며 종이학 접기용 색종이 등이 그 내부에 수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메모지 케이스는 단순히 메모지가 보관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어린이들에게 별도의 유희성과 오락성 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지적됨에 따라 이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모지 케이스에서 지적되는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메모지 케이스 뚜껑에 착탈 가능하게 팽이체가 결합되므로써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희성과 오락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3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팽이 뚜껑을 나타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팽이체의 측면도이며,
(다)는 (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본체 11. 메모지 수납부
20. 뚜껑 본체 21. 팽이 끼움공
22. 요홈부 30. 팽이체
31. 팽이 동체 32. 손잡이
33. 고정부 40. 메모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메모지가 수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 및 뚜껑으로 이루어진 메모지 케이스의 상기 뚜껑 중앙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팽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를 개폐하도록 하며 중앙부에 팽이체(30)가 결합되는 뚜껑 본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통상의 메모지 케이스와 같이 그 내부에 메모지(40)가 수납되도록 하는 메모지 수납부(11)가 구비되며 메모지(40)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메모지 수납부(11)및 케이스 본체(10)의 형태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은, 뚜껑 본체(20)와 팽이체(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 본체(20)는 그 중앙부에 팽이 끼움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21)을 통해 팽이체(30)의 하부 원추형 팽이 동체(31)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팽이체(30)는 뚜껑 본체(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뚜껑 본체(20) 중앙부 팽이 끼움공(21)을 둘러싸는 요홈부(22)에 팽이체(30)의 원형 하부면이 밀착되어 고정된다.
다음, 도3의 (가) 내지 (다)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팽이 뚜껑을 나타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 팽이체의 측면도이며, (다)는 (나)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는 통상의 메모지 케이스 뚜껑에 팽이체가 결합됨에 기술적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바, 본 고안의 팽이 뚜껑은 뚜껑 본체(20)의 중앙부에 팽이체(30)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뚜껑 본체(20)는 그 중앙부에 팽이 끼움공(21)이 관통 형성되고, 팽이 끼움공(21)을 둘러싸는 부분은 소정의 깊이의 요홈부(22)로 이루어져, 상기 팽이 끼움공(21)에 팽이체(30)의 하부가 삽입되어 팽이체(30)의 수평면이 요홈부(22)에 걸려져 결합되도록 된다.
한편, 상기 팽이체(30)는 중앙 회전축을 중심으로 통상의 팽이와 같이 회전되도록 된 것으로, 하부에 원추형의 팽이 동체(31)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 중앙에손잡이(32)가 구비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팽이체(30)는 팽이 동체(31)와 손잡이(32)의 사이에 수평면이 형성되는데, 이 수평면의 둘레에는 톱니 바퀴형의 고정부(33)가 형성되어 뚜껑 본체(20)와의 결합시 뚜껑 본체(20) 요홈부(22)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뚜껑 본체(20)에 결합되는 본 고안 팽이체(30)는 뚜껑 본체(20)에 결합된 상태로 또는, 뚜껑 본체(2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2)를 이용하여 돌려줌에 따라 팽이체(3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특정 형태의 메모지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메모지 케이스 본체 및 뚜껑 의 모양과 형태 및 팽이체의 모양 및 팽이체의 결합구조 등은 본 고안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는 종래 메모지 케이스 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진 메모지 케이스의 상기 커버에 팽이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써 메모지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지 케이스의 뚜껑으로부터 팽이체를 분리시켜 유희용 팽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희성과 오락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메모지가 수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메모지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뚜껑 본체(20)의 중앙부에 팽이 끼움공(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팽이 끼움공(21)에 원추형 팽이 동체(31) 및 그 원형 상부면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32)로 이루어진 팽이체(30)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그 중앙부에 팽이 끼움공(21)이 천공되고 끼움공(21)의 둘레를 따라 요홈부(22)가 구비된 뚜껑 본체(20)와, 상기 본체(10)의 팽이 끼움공(21)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원추형 팽이 동체(31)와 상기 팽이 동체(31)의 상부면 중앙에 구비되는 손잡이(32)로 이루어져 상기 뚜껑 본체(20)의 요홈부(22)에 걸려 끼움 고정되는 팽이체(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체(30)의 팽이 동체(31)와 손잡이(32) 사이에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이 수평면의 둘레에는 톱니 바퀴형의 고정부(33)가 형성되어뚜껑 본체(20)와의 결합시 뚜껑 본체(20) 요홈부(22)에 견고히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KR2020010032594U 2001-10-25 2001-10-25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KR200263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94U KR200263217Y1 (ko) 2001-10-25 2001-10-25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94U KR200263217Y1 (ko) 2001-10-25 2001-10-25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217Y1 true KR200263217Y1 (ko) 2002-02-04

Family

ID=7307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594U KR200263217Y1 (ko) 2001-10-25 2001-10-25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2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093Y1 (ko) 주걱 보관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20070020600A1 (en) Activity center
KR200263217Y1 (ko) 팽이 뚜껑이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US6886719B1 (en) Makeup powder compact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CN208592829U (zh) 工具套装及其盘片包装盒
KR860000558Y1 (ko) 회전식 필기구 케이스
JP2011083506A (ja) 爪楊枝を内部に収容した箸
KR200282232Y1 (ko) 2단 필통
KR200330306Y1 (ko) 게임수단이 구비된 필통
KR200342669Y1 (ko) 필통
JP6901210B1 (ja) ストロー用キャップ
KR200391073Y1 (ko) 투도어 개방형 카드학습 필통
KR200350181Y1 (ko) 회전판 놀이기구가 구비된 메모지 케이스
KR101559535B1 (ko) 팽이기능이 있는 병뚜껑
KR200362345Y1 (ko) 필통
KR200208911Y1 (ko) 필통
KR950007258Y1 (ko) 연필꽂이 겸용 저금통
US20150102560A1 (en) Combination Card Holder and Card Deck for Playing Cards
JP2008308215A (ja) 薬液容器
KR200190298Y1 (ko) 필기구용 받침대
KR850000168Y1 (ko) 필통
KR200276378Y1 (ko) 화이트 보드가 구비된 필통
KR200346186Y1 (ko) 필통
KR200314638Y1 (ko) 양면 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