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768Y1 -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 Google Patents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768Y1
KR200261768Y1 KR2020010031601U KR20010031601U KR200261768Y1 KR 200261768 Y1 KR200261768 Y1 KR 200261768Y1 KR 2020010031601 U KR2020010031601 U KR 2020010031601U KR 20010031601 U KR20010031601 U KR 20010031601U KR 200261768 Y1 KR200261768 Y1 KR 200261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opening part
protrusions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인포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인포메이션 filed Critical (주)에이치인포메이션
Priority to KR2020010031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768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물을 내장할 수 있고 캔의 개봉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캔 몸체(11) 돌출부의 일부를 탈락시켜 개봉부(13)가 마련된 원통형의 캔 몸체(11) 및 상부면의 일측에 개봉부(13)가 마련되고 그 개봉부(13)의 주변을 따라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 캔 뚜껑부(12)와,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개봉부(23), 밀봉부재(25) 하부면에 개봉부(23)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어 캔 개봉시 상기 캔 몸체(11)의 걸림턱(15)과 밀착되는 한쌍의 제1돌기부(21, 21')와 폐쇄시 밀착되는 한쌍의 제2돌기부(22, 22')와 회전개폐시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13)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배출구 밀폐부재(24, 24')가 구비되고, 상기 캔 뚜껑부(12) 상부면에 장착되고, 캔 몸체의 돌출부(1)의 외경보다 커 그 외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27)로 구성된 회전개폐식 마개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음료캔은 회전력에 의해 개폐가 자유로워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캔 뚜껑부와 캔 몸체 사이에 마련된 주변홈에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며, 레버, 고정핀 등과 같은 종래의 캔제품의 구성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에 있어 회전개폐식 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Beverage can with openable/closable lid thereon}
본 고안은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 개봉된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의 음료캔의 밀봉이 가능하여 먹고 남은 내용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기존 음료캔의 몸체와 뚜껑부 사이에 마련된 주변홈에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아 오염문제가 없으며, 종래의 캔과는 달리 손가락힘이 아닌 악력에 의해 개방시킬 수 있는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새로운 음료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알코올류, 쥬스류와 같은 음료를 내장하는 캔제품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의 원통형 몸체와 뚜껑부의 상부면에는 음료수 배출구에 해당하는 부분에 탭(tab)이 있어 내용물을 밀봉할 수 있고, 음용시 이 탭을 개방시킬 수 있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개봉하고자 할 때 캔 뚜껑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된 레버에 힘을 가함으로써 캔이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캔 제품은 일단 개봉되면 다시 폐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개봉 상태에서 보관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과일쥬스와 같은 내용물은 공기 중에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가 이루어져 신맛이 강해지고, 탄산음료는 내용물 중에 내포된 이산화탄소가 이탈되어 고유의 맛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개봉 전이라도 캔 뚜껑부의 상부면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보관시 먼지나 이물질의 퇴적이 자연스럽게 진행되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은 면도 있었다.
더 나아가 개봉된 후에 음료수가 일단 배출되면, 캔 뚜껑부와 원통형의 캔 몸체 사이에 마련된 주변홈에 배출된 음료수 중 일부가 잔류하게 되어 재차 음용할때에는 이들이 인체에 유입되어 위생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제품이 고정핀에 의해서 캔의 상부면에 고정된 레버를 음용자가 손가락의 힘으로 상승시켜 탭을 하방으로 밀려나게 하여 개봉부를 개방시키는데, 이때 손가락의 힘이 약하거나 장갑 등의 착용으로 손가락을 사용할 없는 경우, 이용하기가 불편한 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의 캔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의 캔 제품을 다소 변형하고, 회전개폐식 마개를 캔 뚜껑부에 장착함으로써, 개봉 후 자유롭게 음료수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캔의 개봉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캔 몸체 돌출부의 일부를 탈락시켜 일단 음용한 후 남는 잔류물이 주변홈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용자의 악력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고, 고정핀, 레버 등의 구성요소가 불필요한 음료캔을 개발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위생적이며, 캔의 개봉이 용이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본 고안의 음료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선에 따른 본 고안의 음료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C-C'선에 따른 본 고안의 회전개폐식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음료캔, 2: 회전개폐식 마개, 11: 캔 몸체,
12: 캔 뚜껑부, 13: 개봉부, 14: 주변홈, 15: 걸림턱,
21: 제1돌기부, 22: 제2돌기부, 23: 개봉부, 24: 밀폐부재,
25: 밀봉부재, 26: 안착홈, 27: 체결부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은
내용물을 내장할 수 있고 캔의 개봉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캔 몸체(11) 돌출부의 일부를 탈락시켜 개봉부(13)가 마련된 원통형의 캔 몸체(11) 및 상부면의 일측에 개봉부(13)가 마련되고 그 개봉부(13)의 주변을 따라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 캔 뚜껑부(12)와,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개봉부(23), 밀봉부재(25) 하부면에 개봉부(23)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어 캔 개봉시 상기 캔 몸체(11)의 걸림턱(15)과 밀착되는 한쌍의 제1돌기부(21, 21')와 폐쇄시 밀착되는 한쌍의 제2돌기부(22, 22')와 회전개폐시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13)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배출구 밀폐부재(24, 24')가 구비되고, 상기 캔 뚜껑부(12) 상부면에 장착되고, 캔 몸체의 돌출부(1)의 외경보다 커 그 외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27)로 구성된 회전개폐식 마개를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의 회전개폐식 마개(2)는 상기 한쌍의 제1돌기부(21, 21')와 제2돌기부(22, 22') 사이에 안착홈(26)이 형성되어 상기 캔 뚜껑부의 걸림턱(15)과 밀착되고, 배출구 밀폐부재(24, 24')가 상기 캔 뚜껑부의 주변홈(14)을 치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해 캔 뚜껑부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21, 21') 및 제2돌기부(22, 22')의 돌기 간의 간격은 회전개폐식 마개의 회전에 의해 제1돌기부(21, 21') 및 제2돌기부(22, 22')가 캔 뚜껑부 상의 걸림턱(15)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1돌기부(21, 21'), 제2돌기부(22, 22') 및 배출구 밀폐부재(24, 24')는 코르크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가요성 수지로 제작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부드럽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배출구 밀폐부재(24, 24')는 개봉 전에는 캔 내용물을 밀봉시켜 보관이 가능하고 개봉 후에는 캔 뚜껑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주변홈(14)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은 캔의 몸체(1)와 체결된 회전개폐식 마개(2)의 회전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캔(1)의 개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개봉시에는 회전개폐식 마개의 제1돌기부(21, 21')와 캔 뚜껑부의 걸림턱(15)이 치밀하게 밀착되고, 다시 개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개폐식 마개의 제1돌기부(21, 21')와 제2돌기부(22, 22')와 캔 뚜껑부의 걸림턱(15)에 의해 치밀하게 개봉부가 폐쇄되고, 배출구 밀폐부재(24, 24')에 의해 개봉부(13)가 밀폐되어 캔 외부로의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 이탈 또는 캔 내부로의 산소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남은 내용물을 장기 보관할 수 있으며, 주변홈(14)을 따라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는 캔 뚜껑부(12)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캔 몸체(11)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캔 뚜껑부(12)에 마련된 개봉부(13)와 회전개폐식 마개(2)에 마련된 또 다른 개봉부(23)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로 정확히 대면하였을 경우 완전개봉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의 개폐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의 사용자가 먼저 회전개폐식 마개(2)를 손으로 쥐고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캔 뚜껑부(12)의 개봉부(13)와 회전개폐식 마개(2)에 개봉부(23)가 상하로 정확히 대면될 때 회전개폐식 마개(2) 하면에 형성된 제1돌기부(21, 21')가 캔 뚜껑부(12)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에 안착되고 배출구 밀폐부재(24')가 주변홈(14)을 따라 이동하여 캔 몸체의 개봉부(13)가 개방된다. 이때 배출구 밀폐부재(24, 24')는 주변홈(14)에 치밀하게 밀착되어 캔의 내용물이 주변홈(14)을 따라 흐르지 않고 안정한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개폐식 마개(2)의 하면에 형성된 제1돌기부(21, 21'), 제2돌기부(22, 22') 및 배출구 개폐부재에 의해 밀봉된 캔을 개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돌기부(21, 21')와 제2돌기부(22, 22')가 캔 뚜껑부 상부면에 형성된 제1걸림턱(15)과 제2걸림턱(도시안됨)을 넘어 이탈되고, 제1돌기부(21, 21')가 제1걸림턱(15)과 제2걸림턱(도시안됨)에 안착됨으로써 회전개폐식 마개와 캔 뚜껑부가 치밀하게 밀착되어 개방된 개봉부(13, 23)를 통해 음용자가 캔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다시 회전개폐식 마개(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개폐식 마개(2) 하면에 형성된 제1돌기부(21, 21')와 제2돌기부(22, 22')가 각각 제1걸림턱(15)과 제2걸림턱(도시안됨)을 넘어 이탈되어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개봉부(13)가 폐쇄되게 된다. 이러한 폐쇄상태로 인해 음용자가 일시에 음용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는 캔 내용물이 초기의 완전 밀봉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은 회전력에 의한 개폐가 자유로워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캔 뚜껑부(12)와 캔 몸체(11) 사이에 마련된 주변홈(14)에 내용물이 잔류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며, 레버, 고정핀 등과 같은 종래의 캔제품의 구성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내용물을 내장할 수 있고 캔의 개봉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캔 몸체(11) 돌출부의 일부를 탈락시켜 개봉부(13)가 마련된 원통형의 캔 몸체(11) 및 상부면의 일측에 개봉부(13)가 마련되고 그 개봉부(13)의 주변을 따라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는 캔 뚜껑부(12)와,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2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 개봉부(23), 밀봉부재(25) 하부면에 개봉부(23)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어 캔 개봉시 상기 캔 몸체(11)의 걸림턱(15)과 밀착되는 한쌍의 제1돌기부(21, 21')와 폐쇄시 밀착되는 한쌍의 제2돌기부(22, 22')와 회전개폐시 상기 캔 뚜껑부(12)의 개봉부(13)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배출구 밀폐부재(24, 24')가 구비되고, 상기 캔 뚜껑부(12) 상부면에 장착되며, 캔 몸체의 돌출부(1)의 외경보다 커 그 외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27)로 구성된 회전개폐식 마개(2)를 구비한 음료캔(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1돌기부(21, 21')와 제2돌기부(22, 22')가 그 사이에 안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간의 간격이 회전에 의해 캔 뚜껑부(12)의 걸림턱(15)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캔(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부(21, 21'), 제2돌기부(22, 22') 및 배출구밀폐부재(24, 24')가 가요성 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캔(1).
KR2020010031601U 2001-10-16 2001-10-16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KR200261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01U KR200261768Y1 (ko) 2001-10-16 2001-10-16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01U KR200261768Y1 (ko) 2001-10-16 2001-10-16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768Y1 true KR200261768Y1 (ko) 2002-01-24

Family

ID=7311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01U KR200261768Y1 (ko) 2001-10-16 2001-10-16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7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4506B2 (en) Sealing mechanism for beverage container
US6257463B1 (en) Aseptic closure for containers of liquids
US4796774A (en) Removable and resealable lid for a container
US8360256B2 (en) Storage and drinking container having cap and retaining ring
US6079588A (en) Resealable container cover
WO1999064312A1 (en) Closure with dual hinge means
JP5055374B2 (ja) 主に飲料用に意図した容器の端部閉鎖体
JP4451064B2 (ja) 開口組立体
US6401949B1 (en) Sealing membrane for baby bottle or other fluid container
KR200261768Y1 (ko)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US20070108214A1 (en) Retractable straw device
JP3074173B1 (ja) ボトル容器蓋体の開閉構造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JP3027910U (ja) 飲料用缶及び飲料用容器
WO2020055316A1 (en) Lid for beverage bottle and use of a beverage bottle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US20240109696A1 (en) Closure assembly for a container
JP3681237B2 (ja) 簡易開閉式容器
KR200174381Y1 (ko)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KR200319828Y1 (ko) 캔용기용 마개
JP4530454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395481Y1 (ko) 푸쉬타입 음료 용기의 개폐 구조
KR20230100396A (ko) 밀폐용 용기커버
KR200243403Y1 (ko) 보관용기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