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36Y1 -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36Y1
KR200262736Y1 KR2020010030385U KR20010030385U KR200262736Y1 KR 200262736 Y1 KR200262736 Y1 KR 200262736Y1 KR 2020010030385 U KR2020010030385 U KR 2020010030385U KR 20010030385 U KR20010030385 U KR 20010030385U KR 200262736 Y1 KR200262736 Y1 KR 200262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vable base
medical scooter
battery hou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피.에이취.우
Original Assignee
피샹 머시너리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샹 머시너리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피샹 머시너리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10030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36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은 각각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실, 동일 배터리실의 배터리의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배터리실의 바닥에 제공된 전극접점, 및 충전기와 충전기가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뽑아서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전원코드를 수용하는 전기실이 구비된 가동베이스를 구비한다. 배터리실의 아래에는 두 개의 탄성 도전판이 전극접점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므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도전판에 연결된 카트의 양극 및 음극전원공급선에 공급될 수 있다. 탄성 도전판의 아래에는 의료용 스쿠터 상에 모인 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배터리하우징를 보호하기 위해 배수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Battery Housing for Medical Scooter}
본 고안은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장착하고 해체하고 충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의료용 스쿠터에 장착된 배터리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모터차량, 특히 자동차 및 오토바이는 현대사회의 매우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 이들 모터차량의 대부분, 즉 자동차나 오토바이는 연료로서 휘발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문제를 낳는다. 환경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환경친화적인 전기차량이 개발되어왔다. 여러 가지 타입의 전기차량 중에서 무게가 가볍고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십대 학생, 주부, 병약자 및 노인에 환영받으며 보통 단거리내에서 이동하는데 편리한 전기 차량이 있다.
전기 카트의 주동력원으로는 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몇 개의 배터리 및 모터가 포함된다. 배터리는 전기 카트의 주동력원이기 때문에, 이들을 카트에 장착하기 위한 방식은 전기 카트의 편리한 사용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배터리를 전기카트에 장착하기 위한 가능한 완전한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도 9는 차체가 없는 본체(A)와 시트(A1) 아래에 배터리(B)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아주 단순한 배터리 브라켓(A2)이 구비되는 시트(A1)를 갖춘 종래기술의 전형적인 전기 카트를 도시한다. 배터리(B)는 본체(A)에 직접 일체로 조립되는데, 배터리(B)를 본체(A)에 장착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므로 결국 배터리(B)를 재충전하거나, 보전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배터리(B)를 전기 카트의 본체(A)에 장착하는 상술한 방식의 다른 문제점은 조작자가 배터리(B)를 해체하고 장착할 때 반복하여 양극와이어와 음극와이어를 배터리(B)로부터 분리하고 연결하여야 하며, 이런 조작은 불가피하게 배터리(B)의 접속의 사용수명에 악영향을 줄 것이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카트의 본체를 반복하여 해체하고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할 필요 없이 배터리를 의료용 스쿠터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해체할 수 있게 하여, 예를 들어 차고에서 재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편리하게 카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해체할 때 양극와이어와 음극와이어를 서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재충전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충전기와 그에 따른 전원코드를 수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그 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은 시트 아래의 의료용 스쿠터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베이스를 구비한다. 이 가동베이스는 각각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실, 동일 배터리실의 배터리의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배터리실의 바닥에 제공된 전극접점, 및 충전기와 충전기가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뽑아서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될 수 있는 전원코드를 수용하는 전기실이 구비된다. 배터리실에 상당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후방부에는 두 개의탄성 도전판이 장착되며 이 도전판은 일단부가 각각 별도로 카트의 양극 및 음극전원공급선에 연결된다. 탄성 도전판의 타단부는 전극접점과 접촉하므로, 의료용 스쿠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전극접점 및 탄성 도전판을 통하여 양극 및 음극전원공급선에 공급될 수 있다. 의료용 스쿠터 상에 모인 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배터리하우징을 보호하기 위해 탄성 도전판 아래의 의료용 스쿠터에는 배수공을 갖는 오목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이 위에 장착된 의료용 스쿠터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에 수용된 양극 및 음극전극과 두 개의 탄성 도전판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의료용 스쿠터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의 전극접점과 탄성 도전판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원부위(C)의 확대단면도.
도 6은 탄성 도전판과 전극접점과의 접속상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배터리하우징의 전기실에서 전원코드를 편리하게 뽑기 위해 상측커버의 뚜껑을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의 부분사시도.
도 8은 충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기실로부터 뽑아진 전원코드가 교류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의료용 스쿠터의 배면도.
도 9는 전기 카트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동베이스 10’상측커버
11 슬리브통로 11’슬리브통로
12, 13 손잡이 12’전기실뚜껑
14 배터리실 15 전극접점
16 제 1도선 17 전기실
18 충전기 19 전원코드
20 배터리 21 양극전극
22 음극전극 23 케이블
30 탄성 도전판 31 접점
31’접점 100 배터리하우징
200 의료용 스쿠터 210 전방부
220 후방부 221 시트기둥슬리브
222 높이조정볼트 230 연결볼트
240 틈새조정볼트 250 시트의 바닥기둥
260 오목부 261 배수공
270 양극전원공급선 280 음극전원공급선
290 구동모터
상기 및 그 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채용된 구조 및 기술수단은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을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앞으로 본 고안의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은 “배터리하우징”이라고 부르고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할 것이며, 의료용 스쿠터의 본체를 도면부호 “200”으로 표시할 것이다. 도시한 의료용 스쿠터에 있어서, 이 스쿠터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는 본체(200)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100)은 전방부와 후방부가 일체로 연결된 의료용 스쿠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의료용 스쿠터의 본체(200)는 연결볼트(230) 및 틈새조정볼트(240)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부(210) 및 후방부(220)를 구비하므로, 본체(200)의 전방부 및 후방부(210, 220)는 서로 분리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후방부(220)에는 시트(250)의 바닥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기둥슬리브(221)가 구비된다. 시트(250)는 높이조정볼트(222)에 의해 슬리브(221)에 대하여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다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체(200)의 후방부의 양측의 소정의 위치에는 다수의 배수공(261)이 바닥에 제공된 두 개의 오목부(260)가 구비되므로, 후방부(220)에 모아진 물은 모두 오목부(260) 속으로 유입되어 배수공(261)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배터리하우징(100)은 크게 가동베이스(10)와 두 개의 탄성 도전판(30)을 구비한다. 이 가동베이스(10)는 어떤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도시한 도면에 있어서, 가동베이스(10)는 본체(200)의 후방부(220)와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가동베이스(10)는 시트기둥슬리브(221)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시트(250)의 기둥과 맞물리게 하는 슬리브통로(11)와, 슬리브(221)에 대한 가동베이스(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동베이스(10)의 전후방 단부에 별도로 연결되는 두 개의 손잡이(12, 13)와, 각각 배터리(20)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격리된 배터리실(14)과, 각 배터리실(14)의 바닥에 제공된 전극접점(15)(도 3 참조)과, 충전기(18)와 이 충전기(18)에 연결된 소정길이의 전원코드(19)를 수용하는 전기실(17)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배터리실(14) 중의 한 배터리실의 전극접점(15)에는 제1 도선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동일 배터리실(14)에 수용된 배터리(20)의 양극전극(21)에 연결되며, 제2 도선(16)의 일단부는 다른 배터리실(14)의 전극접점(1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동일 배터리실에 수용된배터리(20)의 음극전극(22)에 연결된다. 두 개의 배터리(20)에 별도로 제공된 양극전극(21)과 음극전극(22)을 연결하는데 케이블(23)이 사용되므로, 배터리(20)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한 도면에 있어서, 배터리(20)는 직렬로 연결되어있다.
충전기(18)는 배터리(20)를 재충전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8’)에 의해 배터리(20)에 연결된다. 전원코드(19)는 전기실(17)에서 뽑아져 충전기(18)를 외부의 교류전원과 연결시킬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100)은 또한 가동베이스(10)의 상부에 개방 가능하게 폐쇄되는 상측커버(10’)를 구비한다. 이 상측커버(10’)는 시트기둥슬리브(221)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시트(250)의 기둥과 맞물리게 하는 슬리브통로(11’)와, 전기실(17)을 개폐하기 위한, 가동베이스(10)의 전기실(17)에 대응하는 전기실뚜껑(12’)을 구비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개의 탄성 도전판(30)은 두 개의 배수홈(260)의 위에 그리고 두 개의 배터리실(14)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일단부가 본체(200)의 후방부(220)의 양측에 별도로 나사 고정된다. 이 탄성 도전판(30)은 어떤 형상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탄성 도전판(30)의 제1 실시예는 특정 정도의 탄성을 제공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상방으로 연장된 자유단부를 갖는 금속스트립이다. 각 도전판(30)의 상방으로 연장된 자유단부에는 상방으로 가동베이스(10) 상의 각 배터리실(14)의 바닥에 제공된 전극접점(15)에 일치하도록 접점(31)이 제공되므로, 두 개의 접점(31)은 두 개의 배터리(20)의 양극전극(21)과음극전극(22)에 별도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200)의 후방부(220)에 나사고정되는 두 개의 탄성 도전판(30)의 단부는 양극 전원선(270)과 음극 전원선(280)에 별도로 연결된다. 구동모터(290)와 그 외의 전기부하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여 의료용 스쿠터의 본체(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이 탄성 도전판(30)의 접점(31)을 통하여 양극 및 음극 전원공급선(270, 280)에 공급된다.
도 5와 유사하지만 탄성 도전판(3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한다. 제2 실시예의 탄성 도전판(30)은 배수오목부(260)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코일스프링형태의 접점(31’)을 갖는다. 접점(31’)은 배터리실(14)의 바닥에서 전기접점(15)에 대하여 정상상태에서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양호한 탄성 압축성을 제공하므로,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똑같이 배터리(20)로부터 전류가 접점(31’)과 도전판(30)을 통하여 양극전원공급선(270)과 음극전원공급선(28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배터리하우징(100)의 상측커버(10’)의 전기실뚜껑(12’)이 들어올려지고 전원코드(19)가 전기실(17)로부터 뽑아져서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충전기(18)가 배터리(20)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동작전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배터리(20)를 의료용 스쿠터로부터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할 필요 없이 전원코드(19)를 배터리하우징(100)의 가동베이스(10)로부터 뽑아서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배터리(20)를 간단히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배터리하우징(100)의 이점들이다.
1. 배터리하우징(100)의 가동베이스(10) 내의 배터리(20)를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지 않고도 쉽게 해체 및 재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동베이스를 시트기둥슬리브(22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단지 가동베이스(10)의 손잡이(12, 13)를 잡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20)와 충전기(18)를 보수관리 및 교체의 목적으로 보다 편리하게 해체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2. 서로 격리된 배터리실(14)과 상측커버(10’)는 배터리하우징(100)이 보다 양호한 방수성과 내습성을 갖게 하여 배터리(20)를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며, 따라서 배터리(2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3. 두 개의 탄성도전판(30)을 두 개의 격리된 전극접점(15)에 대하여 동시에 접촉시기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20)를 해체하거나 재장착하는 경우에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에 연결된 도선이 예기치 않게 위험스럽게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20)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4. 오목부(260)와 이 오목부(260) 내의 배수공(261)을 제공하면 양극전원공급선(270), 음극전원공급선(280) 및 탄성 도전판(30)의 주위에 모인 물을 배수시켜 이들 구성부들을 모여진 물에 의한 손상과 산의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따라서 의료용 스쿠터의 저항증가 또는 단락이나 개회로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5. 상측커버(10’)의 전기실뚜껑(12’)을 들어올리고 전원코드(19)를 당겨서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배터리(20)를 충전기(18)로 용이하게 재충전할 수 있다. 조작자는 의료용 스쿠터의 차체나 배터리(20)를 반복하여 해체하거나재장착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은 짧은 시간과 적은 노력으로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를 해체하고, 재장착하고 재충전할 수 있게 하고 배터리와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 및 배선을 물과 습기로부터 보호하여 안전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단순하고 일체적이며 해체 가능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만을 언급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목적범위내에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임은 자명하다.

Claims (11)

  1. 의료용 스쿠터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의 시트기둥슬리브가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시트의 바닥기둥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슬리브통로, 별도로 배터리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리된 배터리실, 및 상기 배터리실에 수용된 배터리의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각 배터리실의 바닥에 위치하는 전기접점을 구비하는 가동베이스와;
    일단부가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의 양측에 별도로 나사 고정되어 별도로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양극 및 음극전원공급선에 연결되므로 타단부가 정상상태에서 상기 각 배터리실의 바닥에 제공된 상기 전극접점과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전극접점 및 상기 탄성 도전판을 통해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전원공급선에 공급되게 하는 두 개의 탄성 도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베이스는 상기 상호 격리된 배터리실의 바닥의 전극접점이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의 상기 두 개의 탄성도전판에 대하여 분리되거나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기둥슬리브를 따라서 상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의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이 상기 양극전원공급선 및 상기 음극전원공급선에 동시에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는 충전기와 소정길이의 전원코드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실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코드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도록 외부의 교류전원에 연결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3. 제 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진 상측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측커버에는 상기 시트기둥슬리브가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의 상기 바닥기둥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슬리브통로에 대응하는 슬리브통로와,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전기실을 개방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전기실뚜껑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는 양단부에 두 개의 손잡이가 제공되어 상기 가동베이스를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는 양단부에 두 개의 손잡이가 제공되어 상기 가동베이스를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배터리실의 상기 배터리는 서로 직렬로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배터리실의 상기 각 배터리는 그 양극전극 또는 음극전극이 도선을 통하여 상기 동일 배터리실의 상기 전극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도전판의 타단부는 소정의 정도의 탄성압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이 도전판의 타단부에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배터리실의 바닥에서 상기 전극접점과 접촉하는 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도전판의 타단부에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가동베이스의 상기 배터실 바닥의 상기 전극접점과 접촉하는 코일스프링형태의 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스쿠터의 상기 후방부는 상기 탄성 도전판의 아래에 상기 탄성 도전판의 주위에 모인 물을 수집하기 위한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그 속에 모인 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KR2020010030385U 2001-10-05 2001-10-05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KR200262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85U KR200262736Y1 (ko) 2001-10-05 2001-10-05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85U KR200262736Y1 (ko) 2001-10-05 2001-10-05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36Y1 true KR200262736Y1 (ko) 2002-03-18

Family

ID=7306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85U KR200262736Y1 (ko) 2001-10-05 2001-10-05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7B1 (ko) * 2003-01-28 2011-07-25 클럽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의 동력장치용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7B1 (ko) * 2003-01-28 2011-07-25 클럽카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의 동력장치용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616B2 (en) Battery housing for medical scooter
US11724606B2 (en) Battery pack
RU2633630C1 (ru) Пылесос
EP2479069B1 (e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2006286357A (ja)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ケース
US9035487B2 (en) Power controller
WO2018087680A1 (en) Battery pack with two end plates
US10173512B1 (en) Battery mounting device for an electric all terrain vehicle or an electric utility vehicle
JP3676226B2 (ja) 電動の乗り物用の電池パック
US20100224403A1 (en) Power storage apparatus
KR200262736Y1 (ko) 의료용 스쿠터의 배터리하우징
CN108626051B (zh) 锂电池用于启动的发动机
WO2021225204A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용 하우징
JPH08213058A (ja) 充電器
CN218161908U (zh) 一种带有应急电源的电源分配装置
CN111326687A (zh) 一种新能源汽车用电池保护装置
CN214152989U (zh) 动力电池用高压分线装置
CN212257481U (zh) 电池包壳体和动力电池及便携式换电电动车
WO2018087679A1 (en) Battery pack with housing made of two materials
CN212257480U (zh) 电池模块及动力电池包和便携式换电电动车
CN210093104U (zh) 一种电动车用电压转换器
KR20190014927A (ko)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 전원 공급장치
CN217741363U (zh) 便携式智能充放电机
CN107507943B (zh) 一种防爆电动自行车的蓄电池固定装置
CN216819731U (zh) 一种逆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