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381Y1 -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 Google Patents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381Y1
KR200174381Y1 KR2019990019648U KR19990019648U KR200174381Y1 KR 200174381 Y1 KR200174381 Y1 KR 200174381Y1 KR 2019990019648 U KR2019990019648 U KR 2019990019648U KR 19990019648 U KR19990019648 U KR 19990019648U KR 200174381 Y1 KR200174381 Y1 KR 200174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casing
seating groov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배
Original Assignee
박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배 filed Critical 박정배
Priority to KR2019990019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3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알루미늄이나 스틸로 이루어져서 음식물이 내장된 캔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개방된 캔의 밀봉이 가능하여 먹고남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개 구조물캔은 알루미늄 캔의 원통형 몸체의 상부면 상에서 힌지축에 의해 360도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원통형 케이싱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스프링과 원형의 연결부재가 수직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뚜껑이 부착된다. 상기 상부면에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음료수 배출구 주위에는 한쌍의 원형 돌출부가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상기 원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쌍의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면 상에는 상기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안착홈과 제 2 안착홈이 열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홈의 방사상 양단에는 상기 음료수 배출구가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착홈의 방사상 양단에는 원형의 오목한 제 3 안착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Rotatable cover structure for a dringking water can}
본 고안은 음료용 캔의 마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스틸로 이루어져서 음식물이 내장된 캔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개방된 캔의 밀봉이 가능하여 먹고남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 맥주, 각종 쥬스, 식혜나 수정과와 같은 전통 음료가 담겨져서 밀봉된 상태로 시판되는 알루미늄 캔은 소비자가 음료수 배출구를 손쉽게 개방시켜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하는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원터치식(one-touch type)으로 한번에 음료수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구조가 개선된 뚜껑이 알루미늄 캔에 부착되어 판매되고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 구조물이 장착된 음료용 캔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음료용 캔(10)은 음료수가 내장된 원통형의 몸체(12)를 구비한다. 몸체(12)의 상부면 상에는 음료수 배출구를 막고있는 뚜껑(11)을 개방시키기 위한 손잡이(14)가 부착된다. 손잡이(14)는 고정핀(13)에 의해서 일측이 몸체(12)의 상부면 상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손가락 걸음부(15)에 손가락을 넣어서 윗쪽으로 당길 때 뚜껑(11)이 몸체(12)의 내부 공간쪽으로 밀리면서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음료용 캔(10)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 걸음 부(15)에 손가락을 넣어서 걸음부(15)를 윗쪽으로 힘있게 당겨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힘이 없는 어린이나 부녀자는 뚜껑(11)을 개방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 걸음부(15)가 몸체(12)의 상부면 상에 근접하여 위치된 경우에는, 손가락 걸음부(15)에 손가락을 넣기가 어렵고, 억지로 손가락을 넣다가는 손가락의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뚜껑(11)을 개방시킬 때 손잡이(14)의 손가락 걸음부(15)가 고정핀(13)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캔의 내용물을 마실 경우 손잡이(14)의 손가락 걸음부(15)가 코 끝에 걸려서 마시기 불편하다.
또한, 일단 뚜껑(11)을 개방시키게 되면, 캔의 내용물을 한번에 다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캔(10)의 뚜껑(11)을 개방시킨 경우에는 다시 뚜껑(11)을 닫을 수가 없기 때문에, 남은 음식물을 그대로 버리거나, 아니면 먹고남은 캔 내용물의 일부를 개방된 상태 그대로 보관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맥주나 탄산수와 같은 내용물을 뚜껑(11)이 개방된 상태로 보관하면, 내용물 중의 탄산가스가 공기중으로 배출되어 거의 아무런 맛도 나지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수가 내장된 캔을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음료수를 마시기에 편리하고 개방된 캔의 밀봉이 가능하여 먹고남은 음료수를 보관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이 장착된 음료용 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 캔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개 구조물이 장착된 음료용 캔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음료용 캔 11,36 : 뚜껑
12,22 : 몸체 13 : 고정핀
14,32 : 손잡이 21 : 상부면
23a,23b,25 : 안착홈 24 : 음료수 배출구
27a,27b : 돌출부 30 : 마개 구조물
31 : 힌지축 33 : 케이싱
34 : 뚜껑부 35 : 스프링
38a,38b : 걸림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바닥이 막혀있고 속이 비어있는 알루미늄 캔의 원통형 몸체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는 마개 구조물로서,
상기 상부면 상에서 상기 몸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 중앙에 배치된 힌지축에 의해서 상기 상부면 상에 360도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일체로 부착된 원통형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는 스프링과 원형의 연결부재가 수직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는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뚜껑이 부착된 원통형의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에는 다수의 음료수 배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료수 배출구 주위에는 한쌍의 원형 돌출부가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상기 원형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쌍의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면 상에는 상기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안착홈과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착홈과 상기 제 2 안착홈은 상기 상부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홈의 방사상 양단에는 상기 음료수 배출구가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착홈의 방사상 양단에는 원형의 오목한 제 3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은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과 상기 케이싱의 방사상 하단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은 알루미늄 캔의 상부면 상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직선형 손잡이와 직선형 손잡이의 양단에 설치된 뚜껑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원터치식 캔뚜껑에 비해서 음료수 배출구를 개방시키기가 용이하고, 음료수를 마시다가 일부를 그대로 남기는 경우에도 음료수 배출구를 다시 치밀하게 폐쇄시켜서 남긴 음료수를 최초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게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이 장착된 음료용 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 캔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30)은 탄산음료, 맥주, 각종 쥬스, 식혜나 수정과와 같은 전통 음료가 담겨진 알루미늄 캔 (20)의 상부면(21) 상에 장착된다. 즉, 마개 구조물(30)은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음료수 배출구(2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알루미늄 캔(20)은 바닥이 막혀있고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의 몸체(22)를 구비한다.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 장착되는 마개 구조물(30)은 상부면 (21) 상에서 몸체(2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직선형 손잡이(32)를 구비한다. 손잡이(32)는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중앙에 배치된 힌지축(31)에 의해서 상부면(21) 상에 360도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손잡이(32)의 양단에는 원통형의 뚜껑부(34)가 장착된다. 힌지축(31)은 손잡이(32)와 상부면(21)을 관통하여 알루미늄 캔(2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힌지축(31)의 하부는 알루미늄 캔(20)의 내부에서 상부면(21)의 밑면상에 고정된다.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는 직선형의 손잡이(32)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안착홈(23a)과 제 2 안착홈(23b)이 형성된다. 제 1 안착홈(23a)과 제 2 안착홈(23b)은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서 상부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안착홈(23a)은 알루미늄 캔(20)이 시판될 때 손잡이(32)가 최초로 고정되는 곳이며, 제 1 안착홈(23a)의 방사상 양단에는 음료수 배출구(24)가 상부면 (21)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안착홈(23b)은 사용자가 알루미늄 캔(20) 내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하여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손잡이(32)를 돌렸을 때 손잡이(32)가 일시적으로 안착되는 곳이며, 제 2 안착홈(23b)의 방사상 양단에는 원형의 오목한 제 3 안착홈(25)이 상부면(21)에 형성된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2)의 양단에는 원통형의 뚜껑부(34)가 장착되는데, 뚜껑부(34)는 손잡이(32)의 양단에 일체로 부착된 원통형 케이싱(33)을 구비한다.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33) 내에는 스프링(35)과 원형의 연결부재(37)가 수직하게 일렬로 배치된다. 스프링(35)의 상단부는 케이싱(33)의 내측 상부면 상에 고정되고, 스프링(35)의 하단부는 연결부재(37)의 상부면 상에 고정 연결된다.
연결부재(37)의 하부에는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뚜껑(36)이 부착된다. 뚜껑(36)은 케이싱(3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케이싱(33)에 대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뚜껑(36)은 전체적으로 약 1∼1.2mm의 높이를 갖는다. 뚜껑(36)과 케이싱(33)의 방사상 하단 사이에는 약 1∼1.2mm의 간격(G)이 유지된다. 이 간격(G)은 뚜껑(36)의 전체 높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마개 구조물(30)로 음료수 배출구(24)를 폐쇄시킬때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서 뚜껑(36)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마련된 여유공간이다.
뚜껑(36)은 마개 구조물(30)이 본체(22)의 상부면(21) 상에 최초로 장착될 때, 음료수 배출구(24) 내로 일부분이 들어간 상태하에서 음료수 배출구(24)를 폐쇄한다. 뚜껑(36)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한쌍의 오목한 걸림홈(38a,38b)이 형성된다. 걸림홈(38a,38b)은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서 음료수 배출구(24) 주위에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쌍의 원형 돌출부(27a,27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의 작동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30)이 장착되서 시판중인 알루미늄 캔(20)을 구입하여 캔(20) 내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시려는 경우에, 사용자는 마개 구조물(30)의 직선형 손잡이(32)를 손으로 쥐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서 음료수 배출구(24)를 막고있던 뚜껑(36)이 개방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음료수 배출구(24)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손잡이(32)를 돌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21)의 원형 돌출부(27a,27b)에 끼워져 있던 뚜껑(36)의 걸림홈(38a,38b)이 돌출부(27a,27b)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음료수 배출구(24) 내에 일부분이 들어가있던 뚜껑(36)이 케이싱(33) 내에 위치되어 뚜껑(36)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서 약 1∼1.2mm 정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뚜껑(36)의 아랫부분이 본체(22)의 상부면(2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손잡이(32)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손잡이(32)와 뚜껑부(34)는 상부면(21) 상에 형성된 제 2 안착홈(23b)과 제 3 안착홈(25)내로 안착되고, 사용자는 개방된 음료수 배출구(24)를 통해서 캔(20) 내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된다. 사용자가 음료수를 다마신후 손잡이(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손잡이(32)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최초 위치, 즉 제 1 안착홈(23a)에 안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뚜껑부(34)의 뚜껑(36)은 음료수 배출구(24)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뚜껑(36)의 걸림홈(38a,38b)은 상부면(21)의 돌출부(27a,27b)로 미끄러지듯이 끼워맞추어지고, 뚜껑(36)은 걸림홈(38a,38b)과 돌출부(27a,27b)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서 음료수 배 출구(24)를 치밀하게 다시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30)은 알루미늄 캔(20)의 상부면(21) 상에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직선형 손잡이(32)와 직선형 손잡이(32)의 양단에 설치된 뚜껑부(34)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원터치식 캔뚜껑에 비해서 음료수 배출구를 개방시키기가 용이하다. 특히, 힘이없는 어린이나 부녀자도 손쉽게 음료수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수 배출구를 개방하여 음료수를 마시다가 일부를 그대로 남기는 경우에도 음료수 배출구를 다시 치밀하게 폐쇄시켜서 남긴 음료수를 최초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게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바닥이 막혀있고 속이 비어있는 알루미늄 캔(20)의 원통형 몸체(22)의 상부면(21) 상에 장착되는 마개 구조물(30)로서,
    상기 상부면(21) 상에서 상기 몸체(22)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21) 상에 360도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 손잡이(32); 그리고
    상기 손잡이(32)의 양단에 일체로 부착된 원통형 케이싱(33)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33) 내에는 스프링(35)과 원형의 연결부재(37)가 수직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37)의 하부에는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뚜껑(36)이 부착된 원통형의 뚜껑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21)에는 다수의 음료수 배출구(24)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음료수 배출구(24) 주위에는 한쌍의 원형 돌출부(27a,27b)가 상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뚜껑(36)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상기 원형 돌출부(27a,27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한쌍의 오목한 걸림홈(38a,3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상부면(21) 중앙에 배치된 힌지축(31)에 의해서 상기 상부면(21) 상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면(21) 상에는 상기 손잡이(32)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안착홈(23a)과 제 2 안착홈(23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착홈(23a)과 상기 제 2 안착홈(23b)은 상기 상부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착홈(23a)의 방사상 양단에는 상기 음료수 배출구(24)가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안착홈(23b)의 방사상 양단에는 원형의 오목한 제 3 안착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5)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33)의 내측 상부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35)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재(37)의 상부면 상에 고정 연결되며, 상기 뚜껑은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부재(37)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싱(3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33)에 대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36)과 상기 케이싱(33)의 방사상 하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G)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구조물.
KR2019990019648U 1999-09-14 1999-09-14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KR200174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648U KR200174381Y1 (ko) 1999-09-14 1999-09-14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648U KR200174381Y1 (ko) 1999-09-14 1999-09-14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381Y1 true KR200174381Y1 (ko) 2000-03-15

Family

ID=1958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648U KR200174381Y1 (ko) 1999-09-14 1999-09-14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3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4113A (en) Container lid assembly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4238045A (en) Lip openable closure for containers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6079588A (en) Resealable container cover
US11279531B2 (en) Beverage can cap
US20030102313A1 (en) Universal beverage can cover
JP3626411B2 (ja) 飲料容器
US5150869A (en) Multi-functional coaster
KR200174381Y1 (ko) 음료용 캔에 사용되는 회전 개폐식 마개 구조물
JP362004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3075175B2 (ja) 液体容器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JP4514613B2 (ja) 2ピース製ヒンジキャップ
KR200261768Y1 (ko) 회전개폐식 마개를 구비한 음료캔
WO2010109341A1 (en) Rotatable can cover having two openings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KR200199549Y1 (ko) 음료수 보관용 캔 용기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H0330014Y2 (ko)
KR200331138Y1 (ko) 탄산음료 용기
KR200224225Y1 (ko) 용기 마개
KR200275245Y1 (ko) 오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