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069Y1 - 수동식 도어록커 - Google Patents

수동식 도어록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069Y1
KR200263069Y1 KR2020010032521U KR20010032521U KR200263069Y1 KR 200263069 Y1 KR200263069 Y1 KR 200263069Y1 KR 2020010032521 U KR2020010032521 U KR 2020010032521U KR 20010032521 U KR20010032521 U KR 20010032521U KR 200263069 Y1 KR200263069 Y1 KR 200263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locker
manua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환
Original Assignee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중천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2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069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고안은 도어를 가지는 각종의 전자제품등에 적요될 수 있는 도어록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동식으로 구성한 도어록커에 관계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어에 부착되며 돌출된 후크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유발시키는 가압기둥을 구비하는 플레이트(200)와; 상기 도어가 부착되는 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 커버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가압기둥(220)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판(300)과;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210)를 수용하게되며 입구가 잘록하게 형성되는 판스프링(400)과; 상기 이동판과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하부커버에 구속되어져 상기 도어가 열리게될 때 상기 이동판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상하부 커버와 결합될 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케하며 상기 이동판의 좌우이동에 의해 접점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기적신호가 생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수동식 도어록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식 도어록커{a manual type door locker}
고안은 도어록커에 관계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 도어록커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가 도어를 닫은 후 다시 열고자 할 때에 적정한 힘으로 도어를 당김에 의해 도어가 열리게 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른 동작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수동식 도어록커이다.
도어록커에 대한 종래기술로 안출된 것으로는 다수가 있으며, 여기에서는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1990-0011829호의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가 설치된 발췌분해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형태의 록크아암(31)과, 이 록아암(31)의 회전지지축(32)과 상기 록크아암(31)을 록크위치로 탄발 구축하는 탄력편(33) 및 작동간(34)등의 구성요소들이 한 몸체에 도시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설치시에는 이의 회전지지축(32)을 도어(2)의 손잡이판(4) 내측에 제공된 축지지부(42)에 도시된 방향으로 끼워 지지시키는 것으로 도어(2)에 대한 조립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식 세타기의 도어록커에 있어서는 손잡이판(4)을 당김에 의해 록크아암의 선단부가 본체측의 록크부(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서 도어의 록커가 해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과 구조에 의하게 되면 장기간 사용시에는 마모로 인해 도어가 헐겁게 되고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동형의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는 도어의 완전한 개폐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운전버튼을 누름에 의해 세탁기가 작동되므로 안전상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모드로의 전환여부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전성이 높은 수동식 도어록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가 설치된 발췌분해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3 - 상부커버와 플레이트가 제거된 경우의 평면도.
도 4 - 판스프링의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a) 및 후크가 결합된 결합도(b).
도 5 - 도 3에 있어서 상부커버가 결합되었을 때의 에이에이(A-A)선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a: 상부커버 100b: 하부커버
110 : 직선레일 200 : 플레이트
210 : 후크 220 : 가압기둥
225 : 경사면 300 : 이동판
310 : 레일가이드 320 : 슬라이드홀
330 : 가동핀 340 : 경사면
400 : 판스프링 500 : 탄성체
600 : 회동접점 610 : 가동단자
620 : 고정단자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각종의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도어록커에 있어서, 도어에 부착되며 돌출된 후크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유발시키는 가압기둥을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가 부착되는 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 커버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가압기둥에 대응하는 슬로프면이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판과;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를 수용하게되며 입구가 잘록하게 형성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이동판과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하부커버에 구속되어져 상기 도어가 열리게될 때 상기 이동판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상하부 커버와 결합될 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케하며 상기 이동판의 좌우이동에 의해 접점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기적신호가 생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수동식 도어록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동식 도어록커는 도어의 록킹과 동시에 도어가 완전히 록킹되었다는 신호를 본체에 발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수동식 도어록커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커에는 자동식과 수동식이 있으며, 사용개소나 제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하게 된다.
이하로부터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도어록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수동식 도어록커는 플레이트(200), 이동판(300), 판스프링(400) 및 탄성체(500)로 구성이되며 상기 플레이트(200)는 도어에 부착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후크(210)와 가압기둥(220)이 형성되며 후크는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판스프링(400)에 삽입되어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되고 상기 가압기둥(220)은 이동판(300)을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이동판에 형성되는 가동핀(330)이 회동접점(600)을 단락시키게된다.
상기 이동판(300)은 상하 커버(100a,100b)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기둥(220)의 삽탈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300)은 도어가 열리게 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서 도어가 열렸다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가압기둥(220)이 상기 이동판(300)으로부터 이탈되면 하부커버와(100b) 상기 이동판(300)의 일측과 결합되는 탄성체(500)에 의해상기 이동판(30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수동식 도어록커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이들 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 2는 플레이트의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상부커버와 플레이트가 제거된 경우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200)에 대해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부착시킬 수 있는 판상에 돌출된 후크(210)와 가압기둥(220)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210)는 도어가 닫히게 될때 판스프링(400)에 삽입되어져 도어가 열리게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첨부되는 도 4는 상기 판스프링의 형상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a) 및 상기 후크가 판스프링에 삽입되었을때의 결합도(b)에 해당되며 상기 판스프링(400)에 삽입되는 후크(210)의 단부 형상도 판스프링의 형상과 동일하게된다. 즉, 상기 후크(210)의 단부는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되는 양측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원활하게 삽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400)은 상기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입구가 잘록하게 좁으며 내측으로 확장되어져 있고 탄성을 유지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가 판스프링에 삽입되면 외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는 열리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 후크(210)와 이격되어 가압기둥(220)이 형성되는데 도어가 닫히게 될때 상하부 커버(100a,100b)의 내부에 내설되는 이동판(300)의 슬라이드홀(320)에 삽입된다. 상기 가압기둥(220)의 단부는 쇄기형을 이루는 경사면을 구비하게되며 상기 슬라이드홀(320)에도 상기 가압기둥(2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응하는 부위가 경사면을 이루게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기둥이 슬라이드홀에 끼워지게되면 가압기둥의 경사면(225)과 슬라이드홀에 형성되는 경사면(340)이 상호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300)은 판스프링(400)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다음으로는 이동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도 5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상부커버가 결합되었을 때 에이에이(A-A)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동판(300)의 상하 양단부에는 돌출된 레일가이드(3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일가이드(310)가 결합되는 상하 커버(100a,100b)에는 상기 레일가이드(310)의 내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설되는 직선레일(110)이 각각 형성되어져 상기 이동판(300)이 직선레일(110)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의 사이 영역에는 슬라이드홀(320)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기둥이 삽입되며 상기 레일가이드가 형성되는 수평축과 직교하는 수직축방향의 양단중 일측에는 경사면(225)이 형성된다. 가압기둥(22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이동판(300)은 판스프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300)의 하측면 일측에는 가동핀(330)이 설치되며 상기 가동핀은 그 하측에 접하여 형성되는 회동접점(600)과 맞닿아 형성되어진다. 상기 회동접점(600)은 그 하측에 형성되는 두개의 가동단자(6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단자(620)에 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이동판(300)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핀(330)의 위치가 변함에 의해 상기 가동단자(610)중 하나와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도 3에 서와 같이 이동판(300)이 최좌측에 위치되면 도어가 열린상태로서 상기 회동접점(600)이 좌측의 가동단자(610)와 접촉되어 도어가 열렸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반대로 상기 이동판이 최우측으로 이동되면 도어가 닫힌상태로서 상기 회동접점(600)이 우측의 가동단자(620)와 접촉되어 도어가 닫혔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300)은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열리게되면 원래의 위치인 직선레일(110)의 좌측으로 복귀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0)로서 하부커버와 상기 이동판의 일측을 구속되도록 한다.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이동판(300)은 가압기둥(220)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체(500)는 압축되고 다시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탄성체(50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전자제품등에 적용되는 수동식 도어록커로서 도어의 개폐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서 고장발생등을 줄일 수 있게되고 또한 도어의 개폐여부가 전자제품에 인가됨으로서 운전가능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종의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도어록커에 있어서,
    도어에 부착되며 돌출된 후크(210)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유발시키는 가압기둥(220)을 구비하는 플레이트(200)와;
    상기 도어가 부착되는 본체에 설치되는 상하부 커버(100a,100b)의 내부에 내설되어 상기 가압기둥(220)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판(300)과;
    도어가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210)를 수용하게되며 입구가 잘록하게 형성되는 판스프링(400)과;
    상기 이동판(300)과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타측단부는 하부커버(100b)에 구속되어져 상기 도어가 열리게될 때 상기 이동판(300)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200)가 상기 상하부 커버와 결합될 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케하며 상기 이동판(300)의 좌우이동에 의해 접점의 변화가 발생되어 전기적신호가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도어록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커버(100a,100b)는,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레일(110)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도어록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00)은,
    접점의 변화를 유발하는 회동접점(600)을 가압할 수 있는 가동핀(330)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수동식 도어록커.
KR2020010032521U 2001-10-24 2001-10-24 수동식 도어록커 KR200263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21U KR200263069Y1 (ko) 2001-10-24 2001-10-24 수동식 도어록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21U KR200263069Y1 (ko) 2001-10-24 2001-10-24 수동식 도어록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069Y1 true KR200263069Y1 (ko) 2002-02-01

Family

ID=7307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521U KR200263069Y1 (ko) 2001-10-24 2001-10-24 수동식 도어록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83B1 (ko) 콘센트
CN101150023A (zh) 电路断路器的外部操作手柄装置
US7002092B2 (en) Latch with switch
US4598182A (en) Lock inhibitor for toggle switch actuator
US4440994A (en) Pivoted actuator off lock switch with operator key nonremovable in ON position
KR200263069Y1 (ko) 수동식 도어록커
US20170328576A1 (en) Door-locking device for self-cleaning household ovens
CN103015810A (zh) 门锁和安装有相同门锁的设备
CN216624045U (zh) 棘轮弹按结构、开关和用电设备
JPH04137594A (ja) 開閉カバー
KR100414361B1 (ko) 도어 록 장치
KR102635993B1 (ko)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도어락 장치
CN216494905U (zh) 顶推机构及包含其的盖体组件、锅具
JPH09189164A (ja) 錠止機構の保持装置
JP3781383B2 (ja) リッドロック装置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CN220326080U (zh) 一种具有依序开闭功能的滑轨
KR19990036771A (ko) 스위치
WO1993009323A1 (en) Reversing device for the opening of cabinet doors
KR890008374Y1 (ko) 분전함 도어 개폐장치
JP4095777B2 (ja) 扉の取り付け構造
JPH0419667Y2 (ko)
CN115363429A (zh) 顶推机构及包含其的盖体组件、锅具
JP289572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960003427Y1 (ko) 전자제품의 도어 록킹(door locking)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