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50Y1 -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50Y1
KR200262850Y1 KR2020010033358U KR20010033358U KR200262850Y1 KR 200262850 Y1 KR200262850 Y1 KR 200262850Y1 KR 2020010033358 U KR2020010033358 U KR 2020010033358U KR 20010033358 U KR20010033358 U KR 20010033358U KR 200262850 Y1 KR200262850 Y1 KR 200262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water
raw water
car wash
ce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이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3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50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차기(100)로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 형상의 전해조본체(10)와;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파이프(20)와; 전해조본체(10)의 중앙 내부에 원수공급파이프(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에 압송되는 원수가 분출되는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된 원수분출부재(25)와; 원수분출부재(25)의 외측에 설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2전극(40)(45)과;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제1,2전극(40)(45)에 의하여 발생된 전해수가 방출되는 전해수방출파이프(30)와; 제1,2전극(40)(45)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차를 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Ionic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ar washer}
본 고안은 세차기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외부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자동차 표면에는 항상 더러운 이물질들, 예컨대 기름때, 물 때, 벌레들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차는 매우 고된 일이기 때문에 세차는 자동 세차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이물질은 자동차 표면에 매우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합성세제가 포함된 세차액을 사용하여야 하였다. 세차시에 사용되는 세차액의 양은 상당히 많으며, 세차액은 세차후에 그대로 땅이나 하수도로 흘러보내지고 있다.
그런데, 합성세제나 이 물질은 자연적으로는 잘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자동차를 세차할 경우에 많은 세착액이 소모되므로, 세착액에 포함되는 합성세제의 양 또한 많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합성세제는 세차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차할 수 있으며, 자연적으로 쉽게 분해되어 환경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해수를 세차기로 공급하기 위한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가 세차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해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전해수 공급장치에서, 전해조본체에 설치되는 원수분출부재의 발췌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전해수 공급장치에서, 전해조본체에서 분리되는 제1,2전극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1,2전극의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스 10 ... 전해조본체
11 ... 호퍼구조 12 ... 이물질배출부
12a ... 밸브 20 ... 원수공급파이프
25 ... 원수분출부재 25a ... 구멍
30 ... 전해수방출파이프 40 ... 제1전극
45 ... 제2전극 50 ... 제어부
51 ... 제어패널 52 ... LCD 액정 디스플레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장장치는, 세차기(100)로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 형상의 전해조본체(10)와; 상기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파이프(20)와; 상기 전해조본체(10)의 중앙 내부에 상기 원수공급파이프(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에 압송되는 원수가 분출되는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된 원수분출부재(25)와; 상기 원수분출부재(25)의 외측에 설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2전극(40)(45)과; 상기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전극(40)(45)에 의하여 발생된 전해수가 방출되는 전해수방출파이프(30)와; 상기 제1,2전극(40)(45)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본체(10)의 하단에는 물속에 포함되어 가라않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호퍼구조(11)의 이물질배출부(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40)은 상기 원수분출부재(25) 측을 향하며 - 전원이 인가되는 매쉬구조의 판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극(45)은 상기 전재조본체(10) 내주면측을 항하며 + 전원이 인가되는 판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의 간격은 0.3mm ∼ 5mm 이다.
한편, 상기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에는 10V ∼30V 의 DC 전압과 5A ∼ 20A의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해조본체(10)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수단(60)을 더 포함한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에 따른 전해수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가 세차기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해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전해수 공급장치에서, 전해조본체에 설치되는 원수분출부재의 발췌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해수 공급장치에서, 전해조본체에서 분리되는 제1,2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제1,2전극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는, 세차기(100)의 물공급라인과 연결되어 그 세차기(100)로 전해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세차기(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는, 소정의 케이스(1)에 설치되는 통 형상의 전해조본체(10)와, 전해조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파이프(20)와, 전해조본체(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생산된 전해수를 방출하는 전해수방출파이프(30)와, 전해조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2전극(40)(45)과, 제1,2전극(40)(45)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전해조본체(10)의 중앙 내부에는 원수공급파이프(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에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된 원수분출부재(25)가 설치된다. 원수분출부재(25)로 유입된 원수는 구멍(25a)을 통하여 전해조본체(10)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고른 압력으로 분출된다.
전해조본체(10) 내측의 하단은 이물질이 모아지는 호퍼구조(11)가 형성된다. 호퍼구조(11)의 저부에는 이물질배출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점차로 가라않아 호퍼구조(11)에 모아지고, 이물질배출부(12)의 밸브(12a)를 개방하게 되면 호퍼구조(11)에 가라않은 이물질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원수분출부재(25)의 외측에는 한쌍 이상의 제1,2전극(40)(45)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분출부재(25)의 외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2쌍의 제1,2전극이 설치된다. 상기 제1,2전극(40)(50)은 전해조본체(10)의 상부에 볼트(16)로 고정되는 고정판(15)의 하부에 설치된다. 고정판(15)은 전해조본체(10)의 상부에 밀봉되면서 결합된다.
각각의 제1,2전극(40)(45)은 서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2장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극(40)은 - 전극으로 사용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수분출부재(25) 측을 향하고 있다. 제2전극(45)은 + 전극으로 사용되고 판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전해조본체(10)의 외측을 향하고 있다. 이때, 제1전극(40)이 메쉬구조를 가짐으로써 메쉬구조의 관통공(40a)을 통하여 제2전극(45)에 접촉될 수 있는 원수의 양을 늘렸고, 메쉬구조는 수많은 관통공(40a)을 가짐으로써 전기분해로 생성된 전해수가 쉽게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원수의 전기분해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의 간격(d)은 0.3mm ∼ 5mm 이내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m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즉,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에는 절연체로 된 이격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간격(d)이 유지되는 것이다.
제1전극(40)과 제2전극(45)에는 10V∼30V 의 전압이 인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DC 24 V 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 제1전극(40)과 제2전극(45)에는 5A∼20A 의 전류가 인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2A 가 인가되었다.
제1,2전극(40)(45)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0)에는 제어패널(51)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패널(51)에는 제어되는 상황이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되도록 LCD 액정 디스플레이(52)나, 고휘도라이트가 설치되어 동작상태를 알려준다.
그리고, 전해조본체(10)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수단(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은 원수의 전기분해를 돕는 것으로서, 탄화수소나트륨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해질 공급수단(60)은 원수공급파이프(20)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전해조본체(10)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2전극(40)(45)에 DC 24V의 전압 및 12A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소정의 압송펌프(미도시)로부터 압송된 원수가 원수공급파이프(20)를 통한 후 원수분출부재(25)의 구멍(25a)을 통하여 고른 압력으로 전해조본체(10)로 분출된다. 한편,제1,2전극(40)(45)에 DC 전압 및 전류가 공급되면,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의 원수에 전기분해가 일어난다.
여기서 사용되는 원수는 증류수가 아닌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를 이용한다. 수돗물이나 지하수에는 나트륨(Na),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등의 미네랄과 염소(Cl)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은 원수에 전기가 흐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100 % 순수한 물은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제1,2전극(40)(45)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제1,2전극(40)(45) 사이의 원수는 전기분해된다. 원수에 전기를 통하게 하면, 원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나트륨 및 염소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NaClO) 및 히드록시이온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차아염소산 나트륨은 표백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히드록시이온은 계면활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속적인 전기가 제1,2전극(40)(45)에 공급하여 차아염소산 나트륨과 히드록시이온이 함유된 원수를 계속 전기분해하면, 이들 차아염소사 나트륨 및 히드록시이온은 가성소다와 탄산가스로 되며, 탄산가스는 원수 내에 포함되어 있다가 세치시에 외부로 빠져나가고, 생성된 가성소다는 자동차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성분이 된다.
이러한 공정으로 만들어진 전해수의 산화환원전위(ORP)는 원수에 포함된 미네랄의 양에 따라서 - 산화환원전위(ORP)를 가진다. 산화환원전위(ORP)란 어떤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과 산화, 환원되는 정도를 mV 라는 단위로 수치화 한 것인데, 정(+)의 수치가 클수록 상대를 산화하는 능력이 강하고, 부(-)의 수치가 클수록 상대를 환원시키는 능력이 크다. 예를 들면 수돗물의 산화환원전위는 200-600mV 정도다. 산화환원전위가 + 인 물로 세차하면 자동차 표면을 산화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을 녹이 쓴다고 표현된다. 그러나, 본원의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 전해수는 - 산화환원전위를 가지므로 세차시에도 자동차를 산화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만들어진 전해수의 산화환원전위는 0 ∼ -300mV 정도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전해수는 1분에 100 리터 정도가 생성되면, 이러한 전해수는 곧바로 세차기(100)로 공급되어 세차액으로 사용된다. 즉, 전해수 내부에서 발생된 가성소다 성분이 자동차 표면에 낀 때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합성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원에서 만들어진 전해수는 산화환원전위가 부(-)의 값을 가지므로, 자동차 표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후 버려지는 전해수는 그 특성상 수시간 또는 수일내에 원수로 환원되기 때문에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차기용 전해수공급장치에 따르면, 전해수의 산화환원전위는 - 를 가지므로 자동차표면의 열화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산화환원전위를 가지는 전해수로 세차한 자동차는 산성비로부터 차체를 보호한다.
또한, 원수를 전해수로 만드는 과정에서 자동차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성소다가 생기므로, 별도의 합성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합성세제를 일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땅이나 하천(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친화형이다.

Claims (6)

  1. 세차기(100)로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 형상의 전해조본체(10)와;
    상기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파이프(20)와;
    상기 전해조본체(10)의 중앙 내부에 상기 원수공급파이프(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에 압송되는 원수가 분출되는 다수개의 구멍(25a)이 형성된 원수분출부재(25)와;
    상기 원수분출부재(25)의 외측에 설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2전극(40)(45)과;
    상기 전해조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전극(40)(45)에 의하여 발생된 전해수가 방출되는 전해수방출파이프(30)와;
    상기 제1,2전극(40)(45)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단에는 물속에 포함되어 가라않은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호퍼구조(11)의 이물질배출부(1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40)은 상기 원수분출부재(25) 측을 향하며 - 전원이 인가되는 매쉬구조의 판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전극(45)은 상기 전재조본체(10) 내주면측을 항하며 + 전원이 인가되는 판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의 간격은 0.3mm ∼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40)과 제2전극(45) 사이에는 10V ∼30V 의 DC 전압과 5A ∼ 20A의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본체(10)로 전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수단(60)을 더 포함하여, 세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KR2020010033358U 2001-10-31 2001-10-31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KR200262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58U KR200262850Y1 (ko) 2001-10-31 2001-10-31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58U KR200262850Y1 (ko) 2001-10-31 2001-10-31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114A Division KR100392322B1 (ko) 2000-12-11 2000-12-11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50Y1 true KR200262850Y1 (ko) 2002-03-18

Family

ID=7311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58U KR200262850Y1 (ko) 2001-10-31 2001-10-31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19A (ko) 2021-09-07 2023-03-14 왕효성 워터 스팟을 방지하는 세척수와 헹굼수 공급 시스템
KR20230090201A (ko) * 2021-12-14 2023-06-21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219A (ko) 2021-09-07 2023-03-14 왕효성 워터 스팟을 방지하는 세척수와 헹굼수 공급 시스템
KR20230090201A (ko) * 2021-12-14 2023-06-21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KR102629156B1 (ko) 2021-12-14 2024-01-29 (주)엔티아이 다중-스테이지 브러시리스 세차 시스템을 위한 전기적 분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3474B2 (en) Electro-chemical wat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4908109A (en) Electrolytic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rapid reverse current plating electrodes
CN110422913A (zh) 一种电气浮结合电絮凝污水处理工艺及其处理设备
CN110404894B (zh) 一种电极除垢装置
KR100675375B1 (ko) 해산어 양식장의 수질관리시스템
GB2318128A (en) Washing Machine
KR200262850Y1 (ko)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KR100392322B1 (ko) 세차기용 전해수 공급장치
CN204058033U (zh) 一种处理净化后的脱硫废水的装置
CN206553378U (zh) 污泥脱水减量装置
KR19980041652A (ko) 유화 오일-함유 폐수에서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210647720U (zh) 一种电动修复重金属污染土壤装置
CN211111499U (zh) 一种高浓度废水处理装置
KR200261801Y1 (ko) 전해수 세차기
CN110937666A (zh) 一种阳极保护式自动除垢的电解含盐有机废水装置
KR102066016B1 (ko) 난분해성 오폐수 전처리시스템
CN217202485U (zh) 一种污水处理用电解池
JP2011255265A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CN205740601U (zh) 三元水、聚合物水或压裂水处理设备
DE2356845B2 (de)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und Oxydation von Abwasser
KR100556291B1 (ko) 전기화학적 폐수 처리 장치
CN102815767A (zh) 一种自清洁复合活性炭电极电解氧化还原方法及装置
CN209798130U (zh) 带有清洁结构的隔膜式电解槽
JP2006281120A (ja) 汚泥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とそれを用いた汚泥処理システム
KR200279796Y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