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442Y1 -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 Google Patents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442Y1
KR200262442Y1 KR2020010025561U KR20010025561U KR200262442Y1 KR 200262442 Y1 KR200262442 Y1 KR 200262442Y1 KR 2020010025561 U KR2020010025561 U KR 2020010025561U KR 20010025561 U KR20010025561 U KR 20010025561U KR 200262442 Y1 KR200262442 Y1 KR 200262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nsert
contents
hollow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식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2020010025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442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단부가 머리빗(1)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손잡이(2)와 나사결합되며 중공(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인서트(10)와, 이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리들(20)과, 상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내주면에 배치되어 록크핀(50)에 의해 상기 리들(20)과 연결 회전되는 슬라이드너트(30) 및 상기 인서트(10)의 중공(11)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외주면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드너트(30)와 나사결합되어 리들(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서 인서트(10)의 상단 분사구(13)를 개폐시키는 노즐(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리들(20)의 회전조작에 따른 노즐(40)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인서트(10)의 분사구(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분사 조작이 간편하고 내용물의 유입 및 굳음에 의한 조작상의 결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Contents injecting apparatus of hair setting machine}
본 고안은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들의 회전작동에 따른 노즐의 상호작용에 의해 용기내의 내용물이 빗살로 분출되도록 하는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스, 스프레이 또는 젤 등은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직접 손이나 머리에 분출시키고 나서 다시 빗 등을 이용하여 머리손질을 하기 때문에 머리손질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또한 손을 사용할 경우 머리손질 후 손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닦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가압버튼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머리빗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내용물 분출장치를 제안하였었다. 그러나 상기 가압버튼을 이용한 내용물 분출장치는 내용물이 분출되는 과정에서 가압버튼으로 스며들어 굳어버리고 이에 따라 가압버튼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리들의 회전에 따른 노즐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에 의해 내용물이 머리빗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분출장치의 분사구가 노즐에 의해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분출장치의 노즐이 회전되면서 분사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분출장치의 리들이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분출장치의 리들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된 선스프링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리들이 회전되어 선스프링이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빗 2 : 손잡이
2a : 배치홈 2b : 삽입홈
10 : 인서트 11 : 중공
12 : 관통공 13 : 분사구
14 : 걸림홈 20 : 리들
21 : 걸림볼 22 : 삽입공
23 : 스프링 30 : 슬라이드너트
31 : 삽입홈 32 : 나사산
40 : 노즐 41 : 나사산
42 : 다각편 43 : 나사산
44 : 분사공 45 : 오-링
50 : 록크핀 60 : 스냅링
70 : 호스고정너트 80 : 노즐고정너트
90 : 호스 100 : 스펀지
110 : 선스프링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는 상단부가 머리빗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손잡이와 나사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인서트와, 이 인서트의 관통공이 형성된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리들과,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이 형성된 내주면에 배치되어 록크핀에 의해 상기 리들과 연결 회전되는 슬라이드너트 및 상기 인서트의 중공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외주면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드너트와 나사결합되어 리들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서 인서트의 상단 분사구를 개폐시키는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들의 내주면 일측에 탄성적으로 출몰되는 걸림볼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인서트의 외주면에 상기 걸림볼이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리들이 단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인서트의 중공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외주면 일측에 다각편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인서트 중공의 내주면에 상기 다각편과 일치된 형상의 중공을 갖는 노즐고정너트가 삽입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다각편과 일치되는 노즐고정너트의 중공은 이 노즐이 리들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드너트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만큼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상기 노즐의 다각편 직경보다 소정길이만큼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상단 외주면에는 노즐의 중공을 통해 분사공으로 분사된 내용물이 하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을 설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너트의 하단부에는 이 슬라이드너트가 인서트의 중공내에서 상하유동없이 제자리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냅링을 설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하단부에는 이 노즐 하단부로 연결되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호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 호스의 외부를 감싸면서 노즐의 하단부로 결합되는 호스고정너트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들이 분사구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었다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리들과 손잡이의 사이에 선스프링을 설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는 중공(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인서트(10)와, 이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외주면에 배치되는 리들(20)과, 상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내주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너트(30) 및 상기 인서트(10)의 중공에 배치되어 상하로 유동되면서 인서트(10)의 상단 분사구(13)를 개폐시키는 노즐(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10)는 상단부가 머리빗(1)의 하단부와 고정 결합되고 그 하단부가 손잡이(2)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는 다단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노즐(4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공(11)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노즐(40)로부터 이송된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분사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리들(20)과 슬라이드너트(30)를 연결시키는 록크핀(50)이 관통되는 동시에 이 록크핀(50)이 소정각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의 회전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는 리들(20)의 걸림볼(21)이 인서트(10)에 대해 단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걸림홈(1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들(20)은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외주면을 감싸듯이 배치되는 링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는 록크핀(50)이 삽입 나사결합되면서 인서트(10)의 관통공(12)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22)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인서트(10)의 걸림홈(14)에 걸리면서 리들(20)이 인서트(10)에 대해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볼(21)이 스프링(23)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들(20)의 저면에는 이 리들(20)이 회전되었다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선스프링(110)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들(20)의 저면과 대응되는 손잡이(2)의 상면에는 상기 선스프링(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치홈(2a)이 형성되고 이 배치홈(2a)의 소정부위에 상기 선스프링(110)의 타단부가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들(20)은 그 외주면에 너얼링 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회전조작시 미끄럼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너트(30)는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내주면에 배치되는 링형상으로,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리들(20)에서부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을 통해 이 인서트(10)의 중공(11)내로 진입된 록크핀(50)이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리들(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31)이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노즐(4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너트(30)의 하단부에는 이 슬라이드너트(30)가 인서트(10)의 중공(11)내에서 상하 유동없이 제자리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냅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40)은 인서트(10)의 중공(11)내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 일측부가 슬라이드너트(30)와 나사결합되어 리들(20)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드너트(3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인서트(10)의 분사구(13)를 개폐시키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드너트(30)와 나사결합되는 외주면 일측부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인서트(10)의 중공(11)내에서 상기 노즐(40)이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하는 다각편(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각편(42) 하부 외주면에는 호스고정너트(60)가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산(4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40)의 다각편(42)과 대응되는 인서트(10) 중공(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다각편(42)과 일치되는 형상의 중공(81)을 갖는 링형상의 노즐고정너트(80)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의 다각편(42)과 일치되는 노즐고정너트(80)의 중공(81)은 이 노즐(40)이 리들(20)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드너트(30)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만큼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상기 노즐(40)의 다각편(42) 직경보다 소정길이만큼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은 호스(90)로부터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중공(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 외주면에는 유입된 내용물이 분사구(13)를 통해 머리빗(1)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분사공(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사공(44)의 하부 외주면에는 노즐(40)의 중공을 통해 분사공(44)으로 분사된 내용물이 하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4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40)의 하단부에는 이 노즐(40) 하단부로 연결되는 내용물 분출 호스(90)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 호스(90)의 외부를 감싸면서 노즐(40)의 하단부로 결합되는 원관 형상의 호스고정너트(7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록크핀(50)은 리들(20)의 삽입공(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리들(20)의 외주부로 돌출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대직경을 갖는 이단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00은 스펀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는 인서트(10)의 상, 하단부가 각각 머리빗(1)과 손잡이(2)에 결합되고, 이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내, 외주면에 각각 슬라이드너트(30)와 리들(20)이 배치되며 그 내부 중공(11)에 노즐(40)이 배치된다. 여기서, 노즐(40)은 그 외주면의 나사산(41)이 다시 슬라이드너트(3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크핀(50)으로 리들(20)과 슬라이트너트(30)를 연결시키고 스냅링(60)으로 슬라이드너트(30)의 하단부를 지지시키며, 노즐고정너트(80)를 인서트(10)의 중공(11)으로 삽입시켜 노즐(40)의 다각편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고정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리들(20)과 손잡이(2) 사이에 선스프링(110)을 설치시킨다. 한편, 호스(90)가 연결되어 있는 노즐(40)의 하단 외주면상으로 호스고정너트(70)가 덮어씌워진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본 고안의 내용물 분출장치는 호스(90)를 통해 내용물이 노즐(40)의 중공을 따라 유입되어 상단부의 분사공(44)을 통해 소정의 분사압을 가지고 분사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리들(20)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록크핀(50)과 연결된 슬라이드너트(30)가 회전되면서 다시 이 슬라이드너트(30)는 나사결합되어 있는 노즐(40)을 상대적으로 축방향 운동을 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노즐(40)이 인서트(10)의 분사구(13)를 개방시켜 내용물이 머리빗(1)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정방향으로 회전된 리들(20)은 선스프링(110)의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머리손질이 완료되어 내용물 분출을 차단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리들(20)의 회전가압을 해제시킴으로써 선스프링(11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너트(30)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른 노즐(40)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인서트(10)의 분사구(13)가 밀폐되어 내용물 분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들(20)의 회전조작시, 이 리들(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록크핀(50)의 후단부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회전조작 할 수도 있다.
한편, 리들(20)의 걸림볼(21)은 인서트(10)의 걸림홈(14)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노즐(40)이 분사구(13)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내용물 분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는 리들의 회전조작에 따른 노즐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인서트의 분사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함으로써, 내용물 분사 조작이 간편하고 내용물의 유입 및 굳음에 의한 조작상의 결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상단부가 머리빗(1)의 내주면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부가 손잡이(2)와 나사결합되며 중공(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인서트(10);
    상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리들(20);
    상기 인서트(10)의 관통공(12)이 형성된 내주면에 배치되어 록크핀(50)에 의해 상기 리들(20)과 연결 회전되는 슬라이드너트(30); 및
    상기 인서트(10)의 중공(11)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외주면 일측부가 상기 슬라이드너트(30)와 나사결합되어 리들(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서 인서트(10)의 상단 분사구(13)를 개폐시키는 노즐(4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들(20)의 내주면 일측에 탄성적으로 출몰되는 걸림볼(21)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인서트(10)의 외주면에 상기 걸림볼(21)이 삽입되도록 하는 걸림홈(14)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리들(20)이 단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이 인서트(10)의 중공(11)내에서 흔들림 없이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즐(40)의 외주면 일측에 다각편(42)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인서트(10) 중공(11)의 내주면에 상기 다각편(42)과 일치된 형상의 중공(81)을 갖는 노즐고정너트(80)가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의 다각편(42)과 일치되는 노즐고정너트(80)의 중공(81)은 이 노즐(40)이 리들(20)의 회전에 따른 슬라이드너트(30)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만큼 축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상기 노즐(40)의 다각편(42) 직경보다 소정길이만큼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의 상단 외주면에는 노즐(40)의 중공을 통해 분사공(44)으로 분사된 내용물이 하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4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너트(30)의 하단부에는 이 슬라이드너트(30)가 인서트(10)의 중공(11)내에서 상하 유동없이 제자리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냅링(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0)의 하단부에는 이 노즐(40) 하단부로 연결되는 내용물 분출을 위한 호스(90)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 호스(90)의 외부를 감싸면서 노즐(40)의 하단부로 결합되는 호스고정너트(7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들(20)이 인서트(10)의 분사구(13)를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었다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리들(20)과 손잡이(2)의 사이에 선스프링(11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KR2020010025561U 2001-08-23 2001-08-23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KR200262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61U KR200262442Y1 (ko) 2001-08-23 2001-08-23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61U KR200262442Y1 (ko) 2001-08-23 2001-08-23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442Y1 true KR200262442Y1 (ko) 2002-03-18

Family

ID=7310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561U KR200262442Y1 (ko) 2001-08-23 2001-08-23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4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743B1 (ko) 파우더 화장용 브러시
US7448393B2 (en) Cosmetic brush
US9101196B2 (en) Cosmetic unit with swiveling closure
JP2013513529A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EP0995368A2 (de) Haarfärbe- oder Kosmetik-Einheit, insbesondere Mascara-Einheit
US20070204872A1 (en) Case with Spring-Loaded Mascara Brush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KR20140115097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100635017B1 (ko) 화장용 솔
KR200262442Y1 (ko) 헤어세팅기의 내용물 분출장치
KR101820480B1 (ko) 브러시 일체형 립스틱
KR200461339Y1 (ko) 헤어 염색기
JP4129553B2 (ja) ブラシ化粧品容器
KR100367448B1 (ko) 헤어 세팅 장치
JP3153523U (ja) 液体容器
KR200394054Y1 (ko) 국부 분사가 가능한 헤어 스프레이
KR200491423Y1 (ko) 립 케어 용기
KR101900184B1 (ko) 무스용기의 내용물 배출헤드 어셈블리
KR19990021984U (ko) 패킹을구비한마스카라용기
JP4129554B2 (ja) ブラシ化粧品容器
KR200358801Y1 (ko) 화장용 립글로스 카트리지
KR102339354B1 (ko) 헤어 세정용 빗
KR20040079811A (ko) 딱풀 케이스
KR200316783Y1 (ko) 딱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