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756Y1 -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756Y1
KR200174756Y1 KR2019990020293U KR19990020293U KR200174756Y1 KR 200174756 Y1 KR200174756 Y1 KR 200174756Y1 KR 2019990020293 U KR2019990020293 U KR 2019990020293U KR 19990020293 U KR19990020293 U KR 19990020293U KR 200174756 Y1 KR200174756 Y1 KR 200174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keypad
board
f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키(125)가 구비된 키 패드(130)와, 이 키 패드(130)의 키(125)에 대응하는 단자를 갖추고 있는 키패드보드(120)를 내장시키고 있는 몸체(135)와, 상기 몸체(135)에 그 일단이 힌지연결부(150)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55)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100)의 스위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5)의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되는 돌기(160)와; 상기 돌기(160)의 접촉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편(175)이 하우징(180)내에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누름편(175)의 상.하이동시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통전가능한 판스프링(185)이 구비되어 이동전화단말기(100)가 온/오프되도록 상기 몸체(135)의 키패드보드(120) 상면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덮개부 또는 플립에 돌설된 돌기가 상기 덮개부 또는 플립의 개폐에 따라 돌기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또는 키패드보드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스위치를 갖춤으로써 종래의 자석을 이용한 리드스위치에 비해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돌기스위치에서의 돌기와 키의 접촉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Switch Structure Of Mobile Telephone}
본 고안은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의 개폐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접속 또는 이탈되어 이동전화단말기를 통화 가능상태로 설정 또는 해제시키게 되는 스위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스위치 접점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스위치 제작에 따른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일예로, 원거리에서 상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대화를 주고 받도록 하는 전화기가 대량 보급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어느곳에서나 통화할 수 있는 이동전화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이동전화단말기에는 기본형, 플립형 및 폴더형 등이 있으며, 이중 플립형과 폴더형에는 플립 및 덮개부의 개방시 단말기를 통화가능한 상태로 설정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 바, 이러한 스위치로서는 자석을 이용한 리드스위치와,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접점되는 키패드를 직접 누르도록 돌기가 갖추 어진 돌기스위치가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상기 스위치중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리드스위치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위치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10)는 상,하단에 각각 수신부 및 송신부(11,12)가 갖추어지고, 상기 수신부(11)의 하단으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화면(13)이 구비되며, 상기 LCD화면(13)의 하단으로 복수개의 홀(14)을 갖는 전면케이스(15)와, 상기 전면케이스(15)와 결합되며, 그 일면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면케이스(17)와, 상기 전,후면케이스(15,17)에 내장되며, 그 일면에는 복수개의 단자를 갖는 인쇄회로기판(18)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8)의 각 단자와 접지되는 복수개의 키(19)를 갖는 러버재질로 이루어진 키 패드(20)와, 상기 전면케이스(17) 하단부에 갖추어진 송신부(12)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플립(2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립(21)의 내측면에는 양면테이프(22)에 의해 그 일측면이 플립(21)에 부착되며, 타측면에는 필름(2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된 자석(24)이 구비되며, 상기 전,후케이스(15,17)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18)의 상면에는 상기 플립(21)에 구비된 자석(2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8)의 단자와 접촉 또는 이탈되어 상기 이동전화단말기(10)가 통화가능(ON) 또는 불가능(OFF)하게 하는 리드스위치(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리드스위치(25)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10)의 플립(21)을 사용자가 개방하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플립(21)이 덮혀진 상태로써 인쇄회로기판(18)상에 단자와 리드스위치(25)가 이탈된 상태로 오프(OFF)된 상태인 통화불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플립(21)을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플립(21)이 일정 각도 이상 즉, 플립(21)에 구비된 자석(24)의 자력이 리드스위치(25)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18)의 단자와 이탈되어 있는 리드스위치(25)가 단자와 접촉되어 온(ON)된 상태 즉, 통화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후 사용자가 소망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리드스위치가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에 구비된 경우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송신부(27)와 복수개의 홀(28)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배터리(29)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보드(30)와, 이 키패드보드(30)와 접속되며 상면에는 상기 홀(28)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키(31)가 돌설된 러버재질의 키 패드(32)가 내장된 몸체(33)와, 수신부(34) 및 LCD화면(35)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33)에 힌지연결부(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덮개부(37)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26)의 덮개부(37) 하단측 즉, 몸체(33)와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힌지연결부(36)에 도 1,2에도시된 플립(21)에 구비된 자석(24)과 동일하게 양면테이프(38)에 부착되고 필름(39)에 의해 외부노출이 막음된 자석(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33)에 내장된 키패드보드(30)의 상면에는 덮개부(37)에 구 비된 자석(40)에 의해 키패드보드(30)의 단자와 접지 또는 이탈되어 상기 이동전화단말기(26)가 통화가능(ON) 또는 불가능(OFF)하게 하는 리드스위치(4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리드스위치(41)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26)는 첨부된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7)가 몸체(33)에 덮혀진 상태로써 키패드보드(30)상에 구비된 리드스위치(41)가 오프(OFF)되어 통화불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덮개부(37)를 회동시키면 상기 덮개부(37)는 힌지연결부(36)를 축으로 회동되어 개방되게 된다. 이후, 상기 덮개부(37)가 일정 각도 이상이 되면 즉, 자석(40)의 자력이 리드스위치(41)에 미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키패드보드(30)상에 구비된 리드스위치(41)가 키패드보드의 단자와 접촉되어 온(ON)된 상태로 통화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후 사용자가 소망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리드스위치는 유리재로 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속에 통전가능한 판이 내장되어 있어서, 자석의 자력이 미치지 않게 되면 단자와 접촉하여 통화가능한 상태가 되고, 자석을 가까이 근접시키면 단자로부터 이탈되어 통화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및 폴더형의 이동전화단말기에 구비된 리드스위치는 이를 동작시켜 이동전화단말기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자석과, 이 자석을 플립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 및 필름을 구비하 게 되므로 그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상기 리드스위치는 자석에 부착가능한 판이 깨어지기 쉬운 유리로된 하우징속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충격발생시 리드스위치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은 또 다른 스위치 구조로서,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돌기스위치를 갖는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돌기스위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이동전화단말기와 동일한 것으로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고 스위치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1a)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돌기(42)가 전면케이스(15a)의 홀(43)에 노출되어 있는 키 패드(20a)의 스위치 키(44)를 누름시켜 상기 키 패드(20a)의 스위치 키(44)가 인쇄회로기판(18a)의 단자에 접촉되어 이동전화단말기(10a)가 통화가 불가능한 오프(OFF) 상태에서 플립(21a)을 사용자가 개방하게 되면, 전면케이스(15a)의 홀(43)을 통해 키 패드(20a)의 스위치 키(44)를 누름시키고 있는 돌기(42)가 플립(21a)의 개방으로 인해 누름을 해제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키 패드(20a)의 스위치 키(44)가 인쇄회로기판(18a)의 단자로부터 이탈됨으로 인하여 이동전화단말기(10a)가 온(ON)되어 통화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플립에 구비된 돌기가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키 패드 의 스위치 키와 접촉 또는 이탈되어 이동전화단말기가 온 또는 오프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의 누름위치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 돌기와 스위치 키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덮개부에 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이들의 개폐에 따라 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갖춤으로써 제조원가의 상승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접촉불량률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키가 구비된 키 패드와, 이 키 패드의 키에 대응하는 단자를 갖추고 있는 키패드보드를 내장시키고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그 일단이 힌지연결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힌지연결부에 돌설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접촉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편이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누름편의 상.하이동시 키패드보드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통전가능한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전화단말기가 온/오프되도록 상기 몸체의 키패드보드 상면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플립에 돌설되며, 상기 스위치는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덮개부가 몸체로부터 30°각도 이상으로 회동될 때, 판스프링이 키패드보드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스위치를 갖는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드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드스위치를 갖는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리드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돌기스위치를 갖는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돌기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로서 덮개부가 3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105 : 송신부
110,165,220 : 홀 115 : 배터리
120 : 키패드보드 125 : 키
130 : 키패드 135 : 몸체
140 : 수신부 145 : LCD화면
150 : 힌지연결부 155 : 덮개부
160,210 : 돌기 170,170a : 스위치
175.175a : 누름편 180,180a : 하우징
185,185a : 판스프링 190,190a : 절취편
200 :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 205 : 플립
215 : 전면케이스 225 : 인쇄회로기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로서 덮개부가 30도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는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송신부(105)와 복수개의 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배터리(115)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보드(120)와, 이 키패드보드(120)와 접속되며 상면에는 상기 홀(1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키(125)가 돌설된 러버재질의 키 패드(130)가 내장된 몸체(135)와, 수신부(140) 및 LCD화면(145)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35)에 힌지연결부(1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덮개부(155)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100)의 덮개(155)부 하단측 즉, 상기 몸체(135)와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힌지연결부(150)에 소정량 돌출된 돌기(160)가 돌설되며, 상기 돌기(160)에 그 일단이 접촉 또는 이탈됨에 따라 이동전화단말기(100)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몸체(135)에는 홀(165)을 통하여 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키패드보드(120) 상면에 납땜고정되는 스위치(1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된 돌기(160)의 접촉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하게 누름편(175)이 하우징(180)내에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누름편(175)의 상.하이동시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통전가능한 판스프링(185)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185)의 일단은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에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며, 그 중간부위는 상향 구부려져 구비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175)에 대응되게 즉, 상기 누름편(175)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 판스프링(185)의 자유단이 키패드보드(120)의 단자로부터 이탈되어 통화불가능한 상태로 되고, 상기 누름편(175)이 상향 이동하게 되면 판스프링(185)의 자유단이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와 접촉하여 통화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판스프링(185)의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누름편(175)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절취편(19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155)에 돌설된 돌기(160)는 상기 몸체(135)로부터 덮개부(155)가 회동되어 스위치(170)와 접촉하고 있는 돌기(160)가 이탈되어 통하 가능한 상태 즉, 온(ON)된 상태에서의 상기 덮개부(155)의 개방 각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각도를 갖도록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덮개부(155)의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된 돌기(160)가 몸체(135)의 홀(165)을 통하여 돌출된 스위치(170)의 누름편(175)을 누름시켜 하우징(180)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스프링(185)의 자유단을 키패드보드(120)로부터 이탈시켜 통화불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55)를 몸체(135)로부터 회동시켜 상기 덮개부(155)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 8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70)의 누름편(175)이 덮개부(155)의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된 돌기(160)의 누름으로부터 해제됨으로써 하우징(180)내에 내장된 판스프링(185)의 절취편(190)에 그 일단이 걸림되어 있는 누름편(175)이 판스프링(185)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 이동함과 동시에 중간부의 휨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판스프링(185)의 자유단이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와 접촉하게되어 통화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소망하는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를 하면 된다.
한편, 상기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된 돌기(160)는 상기 덮개부(155)가 대략 30°각도로 개방될 때 이동전화단말기(100)가 온되도록 돌설시킴으로써 착신된 이동전화단말기(100)를 사용자가 실수로 덮개부(155)를 2단 개방 즉, 상기 덮개부(155)를 개방시키는 도중에 덮개부(155)가 덮혀졌다 다시 개방시킬 때 발생되는 통화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200)는 플립(205)의 내측면에 돌기(210)가 돌출형성되고, 전면케이스(215)에는 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홀(220) 내측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25)의 상면에 납땜고정된 스위치(170a)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170a)는 상.하이동가능하게 누름편(175a)이 하우징(180a)내에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누름편(175a)의 상.하이동시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어 이동전화단말기(200)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통전가능한 판스프링(185a)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185a)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에 납땜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비되며, 그 중간부위는 상향 구부려져 구비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175a)에 대응되게 즉, 상기 누름편(175a)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 판스프링(185a)의 자유단이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로부터 이탈되어 통화불가능한 상태로 되고, 상기 누름편(175a)이 상향 이동하게 되면 판스프링(185a)의 자유단이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와 접촉하여 통화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판스프링(185a)의 일부가 절취되어 상기 누름편(175a)에 그 일단이 연결된 절취편(19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가 구비된 플립형 이동전화단말기의 플립이 닫혀 있는 상태에는 통화불가능한 상태로써, 첨부된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205)에 돌설된 돌기(210)가 전면케이스(215)의 홀(220)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25)이 상면에 납땜고정된 스위치(170a)의 누름편(175a)을 누름시켜, 상기 누름편(175a)에 절취편(190a)이 연결된 판스프링(185a)의 자유단이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로부터 이탈되어 통화불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플립(205)을 회동시켜 개방시키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70a)의 누름편(175a)을 전면케이스(215)의 홀(220)을 통하여 누름시키고 있는 돌기(210)가 해제됨으로써 하우징(180a)내에 내장된 판스프링(185a)의 절취편(190a)에 그 일단이 걸림되어 있는 누름편(175a)이 판스프링(185a)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 이동함과 동시에 중간부의 휨력이 복원되면서 자유단이 인쇄회로기판(225)의 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통화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소망하는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를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플립의 돌기가 전면케이스의 홀에 삽입되기만 하면 통화불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홀로부터 상기 돌기가 빠져나오면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통화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의 접촉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과 같이 덮개부 또는 플립에 돌설된 돌기가 상기 덮개부 또는 플립의 개폐에 따라 돌기 인쇄회로기판의 단자 또는 키패드보드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스위치를 갖춤으로써 종래의 자석을 이용한 리드스위치에 비해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돌기스위치에서의 돌기와 키의 접촉불량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복수개의 키(125)가 구비된 키 패드(130)와, 이 키 패드(130)의 키(125)에 대응하는 단자를 갖추고 있는 키패드보드(120)를 내장시키고 있는 몸체(135)와, 상기 몸체(135)에 그 일단이 힌지연결부(150)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155)로 이루어진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100)의 스위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55)의 힌지연결부(150)에 돌설되는 돌기(160)와;
    상기 돌기(160)의 접촉에 대응되게 상.하이동가능한 누름편(175)이 하우징(180)내에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누름편(175)의 상.하이동시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통전가능한 판스프링(185)이 구비되어 이동전화단말기(100)가 온/오프되도록 상기 몸체(135)의 키패드보드(120) 상면에 구비되는 스위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10)는 플립(205)에 돌설되며, 상기 스위치(170a)는 전면케이스(215)에 형성된 홀(220)을 통하여 그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225)에 납땜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 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60)는 덮개부(155)가 몸체(135)로부터 30°각도 이상으로 회동될 때, 판스프링(185) 키패드보드(120)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KR2019990020293U 1999-09-20 1999-09-20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KR200174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93U KR200174756Y1 (ko) 1999-09-20 1999-09-20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93U KR200174756Y1 (ko) 1999-09-20 1999-09-20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756Y1 true KR200174756Y1 (ko) 2000-03-15

Family

ID=1958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93U KR200174756Y1 (ko) 1999-09-20 1999-09-20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7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618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US6148183A (en) Switch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US6125289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opposing flip covers
WO1998049814A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JP3448547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174756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스위치 구조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40078205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치장치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100325246B1 (ko)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KR200168332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 플립스위치 구조
KR100315549B1 (ko) 폴더형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전원 스위칭 장치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843557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276811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689434B1 (ko) 폴더형 무선 단말기
KR100678211B1 (ko) 플립 타입 휴대폰
KR20018457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플립 커버 개폐에 따른 모드 변환장치
KR100681680B1 (ko) 휴대폰의 플립스위치
KR100547759B1 (ko) 화상통신용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