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769Y1 -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769Y1
KR200261769Y1 KR2020010031648U KR20010031648U KR200261769Y1 KR 200261769 Y1 KR200261769 Y1 KR 200261769Y1 KR 2020010031648 U KR2020010031648 U KR 2020010031648U KR 20010031648 U KR20010031648 U KR 20010031648U KR 200261769 Y1 KR200261769 Y1 KR 200261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oil
pad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Original Assignee
김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봉 filed Critical 김대봉
Priority to KR202001003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769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한척의 선박에서 해상 부유쓰레기 뿐만 아니라 기름도 회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10)에 설치되며 감속모터(116)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로울러(111)와 종동로울러(112)가 벨트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프레임(110)이 승강실린더(102)에 의해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승하강되는 회수장치(100)로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112)에 교체 설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조각으로 등분되어 각각 연결링(121)을 갖도록 하여 연결축(122)으로 연결되는 패드벨트(120) 및 메쉬벨트(120')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벨트(120)에 의해 회수되는 기름(S)은 구동로울러(111)의 회전궤도에 설치된 스크레퍼(140)와 압착로울러(118)에 의해 1,2차 회수되며; 상기 구동로울러(111) 양측에는 구동샤프트(113)를 따라 이동되는 스프로켓(114)을 구비하여 메쉬벨트(120') 사용시 스프로켓(114)의 톱니에 걸려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종동로울러(112)가 설치된 벨트프레임(110) 하단에는 해수 표면의 흐름을 종동로울러(112) 방향으로 끌어 당기도록 하기 위한 인덕션펌프(130)가 설치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를 도모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a marine floating trash and an oil gath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해상에 떠 다니는 부유쓰레기나 기름을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선박에서 부유쓰레기 회수와 기름 회수를 가능하게 하여 부유쓰레기 및 유출된 기름을 효율적으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부유쓰레기나 유출된 기름은 선박을 이용하여 회수하고 있으나, 부유쓰레기와 기름은 그 물리적 성질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부유쓰레기 처리 선박과 기름 처리 선박을 별도로 구비하여 각각 회수 처리하고 있으므로써 고가의 선박 구입 비용에 따른 비경제성 및 많은 작업 인원과 유지비 등이 많이 소요 됨으로써 비효율적인 문제가 따른다.
그리고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0-58533호,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49398호,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24328호 등이 개시되었으나, 이들 역시 부유쓰레기나 기름중에 어느하가지만 회수할 수 있는 선박일 뿐만 아니라 구조도복잡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척의 선박에서 해상부유쓰레기 뿐만 아니라 기름도 회수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회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박에 설치되며 감속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가 벨트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프레임이 승강실린더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승하강되는 회수장치로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에 교체 설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조각으로 등분되어 각각 연결링을 갖도록 하여 연결축으로 연결되는 패드벨트 및 메쉬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벨트에 의해 회수되는 기름은 구동로울러의 회전궤도에 설치된 스크레퍼와 압착로울러에 의해 1,2차 회수되며; 상기 구동로울러 양측에는 구동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메쉬벨트 사용시 스프로켓의 톱니에 걸려서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로울러가 설치된 벨트프레임 하단에는 해수 표면의 흐름을 종동로울러 방향으로 끌어 당기도록 하기 위한 인덕션펌프가 설치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선박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승,하강 동작 상태를 보인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Y - Y'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름 회수 상태의 요부를 보인 일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래퍼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패드벨트 및 메쉬벨트의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벨트 연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X - X'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부유쓰레기 회수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일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Z - Z'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박 100 : 회수장치
102 : 승강실린더 110 : 벨트프레임
111 : 구동로울러 112 : 종동로울러
113 : 구동샤프트 114 : 스프로켓
116 : 감속모터 118 : 압착로울러
120,120' : 패드및메쉬벨트 121 : 연결링
122 : 연결축 123 : 덮개부재
130 : 인덕션펌프 140 : 스크레이퍼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선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회수장치의 승,하강 상태를 보인 일측면도, 도 3은 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수장치(100)는 선박(10)에 설치된 힌지프레임(103)의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승강실린더(102)에 의해 프레임(110)이 승강 및 하강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유쓰레기나 기름을 회수 할 때에는 선박(10)이 어느 한 지점에 정지된 상태에서 벨트프레임(110)을 하강시켜서 그 하단부가 해수(W)에 잠겨지도록 한 다음 회수작업을 하게 되고, 회수 지점을 옮기기 위해서 선박(10)을 움직이거나 운항할 때에는 벨트프레임(110)을 상승시켜서 운항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벨트프레임(110)에는 구동로울러(111)와 종동로울러(112)가 설치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112) 사이에는 패드벨트(120) 또는 메쉬벨트(120')가 설치되어 궤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0) 하단부에는 해수(W)가 종동로울러(112) 쪽으로 이동되어 부유쓰레기나 기름을 끌어 오게 당겨 주는 역할을 하게 하는 인덕션펌프(1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로울러(111) 양측에는 구동샤프트(113)를 따라 양측으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고 주면에 톱니를 가진 스프로켓(1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로켓(114)은 기름 회수시에는 구동로울러(1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되며, 부유쓰레기를 회수할 때에는 구동로울러(111) 쪽으로 이동시켜 밀착되게 하여 사용하게 되는 스프로켓(114)으로서,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부호 115는 스프로켓(114)을 구동샤프트(113)에 고정시키는 볼트이다.
구동로울러(111)는 감속모터(116)와 연동기어(117)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구동로울러(111) 하측에는 압착로울러(1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기름 회수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스프로켓(114)은 구동로울러(111)와 떨어져 있다. 이 상태는 패드벨트(120)가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상선 도시와 같이 구동로울러(111)에만 패드벨트(120)가 접촉되어 회전된다.
도 5는 기름 회수시의 작용 상태도이다.
이때는 패드벨트(120)가 구동로울러(111)와 종동로울러(112) 사이에서 궤도 운동을 한다.
또한, 인덕션펌프(130)가 구동을 함으로써 종동로울러(112) 부분에서는 인덕션펌프(130)가 해수(W)를 밑으로 강제적으로 순환시키기 때문에 화살표 도시와 같이 해수(W) 표면의 흐름을 종동로울러(112) 쪽을 통해 밑으로 흐르는 조류를 만들게 된다.
그러므로 해수(W) 표면에 떠 있는 기름(S)은 패드벨트(120) 쪽으로 이동되어 그 패드벨트(120)를 따라 이송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름(S)을 회수할 때 조류에 의해서 패드벨트(120) 밖으로 밀려나가거나 패드벨트(120) 부근에 정체되어 끌어 올려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회수작업의 효율성을 증대되게 한다.
패드벨트(120)에 의해 끌어 올려지게 이송되는 기름(S)은 구동로울러(111)주위에 설치된 스크레퍼(140)에 의해서 1차 회수된다. 스크레퍼(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고정단부(142)에 설치된 탄력부재(143)의 탄력에 의해서 항상 위쪽으로 끌어 당겨지는 상태를 갖는다.
또한, 조절나사(144)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나사(144)를 회전시켜 올라가는 상태가 되면 스크레퍼(140) 끝단이 올라가게 됨으로써 스크레퍼(140) 끝단과 패드벨트(120) 간격이 협소해지게 되고, 반대로 조러나사(144)를 반대로 회전시켜 내려 가는 상태가 되면 패드벨트(120)와 스크래퍼(140) 끝단과 간격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에 있어 적절히 조절하여 패드벨트(120)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S)를 스크래퍼(140)로 긁어서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차 기름(S) 회수에서는 패드벨트(120) 표면에 다라 붙은 기름(S)을 회수하게 되고, 2차 회수는 구동로울러(111)와 압착로울러(118)에 의해서 패드벨트(120)가 짜여지게 됨으로써 그 패드벨트(120)에 흡수되어 있는 기름(S)를 짜내어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부호 20은 회수용기를 나타낸다.
한편, 패드벨트(120)는 친유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그 종류는 부직포등 다양한 재질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회수할 기름(S)의 종류(경유, 등유 등)에 적합한 재질로 제조된 패드벨트(120)를 사용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패드벨트(120), 또는 메쉬벨트(120')의 연결 구조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패드벨트(120), 또는 메쉬벨트(120')는 일정한 길이의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러한 여러 조각을 연결하여 하나의 패드벨트(120), 또는 메쉬벨트(120')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7를 참조하면, 패드벨트(120), 또는 메쉬벨트(120')는 각 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링(121)을 구비하고 이 연결링(121)이 도 8 및 도 9와 같이 엇갈리게 조립된 후 하나의 길다란 연결축(122)으로 끼워져서 연결되게 된다. 다음, 덮개부재(123)에 의해서 덮혀 짐으로써 벨트 역할을 하는데 전혀 지장을 없도록 한다.
또한, 패드벨트(120)를 해체하고 메쉬벨트(120')로 교환 설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교환 설치하는데 있어 연결축(122)을 끼우고 빼내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벨트 교환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0은 본 고안 장치에 있어서 기름(S)을 회수하는 패드벨트(120)를 해체하고 부유쓰레기(P)를 회수하는 메쉬벨트(120')를 설치한 상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메쉬벨트(12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망으로 된 벨트를 일컫는 것이며, 이러한 메쉬벨트(120')의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를 갖도록 걸침턱부재(124)가 설치된다.
걸침턱부재(124)는 메쉬벨트(120')가 경사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송 도중에 부유쓰레기(P)가 밑으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메쉬벨트(12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망으로 된 벨트이기 때문에 구동로울러(111) 표면과 마찰력이 약하여 슬립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양호하고 확실한 궤도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유쓰레기(P)를 회수하기 위해 메쉬벨트(120'0로 교체할 때에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스프로켓(114)를 구동로울러(111) 측면에 밀착시키고, 그 스프로켓(114)의 톱니 부분에 메쉬벨트(120')가 걸려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확실한 궤도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도 10 참조)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한척의 선박에서 필요에 따라서 기름 회수와 부유쓰레기 회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성이 있고 효율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선박(10)에 설치되며 감속모터(116)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로울러(111)와 종동로울러(112)가 벨트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프레임(110)이 승강실린더(102)에 의해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승하강되는 회수장치(100)로서;
    상기 구동 및 종동로울러(111,112)에 교체 설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조각으로 등분되어 각각 연결링(121)을 갖도록 하여 연결축(122)으로 연결되는 패드벨트(120) 및 메쉬벨트(120')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벨트(120)에 의해 회수되는 기름(S)은 구동로울러(111)의 회전궤도에 설치된 스크레퍼(140)와 압착로울러(118)에 의해 1,2차 회수되며; 상기 구동로울러(111) 양측에는 구동샤프트(113)를 따라 이동되는 스프로켓(114)을 구비하여 메쉬벨트(120') 사용시 스프로켓(114)의 톱니에 걸려서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회수장치.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종동로울러(112)가 설치된 벨트프레임(110) 하단에는 해수 표면의 흐름을 종동로울러(112) 방향으로 끌어 당기도록 하기 위한 인덕션펌프(1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회수장치.
KR2020010031648U 2001-10-17 2001-10-17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KR200261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48U KR200261769Y1 (ko) 2001-10-17 2001-10-17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48U KR200261769Y1 (ko) 2001-10-17 2001-10-17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769Y1 true KR200261769Y1 (ko) 2002-01-24

Family

ID=7311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48U KR200261769Y1 (ko) 2001-10-17 2001-10-17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7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62B1 (ko) * 2013-02-08 2015-01-09 해양환경관리공단 오일 스키머 컨베이어
KR20180052497A (ko) * 2016-11-10 2018-05-18 해양환경관리공단 스마트 스키머
KR102137352B1 (ko) * 2020-02-06 2020-07-23 홍수정 부유물 수거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62B1 (ko) * 2013-02-08 2015-01-09 해양환경관리공단 오일 스키머 컨베이어
KR20180052497A (ko) * 2016-11-10 2018-05-18 해양환경관리공단 스마트 스키머
KR101865403B1 (ko) * 2016-11-10 2018-06-08 해양환경공단 스마트 스키머
KR102137352B1 (ko) * 2020-02-06 2020-07-23 홍수정 부유물 수거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21B1 (ko) 고효율 침사 수집 및 인양장치
CN209662688U (zh) 一种皮革厂污水沉淀池用清淤装置
US5062953A (en) Belt type oil skimmer with horizonital rollers
CN110055941A (zh) 一种废水处理厂进水口漂浮垃圾打捞机
KR200261769Y1 (ko) 선박용 부유쓰레기 및 기름 회수 장치
CN2388189Y (zh) 上行式链板刮油刮渣机
CN109338881A (zh) 一种桥梁用排水装置
CN209941643U (zh) 一种水面清理机垃圾防回流装置
CN113897934A (zh) 一种基于环境保护的拦截型河道垃圾清理设备
KR101876279B1 (ko)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CN213834633U (zh) 含油污漂浮物污水前处理装置
CN202089786U (zh) 自动清渣回转式格栅机
KR20050113551A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CN205151903U (zh) 旋转式滗水器
CN115228178A (zh) 一种煤焦油渣过滤分离装置
KR200329796Y1 (ko) 제진기
CN210964205U (zh) 环境保护用废水处理装置
CN2579879Y (zh) 一种除渣油水分离机
CN105217787A (zh) 旋转式滗水器
CN216238714U (zh) 一种水利工程用淤泥清理装置
CN218516156U (zh) 一种一体化隔油设备
CN109338882A (zh) 一种桥梁用排水装置的工作方法
KR20050074361A (ko) 수동 회전 장치가 설치된 제진기
CN215609538U (zh) 一种刮泥机的刮板装置
CN217948993U (zh) 一种污水池沉积物打捞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