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90Y1 -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 Google Patents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890Y1
KR200149890Y1 KR2019970004813U KR19970004813U KR200149890Y1 KR 200149890 Y1 KR200149890 Y1 KR 200149890Y1 KR 2019970004813 U KR2019970004813 U KR 2019970004813U KR 19970004813 U KR19970004813 U KR 19970004813U KR 200149890 Y1 KR200149890 Y1 KR 200149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flanger
keypad
contac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703U (ko
Inventor
김철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04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7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7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가동되는 플랜저(38)와, 이 플랜저(38)에 상/하로 연동되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의 접점을 개폐시키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재질의 접점부재(52)와, 이 접점부재(52)에 일체로 형성된 키패드 러버버튼(54)과, 이 키패드 러버버튼(54)이 접촉되는 기능버튼(44)에 일체로 성형되어 일측이 플랜저(38)와 접점부재(52) 사이에 형성되는 박판형 리브(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점부재(52)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1차동작부(52a)와 2차동작부(52b)로 이루어져 실제동작구간(A)과 여유동작구간(B)이 순차적으로 이중 동작가능하며, 중앙 저면에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에 접속되어 접점을 개폐시키는 도체판(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플랜저와 연동되도록 하여 필요한 동작구간의 내부공간을 축소하여 경박단소한 제품디자인의 요구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본 고안은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기에 구비되는 기계적 훅크 스위치를 배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를 키패드 러버버튼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점부재를 플랜저와 연동되도록 하여 필요한 동작구간의 내부공간을 축소하여 경박단소한 제품디자인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한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기(2)는 베이스(4)의 상부측에 고정된 하우징(6)으로부터 수화기(8)를 들면 전화기(2)의 하우징(6) 내부에 형성된 훅크스위치(10)에 구비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탄발력에 의해 훅크스위치(10)가 하향 이동되어 하우징(6) 외부로 소정량 돌출된 플랜저(12)의 선단부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랜저(12)는 하우징(6)의 내부에서 힌지핀(14)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며, 상기 플랜저(12)의 작용에 의해 연동되어 훅크스위치(10)의 일측이 메인 인쇄회로기판(16)의 접점을 단속하여 전화기가 온(ON)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6)의 상부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18)에 상향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기능버튼(20)을 누르면 키패드 러버버튼(22)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24)에 접점되어 전화기(2)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크스위치(10)는 고정부재(26)의 내부에 일측이 힌지(도시되지 않음)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26)의 일측 양단부에는 클립부(28)가 형성되어 메인 인쇄회로기판(16)에 형성된 삽입홀(30)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클립부(28)의 중앙에는 소정량 이격되어 메인 인쇄회로기판(16)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훅크스위치(10)는 전화기(2)의 하우징(6)의 외부로 돌출된 플랜저(12)의 상/하 변위량을 플랜저(12)의 힌지핀(14)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메인 인쇄회로기판(16)상에 실장된 훅크스위치(1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훅크스위치(10) 자체가 유효동작구간(A)을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여유동작구간(B)을 가지고 있는바, 외부로 돌출된 플랜저(12)를 확실하게 동작시킬때에만 온/오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이는 상기 플랜저(12)를 통화중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누르거나 전화기(2)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플랜저(12)의 미세한 동작상태에서는 전화기(2)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2)의 온/오프동작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유효동작구간(A)과 여유동작구간(B)을 가지고 있는 훅크스위치(10)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전화기(2)의 디자인이 경박단소한 근래에는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디자인의 요구를 선별하여 제품설계에 수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기에 구비되는 기계적 훅크 스위치를 배제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접점부재에 키패드 러버버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접점부재를 플랜저와 연동되도록 하여 필요한 동작구간의 내부공간을 축소하여 경박단소화한 제품디자인의 요구도 수용하도록 한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가동되는 플랜저와, 이 플랜저의 상/하작동에 연동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이중동작 가능한 접점부재와, 이 접점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키패드 러버버튼과, 이 키패드 러버버튼이 접촉되는 기능버튼에 일체로 성형되어 일측이 플랜저와 접점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박판형 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점부재는 플랜저와 연동되며 실제동작구간과 여유동작구간으로 순차적으로 동작되며, 그 중앙 저면에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접점을 개폐시키는 도체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계식 훅크스위치의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의 확대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2 : 전화기 받침대 34 : 송수화기
38 : 플랜저 40 : 비틀림스프링
44 : 기능버튼 46 : 박판형 리브
48 : 키패드 인쇄회로기판 50 : 도체판
52 : 접점부재 52a : 1차동작부
52b : 2차동작부 54 : 키패드 러버버튼
A : 실제동작구간 B : 유효동작구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의 확대 동작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 받침대(32)로부터 분리되는 송수화기(34)의 구비되는 힌지핀(36)에 회동가능하게 비틀림스프링(40)이 고정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40)의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2)가 구비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40)의 타측이 고정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하 회동가능한 플랜저(38)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저(38)의 일측에 소정량 돌출 형성된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기능버튼(44)과 일체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박판형 리브(46)가 구비되고, 상기 박판형 리브(46)의 타측에는 상기 비틀림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해 플랜저(38)의 상/하작동에 연동되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의 접점을 개폐시키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고무재질의 접점부재(52)가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재(52)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1차동작부(52a)와 2차동작부(52b)로 이루어져 첨부된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동작구간(A)과 여유동작구간(B)으로 순차적으로 이중 동작되며, 중앙측 저면에는 상기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에 접속되어 접점을 개폐시키는 도체판(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능버튼(44)의 하부측에는 상기 접점부재(52)와 일체로 형성된 키패드 러버버튼(5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화기(34)를 전화기 받침대(32)로부터 들거나 내려 놓음에 따라 송수화기(34)의 외부로 소정량 돌출된 플랜저(38)의 상/하작동에 따라 접점부재(52)의 일측에 형성된 도체판(50)이 키패드 회로기판상(48)에 형성된 접점에 접속되어 전화기(60)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전화기 받침대(32)로부터 송수화기(34)를 분리하게 되면 플랜저(38)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42)에 고정된 비틀림스프링(40)의 탄발력을 제공받아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플랜저(38)가 하향 회동되고, 이에 따라 플랜저(38)의 선단부가 박판형 리브(46)를 누르게 되고, 상기 박판형 리브(46)는 최초 동작 대기상태의 접점부재(52)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접점부재(52)의 1차동작부(52a)가 실제동작구간(A)만큼 소정량 하향 이동되면서 내측에 구비된 도체판(50)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의 접점에 접속하게 되고, 이어서 접점부재(52)의 2차동작부(52b)가 동작되면서 여유동작구간(B)만큼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접점부재(52) 내측의 도체판(50)과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6)상의 접점과의 접속상태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주게 되어 안정된 접속상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통화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통화후, 전화기 받침대(32)에 송수화기(34)를 안치시키면 플랜저(38)가 하부의 전화기 받침대(32)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부측에서는 송수화기(34)의 하중에 의해 플랜저(38)가 송수화기(34)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힌지핀(36)을 중심으로 플랜저(38)의 선단부가 회동되어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52)에 외력이 없어져 상기 접점부재(52)의 자체 탄성력으로 2차동작부(52b)가 복원되며, 이어서 1차동작부(52a)가 복원되어 접점부재(52) 내측에 구비된 도체판(50)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6)의 접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은 기계식 훅크스위치를 배제하고,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에 키패드 러버버튼을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러버버튼을 플랜저와 연동되도록 하여 필요한 동작구간의 내부공간을 축소하여 경박단소한 제품디자인의 요구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가동되는 플랜저(38)와, 이 플랜저(38)에 상/하로 연동되어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의 접점을 개폐시키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재질의 접점부재(52)와, 이 접점부재(52)에 일체로 형성된 키패드 러버버튼(54)과, 이 키패드 러버버튼(54)이 접촉되는 기능버튼(44)에 일체로 성형되어 일측이 플랜저(38)와 접점부재(52) 사이에 형성되는 박판형 리브(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재(52)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1차동작부(52a)와 2차동작부(52b)로 이루어져 상기 플랜저(38)와 연동되어 실제동작구간(A)과 여유동작구간(B)으로 순차적으로 이중 동작가능하며, 중앙 저면에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48)에 접속되어 접점을 개폐시키는 도체판(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KR2019970004813U 1997-03-14 1997-03-14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KR200149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813U KR200149890Y1 (ko) 1997-03-14 1997-03-14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813U KR200149890Y1 (ko) 1997-03-14 1997-03-14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703U KR19980060703U (ko) 1998-11-05
KR200149890Y1 true KR200149890Y1 (ko) 1999-06-15

Family

ID=1949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813U KR200149890Y1 (ko) 1997-03-14 1997-03-14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703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235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힌지장치
KR200149890Y1 (ko) 이중 동작가능한 접점부재가 구비된 전화기
KR2006003143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6513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KR100276497B1 (ko) 모듈화된 키패널과 그것이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KR10033864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400099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구조
KR20022482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 스위치
KR100681680B1 (ko) 휴대폰의 플립스위치
KR20028010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장치
KR200174756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KR19990060370A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 장치
KR10051800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JP2000332427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200346612Y1 (ko)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10103976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68332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플립스위치 구조
KR200181620Y1 (ko) 플립형 단말기의 플립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00153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전원제어장치
KR200191435Y1 (ko)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KR20040078205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치장치
KR2004007915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232947Y1 (ko) 벨로우즈 버튼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