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82Y1 -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82Y1
KR200262982Y1 KR2019990001213U KR19990001213U KR200262982Y1 KR 200262982 Y1 KR200262982 Y1 KR 200262982Y1 KR 2019990001213 U KR2019990001213 U KR 2019990001213U KR 19990001213 U KR19990001213 U KR 19990001213U KR 200262982 Y1 KR200262982 Y1 KR 200262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plate
storage space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292U (ko
Inventor
정민현
Original Assignee
정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현 filed Critical 정민현
Priority to KR2019990001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82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차양판을 구성하는 상판(1) 및 하판(2)과, 상기한 상판(1)및 하판(2)의 안쪽면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 및 수납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 수납부(11) 및 하판 수납부(12)와, 상기한 차양판이 차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한 상판(1)이 이등분되어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이분된 상판(1)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에 록커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이분된 상판(1)이 록커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일측단에 설치되어 회전축으로서 역할을 하는 힌지가 다른 일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바이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간단한 필기구, 메모장, 신변잡화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바이저가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차실내 수납공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바이저 개방시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SUN VISOR HAVING STORING SPACE}
이 고안은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sun vis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선바이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간단한 필기구, 메모장, 신변잡화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바이저가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차실내 수납공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바이저 개방시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유리(front windshield glass)의 내측 상부에는 선바이저(S)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선바이저(S)는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에게 전면유리를 통하여 햇빛이 입사되는 것을 차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눈부심 또는 햇살의 따가움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선바이저(S)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고정판으로 형성된 차광판을 전면유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의 구조는 선바이저가 단지 차광의 목적으로서만 사용되도록 할 뿐, 다목적 용도로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내부의 여유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수납공간이 항상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바이저내에 수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선바이저를 다목적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차실내 인테리어 구조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도 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구성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차양판을 구성하는 상판(1) 및 하판(2)과, 상기한 상판(1)의 안쪽면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주머니가 다수개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판 수납부(12)와, 상기한 하판(2)의 안쪽면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움푹하게 형성되어 있는 하판 수납부(22)와, 상기한 상판(1) 및 하판(2)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록커(11, 21)와, 상기한 상판(1) 및 하판(2)의 일측단이 록커(11, 21)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일측단에 설치되어 회전축으로서 역할을 하는 힌지(3)와, 상기한 차양판이 차실내에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자동차의 앞좌석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전면유리를 통해서입사되는 햇빛을 피하기 위하여, 상판(1)과 하판(2)의 록커(11, 2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구(4)를 중심으로 선바이저 전체를 회동시켜 위치를 변화시킨 뒤에 차양판으로서 사용하게 된다.또한, 선바이저를 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운전자 또는 보조석 탑승객은 록커(11, 21)를 열어서 상판(1)과 하판(2)이 힌지(3)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개방되도록 한 뒤에, 상판 수납부(12)와 하판 수납부(22)에 물건을 수납하고 나서, 다시 록커(11,21)를 닫게되면 간단한 필기구, 메모장, 신변잡화 등을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상판(1)과 하판(2)이 록킹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판(1)을 무심코 열게 되면 수납부(12, 22)에 있던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바이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차실내에서 부족한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바이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간단한 필기구,메모장, 신변잡화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바이저가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차실내 수납공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바이저 개방시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클로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4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개폐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도 5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개폐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판 2 : 하판
3 : 힌지 4 : 지지구
11, 21: 록커 12, 22 : 수납부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서는, 상판이 세로방향으로 2등분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선바이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상판을 잡고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선바이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서는, 상판이 가로방향으로 2등분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바이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양손으로 상판을 잡고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선바이저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선바이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간단한 필기구, 메모장, 신변잡화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바이저가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족한 차실내 수납공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바이저 개방시 물건들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선바이저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차양판을 구성하는 상판(1) 및 하판(2)과, 상기한 상판(1)및 하판(2)의 안쪽면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 및 수납 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 수납부 및 하판 수납부와, 상기한 차양판이 차실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바이저에 있어서,
    상기한 상판(1)이 이등분되어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이분된 상판(1)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단에 록커가(13, 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이분된 상판(1)이 록커(13, 14)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일측단에 설치되어 회전축으로서 역할을 하는 힌지(5)가 다른 일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19990001213U 1999-01-28 1999-01-28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262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213U KR200262982Y1 (ko) 1999-01-28 1999-01-28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213U KR200262982Y1 (ko) 1999-01-28 1999-01-28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92U KR20000016292U (ko) 2000-08-25
KR200262982Y1 true KR200262982Y1 (ko) 2002-02-02

Family

ID=5475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213U KR200262982Y1 (ko) 1999-01-28 1999-01-28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24B1 (ko) 2014-09-25 2016-02-18 김도락 차량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92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5883B2 (en) Overhead console assembly
US20050134074A1 (en) Articulating storage compartment
KR200262982Y1 (ko) 상부이분개폐식 수납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262568Y1 (ko) 슬라이드식 수납함을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US7267396B2 (en) Removable storage module for vehicle
JP4356255B2 (ja) 車両用内装部材
CN219988955U (zh) 用于车辆的遮阳板组件及车辆
KR100376442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0155135B1 (ko) 루프 사이드 트림에 설치된 안경 수납구
KR0149091B1 (ko) 선바이져의 안경수납구
KR100394957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수납장치
KR0130645Y1 (ko) 핸드폰 홀더가 구비되는 자동차 도어용 암 레스트
KR100324960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구조
KR0133376B1 (ko) 자동차용 콘솔리드의 착탈가능한 수납박스
KR100376445B1 (ko) 자동차용 미드게이트의 글래스 개폐장치
KR100496390B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JP3283809B2 (ja) 自動車のオーバヘッドトレイ
KR0139425Y1 (ko) 자동차의 룸 미러에 부설된 안경보관함
KR19980046823A (ko) 자동차용 도어트림구조
KR0114618Y1 (ko) 자동차용 햇빛가리개의 카드보관함
KR0123595Y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19980034529U (ko) 서류함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20080003449U (ko) 자동차용 선바이져
KR0128790Y1 (ko) 해치백 자동차의 셀프트림 절첩구조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