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847Y1 -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847Y1
KR200261847Y1 KR2020010033887U KR20010033887U KR200261847Y1 KR 200261847 Y1 KR200261847 Y1 KR 200261847Y1 KR 2020010033887 U KR2020010033887 U KR 2020010033887U KR 20010033887 U KR20010033887 U KR 20010033887U KR 200261847 Y1 KR200261847 Y1 KR 200261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crew rod
gate
valve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정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훈 filed Critical 정승훈
Priority to KR202001003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847Y1/ko

Links

Landscapes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또는 비데 등에 적용되어 유체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데 이용되는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밸브몸체에 유체의 유입구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노브를 가진 나사봉을 체결하고 나사봉의 단부에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기 위한 게이트를 일체로 구성하여 노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봉이 전, 후진하도록 하여 게이트로 하여금 유입구와 이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시켜줄 수 있도록 한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게이트의 이동을 나사운동을 통해 적용하게 됨으로써 개폐정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유량제어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THE ANGLE VALVE}
본 고안은 정수기나 연수기 또는 비데 등에 적용되어 유체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데 이용되는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밸브몸체에 유체의 유입구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노브를 가진 나사봉을 체결하고 나사봉의 단부에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기 위한 게이트를 일체로 구성하여 노브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봉이 전, 후진하도록 하여 게이트로 하여금 유입구와 이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시켜줄 수 있도록 한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게이트의 이동을 나사운동을 통해 적용하게 됨으로써 개폐정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유량제어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앵글밸브는 밸브 본체의 입구와 출구의 중심선이 직각으로 구성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이 직각으로 변하는 형식의 조절 밸브로서, 보통 유체를 측방으로 부터 아래로 90도 방향 전환하며 슬러리 유체, 점성유체 등이 쉽게 흐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사용되거나 또는 출구측에 드레인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밸브이며, 내부구조는 글러브 밸브와 거의 같은 것으로서 단좌형, 케이지형 등이 있으며 글로브 밸브에 비하여 와류현상과 압력손실이 적으며 유체 압력차가 큰 곳에 주로 사용한다.
한편 정수기나 연수기에는 원수를 유입시켜 처리한 용수를 차기 공정 또는 다수의 용도 처로 이송,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송관에 밸브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적용되는 앵글밸브는 대체로 그 크기가 커서 적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밸브체의 게이트의 위치고정이 게이트가 유입구 측의 시트에 완전 밀착되어 유입구를 완전 차단하는 위치와 게이트가 완전 후퇴되어 유입구와 토출구를 완전 개방시키는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 유량제어범위가 단일범위로 단순화되는 폐단이 있으며, 또한 유량의 미세 조정이 불가능하여 사용목적이 단일하게 한정되는 문제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과 효용가치가 저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성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게이트의 이동을 나사운동을 통해 적용하게 됨으로써 개폐정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범위의 확장과 유량제어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앵글밸브를 제공함에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밸브몸체에 유체의 유입구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노브를 가진 나사봉을 체결하고 나사봉의 단부에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기 위한 게이트를 일체로 구성하여 노브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나사봉이 전, 후진하도록 하여 게이트로 하여금 유입구와 이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 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앵글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앵글 밸브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앵글 밸브를 폐쇄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밸브체의 형상을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밸브몸체
2 : 유입구
3 : 토출구
4 : 시트
5 : 밸브체
5A : 나사봉
5B : 노브
5C : 게이트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1내지 도 4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몸체(1)의 일측으로 유체의 유입구(2)가 구비되고 이 유입구(2)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토출구(3)가 구비되는 공지의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와 토출구(3)의 연결부에 마련되는 요입 형태의 시트(4)와;
상기 밸브몸체(1)에 유입구(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봉(5A)과, 상기 나사봉(5A)의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몸체(1)의 외부로 노출 구성되며 나사봉(5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노브(5B)와, 상기 나사봉(5A)의 내측단에 일체로 구성되며 나사봉(5A)의 직선이동에 따라 시트(4)와 착탈 됨을 통해 유입구(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게이트(5C)로 구성되는 밸브체(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0)은 밸브체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턱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밸브몸체(1)의 유입구(2)와 배출구(3)를 상호 연결시켜 유체의 통로를 개방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노브(5B)를 일방향으로 돌려 나사봉(5A)이 밸브몸체(1)에서 빠져나오면서 후퇴되도록 하면 나사봉(5A)의 내측단에 구성되는 게이트(5C)가 후퇴되면서 시트(4)에서 이탈되어 유입구(2)를 개방시켜 배출구(3)와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구(2)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화살표와 같이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면서 배출구(3)로 이송, 배출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유입구(2)를 폐쇄하기 위해서 노브(5B)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주면 나사봉(5A)이 회전되면서 밸브몸체(1)로 진입되고 나사봉(5A)의 내측단에 구성되는 게이트(5C) 또한 전진되어 시트(4)면과 밀착됨으로써유입구(2)를 밀폐시켜 배출구(3)와 단락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입구(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게이트(5C)에 막혀 배출구(3)로 이송, 배출될 수 없어 유체이 이송이 억제되는 것이다.
상기의 밸브체(5)에 적용되는 게이트(5C)는 시트(4)면과 밀접되는 상태에서 우수한 내구성과 실링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적용되는 유체에 대해 우수한 내화학성을 보유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적당하며 임의의 특정 소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게이트(5C)의 위치를 가변 시킴을 통해 유입구(2)를 개폐함으로써 밸브의 기능을 하는 것은 기존의 밸브와 동일하지만 게이트(5C)의 위치가변을 나사봉(5A)을 통해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유량의 정밀제어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용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게이트의 이동을 나사운동을 통해 미세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폐정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범위의 확장과 유량제어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취급의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밸브몸체(1)의 일측으로 유체의 유입구(2)가 구비되고 이 유입구(2)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토출구(3)가 구비되는 공지의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와 토출구(3)의 연결부에 마련되는 요입 형태의 시트(4)와;
    상기 밸브몸체(1)에 유입구(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나사봉(5A)과, 상기 나사봉(5A)의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몸체(1)의 외부로 노출 구성되며 나사봉(5A)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노브(5B)와, 상기 나사봉(5A)의 내측단에 일체로 구성되며 나사봉(5A)의 직선이동에 따라 시트(4)와 착탈 됨을 통해 유입구(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게이트(5C)로 구성되는 밸브체(5)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KR2020010033887U 2001-11-01 2001-11-01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KR200261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87U KR200261847Y1 (ko) 2001-11-01 2001-11-01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887U KR200261847Y1 (ko) 2001-11-01 2001-11-01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46A Division KR20020024151A (ko) 2002-01-25 2002-01-25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847Y1 true KR200261847Y1 (ko) 2002-01-24

Family

ID=7311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887U KR200261847Y1 (ko) 2001-11-01 2001-11-01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8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89A (ko) * 2002-08-31 2004-03-09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변환밸브
KR100502952B1 (ko) * 2003-04-25 2005-07-25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의 재생액 배출용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89A (ko) * 2002-08-31 2004-03-09 이코리아산업 주식회사 변환밸브
KR100502952B1 (ko) * 2003-04-25 2005-07-25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의 재생액 배출용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3682C (en) Valve, comprising snap-fitting handle for regulating fluid
US5095934A (en) Fluid valve
US7255129B2 (en) Valve with elbow joint diverter
US20070044856A1 (en) Diverter valve for water systems
US4699358A (en) Faucet valve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KR200261847Y1 (ko)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KR200418253Y1 (ko) 유량 조절 볼밸브
KR20020024151A (ko) 유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앵글밸브
US5899438A (en) Gate valve having a swingable-slidable valve plate
US4056124A (en) Fluid mixing valve for supplying controllable proportions of two inlet fluids from a single outlet
US5921528A (en) High precision high flow range control valve
US4417602A (en) Zero internal pressure cartridge
US9038988B1 (en) Valve having reduced operating force and enhanced throttling capability
US3269413A (en) Mixing valve for lavatories
US3408041A (en) Sliding block valve
JP4859037B2 (ja) 一方向バルブ及びドアチェック装置
US4495969A (en) Mixing valve with water modulation sealing means
RU2699453C1 (ru) Пятиэксцентриковый запорный клапан
JP4296863B2 (ja) 流量調整弁
SK284153B6 (sk) Ventil
US5445361A (en) Fluid flow valve
JP7440049B1 (ja) 流量制御弁
GB2168127A (en) Valve
GB2269884A (en) A tap
US4263940A (en) Mix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