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51Y1 -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 Google Patents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51Y1
KR200262551Y1 KR2020010034283U KR20010034283U KR200262551Y1 KR 200262551 Y1 KR200262551 Y1 KR 200262551Y1 KR 2020010034283 U KR2020010034283 U KR 2020010034283U KR 20010034283 U KR20010034283 U KR 20010034283U KR 200262551 Y1 KR200262551 Y1 KR 200262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ct
call
pres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삼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5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달성한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와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상기 수화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상태에 따라 압입 또는 복원되어지는 플런저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일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유동하는 플런저 접점과;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압입시 복원력을 보유하여 상기 수화기가 상기 플런저를 압입하지 않을 때에 상기 보유된 복원력으로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접점을 복원시키는 플런저 스커트와; 상기 플런저 접점에 의해 닫혀지는 형성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플런저가 일정 정도까지 압입되어질 때 상기 플런저 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플런저가 복원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접점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개폐시키는 프린트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전화기에서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 등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금형개발 투자 비용 및 양산중 제품의 부품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telephone call on/off using rubber contact}
본 고안은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기에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달성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전화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에 연결된 본체(110), 송수화를 위한 수화기(또는 핸드셋)(120), 본체(110)와 수화기(120)를 연결하는 연결선(13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사용자가 통화하는 때와 통화하지 않는 때를 식별하기 위한 일련의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본체(110)는 사용자가 통화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기상태에 있게 되며 국선을 통해 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통화 온/오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사용한다. 종래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사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2는 수화기 안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상면도이고 (b)는 그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수화기(120)는 본체(110)의 하우징(111)에 안착되어져 통화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수화기 안착시 통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110)에는 하우징(111)을 비롯하여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112), 외압에 의해 눌려지고 외압 제거시 복원되는 플런저(113), 플런저(113)의 작동에 따라 접점 개폐되는 후크 스위치(114), 및 후크 스위치(114)의 접점 개폐에 따라 전원 공급 경로를 절환시켜 통화 온/오프 상태간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프린트기판(115) 등이 포함된다.
통상 수화기(120)가 하우징(111)에 안착되면, 플런저(113)가 눌려지고 이에 연동되는 후크 스위치(114)가 눌려져 통화 오프 상태가 된다.
도3은 수화기 이탈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상면도이고 (b)는 그 측단면도이다.
통상 수화기(120)가 본체(110)의 하우징(111)으로부터 이탈되어지면 통화 온 상태로 전환된다. 즉, 수화기(120)가 하우징(111)으로부터 이탈되면, 플런저(113)에 인가되던 외압이 제거되고 후크 스위치(114)가 복원되어(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됨) 통화 온 상태가 된다.
참고로 수화기(120)의 무게는 150~200gf이고, 플런저(113)의 무게는 15~30gf이며, 후크 스위치(114)의 복원력은 60~90gf 정도이다. 후크 스위치(114)는 플런저(112)의 무게에 의해 눌려지지 않고 수화기(120)의 무게에 의해 눌려질 수 있으므로, 수화기(120)의 안착과 이탈에 따른 후크 스위치(114)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에서는 전화기에 플런저 부품과 후크 스위치 부품이 사용되어 개발 비용의 상승과 양산시 제품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이러한 부품들의 불량으로 인해 조립된 전화기의 불량 가능성이 잠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에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달성한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는, 본체와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상기 수화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상태에 따라 압입 또는 복원되어지는 플런저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일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유동하는 플런저 접점과;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압입시 복원력을 보유하여 상기 수화기가 상기 플런저를 압입하지 않을 때에 상기 보유된 복원력으로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접점을 복원시키는 플런저 스커트와; 상기 플런저 접점에 의해 닫혀지는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플런저가 일정 정도까지 압입되어질 때 상기 플런저 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플런저가 복원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접점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개폐시키는 프린트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구성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사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에서 수화기 안착 상태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사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에서 수화기 이탈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5는 도4에 보인 장치에서 수화기 안착시의 상면도 및 그 측단면도.
도6은 도4에 보인 장치에서 수화기 이탈시의 상면도 및 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1 : 하우징 212 : 베이스
213 : 프린트기판 214 : 러버패드
215 : 플런저 216 : 플런저 접점
217 : 플런저 스커트 220 : 수화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 보인 장치에서 수화기 안착시의 상면도 및 그 측단면도이며, 도6은 도4에 보인 장치에서 수화기 이탈시의 상면도 및 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보통의 전화기 키패드에 사용되는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화기에 있어서 키패드 러버는 버튼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압입되어지면서 복원력을 보유하고, 이러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 그 복원력으로 버튼을 밀어 올린다.
이처럼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전화기 본체의 구조를 변경한다. 도4에 따르면, 전화기 본체는 수화기(220)가 안착되는 하우징(211),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212), 플런저 접점(216)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통화 회로가 프린트된 프린트기판(213), 프린트기판(213)상에 고정 부착되는 러버패드(214), 수화기(220)의 무게에 의해 압입되는 플런저(215),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져 플런저(215)의 하측면에 부착되는 플런저 접점(216), 및 플런저(215)의 압입시 복원력을 보유하는 플런저 스커트(217)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런저 스커트(217)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에 복원력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러버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런저(215)가 상하로 최대 유동하는 범위내에서는 항복점을 갖지 않아야 그 복원력이 보유된다.
러버패드(214), 플런저(215), 및 플런저 스커트(217)는 서로 다른 부재로 구현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모두 동일한 부재를 이용하여 단일 모듈로 구현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수화기(220)의 무게는 150~200gf이고, 플런저(215)의 무게는 5~15gf이며, 플런저(215) 작동력은 90~120gf이고, 플런저(215) 복원력은 60~90gf이고, 플런저 접점(216)의 스트로크 길이는 4~7mm 정도이다.
이어서 수화기(220)의 안착 또는 이탈에 따른 통화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설명한다.
도5에 따르면, 수화기(220)가 하우징(211)에 안착되는 경우, 수화기(220)의 무게에 의해 플런저(215)가 압입된다. 플런저(215)가 눌려지면 그 하측에 부착된 플런저 접점(216)이 프린트기판(213) 쪽으로 이동한다.
플런저 접점(216)이 프린트기판(213)에 접촉되면, 플런저 접점(216)을 통해 통전 경로가 형성되고 프린트기판(213)의 통화 회로는 오프되어져 통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러한 통화 오프 상태는 플런저 스커트(217)의 복원력이 수화기(220)의 무게를 초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화기(22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안정하게 유지된다.
통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플런저(215)의 압입시 플런저 스커트(217)가 변형되어진다. 플런저 스커트(217)는 외력에 의한 변형시 복원력을 보유한다. 따라서 통화 오프 상태에서 플런저 스커트(217)는 복원력을 보유한 상태를 유지한다.
전화기는 통화 오프 상태에서 대기한다. 사용자는 국선을 통해 링 신호가 도달되거나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화기(220)를 들게 되는데, 이때에는 통화 온 상태로 전환된다.
통화 오프 상태에서 통화 온 상태로의 전환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기(220)를 하우징(211)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수화기(220)가 이탈된 상태에서는 플런저(215)에 더 이상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플런저 스커트(211)의 복원력이 작용한다.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스커트(211)의 복원력은 플런저(215)의 무게를 극복할 수 있으므로, 플런저 스커트(211)가 고정된 러버패드(214)를 기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복원력을 작용시킨다.
플런저 스커트(211)의 복원력은 플런저(215)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플런저(215)에 부착된 플런저 접점(216)이 상방 이동되면서 프린트기판(213)과의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프린트기판(213)과 플런저 접점(216)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통화 온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수화기의 안착 및 이탈에 따른 통화 온/오프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를 이용한 구성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되어진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에 따르면, 키패드 러버를 이용하여 통화 온/오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전화기에서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 등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의 성형시 요구되던 금형개발 투자 비용 및 양산중 제품의 부품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플런저와 후크 스위치의 자체 불량으로 인해 완성된 전화기의 불량이 발생되던 종래와는 달리, 유연한 키패드 러버를 사용하여 통화 온/오프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완성된 전화기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와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상기 수화기가 상기 본체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상태에 따라 압입 또는 복원되어지는 플런저와;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일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유동하는 플런저 접점과;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의 압입시 복원력을 보유하여 상기 수화기가 상기 플런저를 압입하지 않을 때에 상기 보유된 복원력으로 상기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접점을 복원시키는 플런저 스커트와;
    상기 플런저 접점에 의해 닫혀지는 전원 공급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플런저가 일정 정도까지 압입되어질 때 상기 플런저 접점에 접촉되고 상기 플런저가 복원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플런저 접점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경로를 개폐시키는 프린트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KR2020010034283U 2001-11-08 2001-11-08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KR200262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3U KR200262551Y1 (ko) 2001-11-08 2001-11-08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3U KR200262551Y1 (ko) 2001-11-08 2001-11-08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51Y1 true KR200262551Y1 (ko) 2002-03-18

Family

ID=7311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83U KR200262551Y1 (ko) 2001-11-08 2001-11-08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55Y1 (ko) 2007-12-28 2011-07-22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분리형 훅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55Y1 (ko) 2007-12-28 2011-07-22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분리형 훅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615B1 (en) Coaxial connector with RF switch
FI85072C (fi) Kopplingsanordning.
KR100322854B1 (ko) 이어 마이크 폰
KR200262551Y1 (ko) 러버 접점을 이용한 전화기의 통화 온/오프 장치
US6738475B1 (en)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262772A (zh) 电话开关机构
US6630639B2 (en) Port switch as for a hearing aid device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US4882461A (en) Subminiature push-button switch
KR200283779Y1 (ko) 휴대폰의 돔 스위치
KR200168332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플립스위치 구조
JPH1141334A (ja) Keyボタンのモジュール構造
KR200224809Y1 (ko) 이동전화 단말기
KR20016541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CN107248459A (zh) 一种汽车控制开关主体装置
KR100617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KR200149890Y1 (ko)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KR20022482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 스위치
EP1343183A3 (en) Circuit breaker
TW200506991A (en) Switch device
KR200166418Y1 (ko) 다이얼링이 가능한 스티커
KR200312157Y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0698448B1 (ko)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
CA2364935A1 (en) Switch assembly incorporating deflectable spring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