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00Y1 -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00Y1
KR200262500Y1 KR2020010031062U KR20010031062U KR200262500Y1 KR 200262500 Y1 KR200262500 Y1 KR 200262500Y1 KR 2020010031062 U KR2020010031062 U KR 2020010031062U KR 20010031062 U KR20010031062 U KR 20010031062U KR 200262500 Y1 KR200262500 Y1 KR 200262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extrapolated
sleeve
fastening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메드 칼도운
Original Assignee
모하메드 칼도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하메드 칼도운 filed Critical 모하메드 칼도운
Priority to KR2020010031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00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관, 수영장, 쇼핑센터, 역사 등의 천정구조물을 조립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시스템(Space Frame System)의 핵심부품인 노드에 파이프를 견고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스페이스 프레임용 카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두부와 체결부로 구성된 볼트와, 상기 체결부에 외삽되어 파이프를 용접 고정하는 캡 및 상기 체결부에 외삽되어 볼트를 회전시켜 노브에 체결하는 슬리브로 구성된 통상의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일측단부에 나선부와 내측에 육각형상의 다면체부로 성형되고 이에 외삽되는 슬리브의 내주면이 상기 다면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삽입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볼트의 강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로 인한 체결이 용이하여 시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Coupling for space frame system}
본 고안은 전시관, 수영장, 쇼핑센터, 역사 등의 천정구조물을 조립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시스템(Space Frame System)의 핵심부품인 노드에 파이프를 견고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볼트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을 육각형상의 다면체로 성형하여 볼트의 강도를 향상함과 동시에 시공이 용이토록 한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스 프레임 시스템은 하나의 노드(node)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일정한 구조물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노드에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노드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커플링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부(1)와 단부에 나선부(2a)와 일정부위에 수직선상으로 통공(2b)이 형성된 체결부(2)로 구성된 볼트(3)와, 상기 체결부(2)에 외삽되어 파이프(20)의 일측단부를 용접 고정하는 캡(5)과, 상기 체결부(2)에 외삽되어 핀(P)에 의해서 볼트(3)와 일체로 결합되는 슬리브(7)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볼트(3)를 구성하는 체결부(2)의 외형이 원통형이고 또 일정부위에 핀(P)을 삽입하기 위하여 수직선상으로 형성된 통공(2b)에 의하여 그만큼 볼트(3)의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에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노브(30)에 파이프(2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볼트(3)를 구성하는 체결부(2)에 외삽되는 슬리브(7)를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단부의 나선부(2a)를 노드(30)에 형성된 체결공(30a)에 결합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이때 체결부(2)의 외주연과 슬리브(7)의 내주연이 원통형상을 이루고있어 시공에 많은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볼트의 강도를 향상함과 동시에 시공이 간편한 구조를 갖는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두부와 체결부로 구성된 볼트와, 상기 체결부에 외삽되어 파이프를 용접 고정하는 캡 및 상기 체결부에 외삽되어 볼트를 회전시켜 노브에 체결하는 슬리브로 구성된 통상의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일측단부에 나선부와 내측에 육각형상의 다면체부로 성형되고 이에 외삽되는 슬리브의 내주면이 상기 다면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삽입공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용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두부 2a…나선부 2…체결부 2a…나선부
2c…다면체부 3…볼트 5…캡 5a...돌기
7…슬리부 7a…삽입공 20…파이프 30…노드
30a…체결공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용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표면에 다수개의 체결공(30a)이 형성된 구체의 노브(30)에 다수개의 파이프(20)를 연결하여 일정형태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브(30)와 파이프(20)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두부(1)와 체결부(2)가 일체가 성형된 볼트(3)와, 상기 볼트(3)의 체결부(3)에 순차적으로 외삽되는 캡(5)과 슬리브(7)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볼트(3)를 구성하는 체결부(2)의 외측단부에는 노브(30)에 형성된 체결공(30a)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선부(2a)와 내측에 후술하는 슬리브(7)가 정합되도록 육각형상의 다면체부(2c)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다면체부(2c)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상 뿐만이 아니라 4각, 8각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다면체로 성형함으로써 슬리브(7)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체결부(2)에 외삽되는 캡(5)은 상광하협 형상으로서 외측에는 파이프(20)의 일측단부를 삽입하여 용접하기 위한 돌기(5a)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부(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통공(5b)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이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에 외삽되는 슬리브(7)의 구성은 내주면은 체결부(2)에 형성된 다면체부(2c)의 형상과 동일한 육각형상의 삽입공(7a)이 형성되고 외주연은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내주연과 마찬가지로 육각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볼트(3)를 구성하는 체결부(2)에 캡(5)과 슬리브(7)를 결합한 후 상기 캡(5)의 외측에 파이프(20)의 일측단부를 삽입하여 용접한 후 체결부(2)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나선부(2a)를 이용하여 노브(30)에 형성된 체결공(30a)에 가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슬리브(7)를 회전하게 되면 슬리브(7)의 내주면과 체결부(2)의 외주면에 육각형상의 다면체부(2c)에 의해 그만큼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이의 체결이나 분리가 용이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플링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외주연과 슬리브의 내주연에 동형상을 이루는 다면체의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볼트의 강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로 인한 체결이 용이하여 시공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두부(1)와 체결부(2)로 구성된 볼트(3)와, 상기 체결부(1)에 외삽되어 파이프(20)를 용접 고정하는 캡(5) 및 상기 체결부(1)에 외삽되어 볼트(3)를 회전시켜 노브(30)에 체결하는 슬리브(7)로 구성된 통상의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볼트(3)는 일측단부에 나선부(2a)와 내측에 육각형상의 다면체부(2c)로 성형되고 이에 외삽되는 슬리브(7)의 내주면이 상기 다면체부(7c)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삽입공(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KR2020010031062U 2001-10-11 2001-10-11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KR200262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062U KR200262500Y1 (ko) 2001-10-11 2001-10-11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062U KR200262500Y1 (ko) 2001-10-11 2001-10-11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00Y1 true KR200262500Y1 (ko) 2002-03-18

Family

ID=7311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062U KR200262500Y1 (ko) 2001-10-11 2001-10-11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78B1 (ko) 2009-03-31 2010-06-22 윤이식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WO2014088171A1 (ko) * 2012-12-03 2014-06-12 Yun Isik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KR101507385B1 (ko) * 2014-07-07 2015-04-01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자중 감소를 위한 어댑터 연결구조를 가지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2087003B1 (ko) * 2020-01-15 2020-03-10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완전 고정형 싱글레이어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278B1 (ko) 2009-03-31 2010-06-22 윤이식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WO2014088171A1 (ko) * 2012-12-03 2014-06-12 Yun Isik 조립식 프레임 구성물
KR101507385B1 (ko) * 2014-07-07 2015-04-01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자중 감소를 위한 어댑터 연결구조를 가지는 스페이스 프레임
KR102087003B1 (ko) * 2020-01-15 2020-03-10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완전 고정형 싱글레이어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845B2 (en) Double tang design articulating hub assembly
US6530682B2 (en) Structure multi-cut type lamp pipe connector componentry
KR200262500Y1 (ko) 스페이스 프레임용 커플링
GB2185798A (en) Composite tubular structures
KR200418381Y1 (ko) 조립식 안전펜스
JP2008185173A (ja) パイプ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構造体
US4023913A (en) Convertible tube connecting system
US4591286A (en) Spacial structure
JP3865069B2 (ja) 組立式構造物用コネクタ
US4669909A (en) Spacial structure
KR101147999B1 (ko) 입체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스 트러스
JP2857065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CN218030970U (zh) 一种三通管连接构件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KR200285492Y1 (ko) 다목적 조인트볼 구조
JP3103189U (ja) 管体の端部に結合し得る部材
KR200302428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티링크
JPH1018654A (ja) 擬木柵および取付金具
JP4363945B2 (ja) 柱脚金物
JPH085216Y2 (ja) Pc鋼棒連結用カプラー
JP3054463U (ja) 継手補助具及びこれを使用して組み立てた立体構造物
JP2001254510A (ja) 壁つなぎ
KR200358692Y1 (ko) 에어 드라이버
KR200304798Y1 (ko) 골조연결구
EP0151845A1 (en) Spacia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