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865Y1 -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 Google Patents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865Y1
KR200261865Y1 KR2020010034356U KR20010034356U KR200261865Y1 KR 200261865 Y1 KR200261865 Y1 KR 200261865Y1 KR 2020010034356 U KR2020010034356 U KR 2020010034356U KR 20010034356 U KR20010034356 U KR 20010034356U KR 200261865 Y1 KR200261865 Y1 KR 200261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oid
mode
camera
shooting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익
Original Assignee
정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찬익 filed Critical 정찬익
Priority to KR2020010034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동작하여 촬영하거나 또는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동작하여 인화지에 촬영하기 위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단일의 카메라로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모드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촬영, 인화지에 의한 폴라로이드 카메라 촬영을 각각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같은 화상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 모드와 폴라로이드 카메라 모드로 촬영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촬영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Camera having a function of polaroid photographing and a digital still photographing}
본 고안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동작하여 촬영하거나 또는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동작하여 인화지에 촬영하기 위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필름 또는 인화지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 일반 필름 카메라 또는 폴라로이드 카메라(일명 즉석 인화지 카메라)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피사체의 2차원 정보를 전기적으로 메모리에 기록하는것으로,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내어 컴퓨터로 전송 가능한 카메라이다.
이에 비하여, 일반 필름 카메라는 카메라에 필름을 장착하여 피사체의 상이필름 면에 결상되도록 하여 촬영하는 카메라이고,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촬영 즉시 촬영된 화상을 확인할 수 인화지를 카메라에 장착하여 피사체의 상이 인화지에 결상되도록 하여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그런데,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촬영하는 동안에 촬영된 화상을 즉석에서 볼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서 즉석에서 촬영된 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각각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과 동시에 한 장면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카메라에 의하여 디지털 스틸 카메라 촬영과 폴라로이드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져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선택된 촬영 모드에 상응하여 스위칭하기 위한 파인더 광학 블록,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부호화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신호처리 수단,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촬영 렌즈와 셔터로 이루어져 선택된 촬영 모드에 상응하여 셔터를 구동하여 피사체로부터 입상되는 광을 인화지에 결상시키기 위한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 촬영 모드 설정 스위치 및 촬영 릴리즈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모드 설정 정보 및 촬영 릴리즈 스위칭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 및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에서의 광의 경로를 제어하여, 설정된 촬영 모드로 촬영이 되도록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 및 상기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는 대물 렌즈(101), 반사 거울(102), 접안 렌즈(103), 반사 거울 구동부(104), 촬상 수단인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105, 이하 CCD라 칭함), 화상 처리부(106), 폴라로이드 촬영 렌즈(107), 셔터(108), 셔터 구동부(109), 인화지(110), 메모리(111), 제어부(112) 및 스위칭부(113)를 구비한다.
위에서 대물 렌즈(101), 반사 거울(102), 접안 렌즈(103) 및 반사 거울 구동부(104)를 포함하는 블록을 파인더 광학 블록이라 칭하고, 폴라로이드 촬영 렌즈(107), 셔터(108) 및 셔터 구동부(109)를 포함하는 블록을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이라 칭한다.
그러면, 도 2의 동작 제어 흐름도에 따라서 도 1의 구성 수단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스위칭부(113)에 있는 촬영 모드 설정 스위치(S1)를 조작하여 원하는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S11). 본 고안에서 지원하는 촬영 모드는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 디지털 촬영 모드 및 폴라로이드/디지털 동시 촬영 모드가 있다.
사용자가 촬영 모드를 설정한 후에, 사용자에 의한 촬영 릴리즈 스위치(S2)가 온(ON)되는지를 제어부(12)에서 판단한다(S12).
촬영 릴리즈 스위치(S2)가 온되는 경우에, 제어부(12)는 스위칭부(113)의 촬영 모드 설정 스위치(S1)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한 촬영 모드의 종류를 판단한다(S13).
제어부(112)의 촬영 모드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각각 동작한다.
첫 번째로, 디지털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촬영 전에 반사 거울(102)은 A와 같은 방향을 유지한다. 이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대물 렌즈(101)를 통과한 후에, 반사 거울(102)에서 반사되어 접안 렌즈(103)로 출력되어 사용자의 망막에 피사체의 상이 결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지털 촬영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안 렌즈(103)로 피사체를 확인한 후에 스위칭부(113)에 있는 촬영 릴리즈 스위치(S2)가 온되면, 제어부(112)는 이를 감지하여 반사 거울 구동부(104)로 반사 거울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반사 거울 구동부(104)는 반사 거울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서 반사 거울(102)을 A방향에서 B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이동시킨 후에 다시 A방향으로 되돌아오도록 제어한다(S14).
그러면, 반사 거울(102)이 B방향에 있는 동안에 대물 렌즈(101)에서 출력되는 피사체의 광은 CCD(105)로 입력된다. CCD(105)에서는 입력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화상 처리부(106)로 출력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106)에서는 CCD(105)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부호화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처리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2)는 제어 버스, 데이터 버스 및 어드레스 버스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부(106)에서 처리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11)에 저장시킨다(S15).
그리고, 디지털 촬영 모드에서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을 구성하는 셔터(108)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두 번째로,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촬영 전에 반사 거울(102)은 A와 같은 방향을 유지하여 사용자는 접안 렌즈(103)를 통하여 피사체를 확인한다.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안 렌즈(103)로 피사체를 확인한 후에 스위칭부(113)에 있는 촬영 릴리즈 스위치(S2)를 온시키면, 제어부(112)는 이를 감지하여 셔터 구동부(109)로 셔터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셔터 구동부(109)는 셔터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서 셔터(108)를 일정시간 동안 순간적으로 열리도록 제어한다(S16).
그러면, 셔터(108)가 열리는 시간 동안에 폴라로이드 촬영 렌즈(107)를 통하여 출력되는 피사체 광이 인화지(110)에 결상된다(S17).
그리고,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에서 반사 거울(102)의 위치는 A방향을 계속 유지하므로 피사체의 광이 CCD(105)로 입사되지 않아 디지털 모드의 촬영은 되지 않는다.
세 번째로, 폴라로이드/디지털 동시 촬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폴라로이드/디지털 동시 촬영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안 렌즈(103)로 피사체를 확인한 후에 스위칭부(113)에 있는 촬영 릴리즈 스위치(S2)를 온시키면, 제어부(112)는 이를 감지하여 반사 거울 구동부(104)로 반사 거울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반사 거울(102)을 구동시키고, 동시에 셔터 구동부(109)로 셔터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셔터(108)를 구동시킨다(S18).
이에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물 렌즈(101)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은 반사 거울(102)에 의하여 CCD(105)로 입력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되고, 화상 처리부(106)를 거쳐 부호화 신호 처리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111)에 저장되어 디지털 모드의 촬영이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폴라로이드 촬영렌즈(107)로 입사되는 광은 셔터(108)가 열리는 동안에 인화지(110)에 결상되어 폴라로이드 촬영도 함께 완료된다(S19).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촬영 모드에 따라서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동작하거나 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라로이드 카메라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된 특정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고안의 예로서 이해 되어 지고,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본 고안에 기술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도 다양한 다른 변경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보여지거나 기술된 특정의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단일의 카메라로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모드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촬영, 인화지에 의한 폴라로이드 카메라 촬영을 각각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같은 화상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 모드와 폴라로이드 카메라 모드로 촬영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촬영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져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선택된 촬영 모드에 상응하여 스위칭하기 위한 파인더 광학 블록;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부호화 신호처리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신호처리 수단;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촬영 렌즈와 셔터로 이루어져 선택된 촬영 모드에 상응하여 셔터를 구동하여 피사체로부터 입상되는 광을 인화지에 결상시키기 위한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
    촬영 모드 설정 스위치 및 촬영 릴리즈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모드 설정 정보 및 촬영 릴리즈 스위칭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 및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에서의 광의 경로를 제어하여, 설정된 촬영 모드로 촬영이 되도록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 및 상기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더 광학 블록은
    피사체의 광을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수단;
    상기 반사 수단에서 반사되는 광의 경로를 촬영 모드에 상응하여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 수단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반사 수단 구동부; 및
    상기 반사 수단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사용자가 피사체의 상을 볼 수 있도록 상을 정립시키기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라로이드 광학 블록은
    피사체의 광을 집속시켜 인화지에 결상시키기 위한 폴라로이드 촬영 렌즈;
    상기 폴라로이드 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인화지로의 입사 또는 차단시키는 셔터; 및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인화지에 입사시키도록 상기 셔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셔터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의 설정 스위치에서 설정하는 모드의 종류는 폴라로이드 촬영 모드, 디지털 촬영 모드 및 폴라로이드/디지털 동시 촬영 모드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KR2020010034356U 2001-11-08 2001-11-08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KR200261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56U KR200261865Y1 (ko) 2001-11-08 2001-11-08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56U KR200261865Y1 (ko) 2001-11-08 2001-11-08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919A Division KR20030035054A (ko) 2001-10-29 2001-10-29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865Y1 true KR200261865Y1 (ko) 2002-01-24

Family

ID=7307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56U KR200261865Y1 (ko) 2001-11-08 2001-11-08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8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4204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本体、交換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方法
US8314879B2 (en) Digital camera having autofocus capability and continuous shooting capability
JP5364245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4926833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120895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235424B2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8294981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1133679A (ja) 電子カメラおよび自動合焦方法
US4903056A (en) Camera having checking function
KR200261865Y1 (ko)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카메라
JPH08254750A (ja) 撮影装置
JP2004354714A (ja) 可視光・赤外光撮影用レンズシステム
KR20030035054A (ko) 폴라로이드 모드 촬영 및 디지털 모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JP2007158878A (ja) 撮像装置
JP3027022B2 (ja) パノラマ撮影機能付きカメラ
JP2003209720A (ja)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JPH0654253A (ja) カメラ
JP2006201568A (ja) 手ぶれ検出可能なカメラ
JPH10260471A (ja) 多焦点カメラ
JPH0456936A (ja) カメラの焦点検出装置
JPH11327032A (ja) 銀塩撮影及び電子撮像兼用カメラ
JP4891132B2 (ja) 撮像装置
JP3017796B2 (ja) カメラ装置
KR100573595B1 (ko) 필름 촬영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JPH01237629A (ja) Ae、af及び確認機能付一眼レフ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