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033Y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033Y1
KR200261033Y1 KR2019990006540U KR19990006540U KR200261033Y1 KR 200261033 Y1 KR200261033 Y1 KR 200261033Y1 KR 2019990006540 U KR2019990006540 U KR 2019990006540U KR 19990006540 U KR19990006540 U KR 19990006540U KR 200261033 Y1 KR200261033 Y1 KR 200261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foot
shoe
propulsion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413U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2019990006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0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033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을 신으면 편안하고 뒤꿈치뼈(종골뼈)의 안정성을 위한 뒤꿈치 보호대와 보행시 전족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는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 바깥쪽 부분은 통상의 길이로, 발 안쪽 부분은 발의 중간부분까지 연장하여 발뒤꿈치와 발의 중간부분까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발뒤꿈치 보호대(컵)(1)과, 상기 발뒤꿈치보호대(1)는 중간착지시 발의 과회외(Supination)운동을 조절하여 발목의 접질증을 예방시키는 측면보호대(9)와, 뒤꿈치 닿기 시 종골과 거골 하관절의 안정을 위한 뒤꿈치안정 장치로 종골을 지표면과 수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힐컵(10)과, 중간 착지 시에 발의 과회내(Pronation)운동을 조절하고 발을 안정시켜 추진시 유연성과 연결시키는 중족보호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뒤꿈치 보호대(컵)(1)에 형성된 봉제선(2)과, 상기 봉제선(2)의 하부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중창(3)과, 상기 중창(3)의 하부에 위치하며, 보행시 추진시에 유연성 증대를 위하여 중족골 전체에 골고루 수용하여 발의 앞쪽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도록 앞쪽 윗부분의 1/3부분에 추진력패드(6)나 에어튜브(7)나 추진력홈라인(8)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밑창(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을 신으면 편안하고 뒤꿈치뼈(종골뼈)의 안정성을 위한 뒤꿈치 보호대와 보행시 전족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는 밑창으로 구성된 신발로서, 특히 소아의 보행시 편리성과 안정성을 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나 운동화 등을 신고 장시간 보행 등을 하게 될 경우 신발의 뒤축에서 지면과의 충격력이 발뒤꿈치에 전해져 발, 다리의 피로를 급속하게 가중시킴과 동시에 다리뼈를 지나 척추뼈에도 전해져 전신의 피로를 빨리 오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보행시 바닥창이 딱딱해 원만한 추진력을 갖기 어려웠다.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5-1971호는 신발의 뒤축내부에 삽입시켜 보행시의 발뒤꿈치를 완충토록 하는 발뒤꿈치 완충구에 관한 것이고,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0-9011호는 발굽 접합부분에 보강테를 접착시켜 보다 착용감을 좋게 하면서 양면과 후면에뚫린 장공으로는 착색된 상표가 표시된 비닐표찰부를 용착하는 신발 뒷굽 보강테에 관한 것이며,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평1-139707호는 발뒤꿈치부가 일체가 된 신발밑창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1-3427호는 보행중에 인체에 전해지는 충격의 감소와 오물의 튀어 오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창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발들은 발뒤꿈치의 보호와 보행시 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나 발 전체를 보호하거나 보행시 앞발에 추진력을 주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뒤꿈치를 보호할 뿐 아니라 발의 중간부분까지 보호하도록 연장한 발뒤꿈치보호대를 형성하고, 신발밑창을 전반부 1/3부분에 추진력패드, 에어튜브, 및 추진력을 위한 홈을 형성시켜 뒤꿈치뼈(종골뼈)의 안정성과 보행시 전족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 본 고안의 신발 및 뒤꿈치뼈 보호대
(1-A) 신발 측면도 (1-B)신발 후면도
(1-C) 발뒤꿈치보호대 평면도 (1-D)신발 정면도
제2도 본 고안의 신발 추진력 밑
(2-A)추진력패드가 형성된 밑창
(2-B)추진력에어튜브가 형성된 밑창
(2-C)추진력홈라인이 형성된 밑창
제3도 본 고안의 신발 내부 상세도
<도면의 부호>
(1)발뒤꿈치 보호대 (2)봉제선 (3)중창 (4)신발 (5)밑창
(6)추진력패드 (7)에어튜브 (8)추진력 홈라인 (9)측면보호대
(10)힐컵(뒤꿈치보호대) (11)중족보호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발뒤꿈치 보호대를 발의 바깥부분은 통상의 길이로 하고, 그 반대의 안쪽부분은 발의 중간부분까지 연장시켜 보행시 발뒤꿈치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발뒤꿈치 보호대의 봉제선 위에 깔창을 형성시켜 봉제선의 아래부분은 깔창밑에 위치하게 하며, 밑창의 앞쪽 윗부분의 1/3부분에 추진력을 갖도록 추진력패드나 에어튜브 또는 추진력홈라인을 형성시켜 보행시 앞발의 원만한 추진력을 위한 신발의 밑창이 형성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의 구조에 있어서 정상 발달된 뒤꿈치의 구조를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발의 뼈 중에서 다른 뼈의 비정상보다 뒤꿈치뼈의 비정상은 발에 치명적이다. 뒤꿈치는 발에서 몸의 체중을 직접 전달받아 서있을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뒤꿈치에 충격을 가하면 다리를 통하여 척추를 통해 뇌에 직접 전달되는 신체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뒤꿈치의 구조가 뒤틀리거나 비정상일 때 보행자세가 정상적이지 못하여 보행시의 진동으로 머리가 나빠지거나, 신체의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성장되어 잦은 병치레를 하고, 유전적으로 약한 부분이 빨리 악화되며, 비정상적인 보행모습으로 보기에도 좋지 않아 제삼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는 등의 영향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아들은 발육이 완성되지 않은 채 걸음마를 배울 때부터 소아의 신체에 알맞은 신발은 선택해야 뒤꿈치뼈가 정확한자리에 위치하여 성장해야 잔병이 없어지며, 성장도 빨라지며 전체적인 신체의 균형과 날씬한 몸매를 갖고 발육할 수 있다.
종래의 뒤꿈치의 컵은 견고하지 못하여 보행시 좌우 흔들림을 방치할 수밖에 없으며, 보행시 뒤꿈치와 발의 중간부분까지 흔들림을 방지하며 본 고안의 발뒤꿈치보호대의 봉제선에 따라 신발창을 일체화하여 뒷꿈치뼈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 주어야 신체가 곧고 그로 인하여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1은 본 고안의 발뒤꿈치보호대로서 (1-A)는 신발 측면도,(1-B)는 신발 후면도, (1-C)는 발뒤꿈치보호대 평면도, (1-D)는 신발 정면도, 제2도 본 고안의 신발 추진력 밑창으로서, (2-A)는 추진력패드가 형성된 밑창, (2-B)는 추진력에어튜브가 형성된 밑창, (2-C)는 추진력홈라인이 형성된 밑창 및 도3은 본고안의 내부상세도를 도시하였고, (1)은 발뒤꿈치 보호대 (2)봉제선 (3)중창 (4)신발 (5)밑창 (6)추진력패드 (7)에어튜브 (8)추진력홈라인 (9)측면보호대 (10)힐컵(뒤꿈치보호대) (11)중족보호대임을 알 수 있다.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의 발뒤꿈치 보호대(1)은 발바깥쪽부분은 통상의 길이로, 발 안쪽 부분은발의 중간부분까지 연장하여 발뒤꿈치와 발의 중간부분까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발뒤꿈치 보호대(1)에 형성된 봉제선(2)의 하부 부분은 중창(3)의 밑으로 형성시켰다.
상기 중창(3)의 아래에 형성된 밑창(5)의 앞쪽 윗부분의 1/3부분에 추진력패드(6), 에어튜브(7) 또는 추진력홈라인(8)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로서, 보행시 발뒤꿈치와 발의 중간부분까지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고, 신발창 봉제선에 따라 깔창(3)을 올려놓음으로써, 일체화시켜 발뒤꿈치뼈를 더욱 정확한 위치로 잡을 수 있게 하였으며, 밑창(5)은 앞쪽윗부분의 1/3부분에 추진력패드(6)나, 에어튜브(7)나, 추진력홈선(8)을 형성시켜 보행시 추진시에 유연성 증대를 위하여중족골 전체에 골고루 수용하게 하여 발의 앞쪽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도록 고안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도3의 발뒤꿈치보호대(1)는 (9)측면보호대 (10)힐컵(11)중족보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보호대(9)는 중간착지시 발의과회외(Supination)운동을 조절하여 발목의 접질증을 예방하고, 힐컵(10)은 뒤굼치 닿기시 종골과 거골하관절의 안정을 위한 뒤꿈치안정 장치로 종골을 지표면과 수직으로 하도록 유도하며, 중족보호대 (11)는 중간착지시에 발의 과회내(Pronation)운동을 조절하고 발을 안정시켜 추진시 유연성과 연결시킨다.
본 고안의 발뒤꿈치 보호대(1)과 밑창(5)을 장착한 신발은 어느 형태나 무방하나 운동화나 등산화 등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용에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행시 뒤꿈치뼈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뒤꿈치뿐만 아니라 발의 중간부위까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행시 발의 앞부분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게 하여 정상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강한 신체구조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아의 보행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위하며, 정상적인 신체발달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신발에 있어서, 발바깥쪽 부분은 통상의 길이로, 발안쪽 부분은 발의 중간부분까지 연장하여 발뒤꿈치와 발의 중간부분까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발뒤꿈치 보호대(컵)(1)과, 상기 발뒤꿈치보호대(1)는 중간착지시 발의 과회외 (Supination)운동을 조절하여 발목의 접질증을 예방시키는 측면보호대(9)와,
    뒤굼치 닿기시 종골과 거골하관절의 안정을 위한 뒤꿈치안정 장치로 종골을 지표면과 수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힐컵(10)과, 중간착지시에 발의 과회내 (Pronation)운동을 조절하고 발을 안정시켜 추진시 유연성과 연결시키는 중족보호대(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뒤꿈치 보호대(컵)(1)에 형성된 봉제선(2)과, 상기 봉제선(2)의 하부부분의 상부에 형성된 중창(3)과, 상기 중창(3)의 하부에 위치하며, 보행시 추진시에 유연성 증대를 위하여 중족골 전체에 골고루 수용하여 발의 앞쪽의 원만한 추진력을 갖도록 앞쪽 윗부분의 1/3부분에 추진력패드(6)나 에어튜브(7)나 추진력홈라인(8)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밑창(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19990006540U 1999-04-20 1999-04-20 신발 KR200261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540U KR200261033Y1 (ko) 1999-04-20 1999-04-20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540U KR200261033Y1 (ko) 1999-04-20 1999-04-20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413U KR19990033413U (ko) 1999-08-05
KR200261033Y1 true KR200261033Y1 (ko) 2002-01-19

Family

ID=5475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540U KR200261033Y1 (ko) 1999-04-20 1999-04-20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0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413U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651A (en) Sole with V-oriented flex grooves
US7143530B2 (en) Soccer shoe having independently supported lateral and medial sides
ES2312707T3 (es) Suela de calzado.
EP0925000B1 (en)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CA2339446C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CA1205627A (en) Sole for athletic shoe
US20010032400A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US6272773B1 (en) Riding shoe
HK1075585A1 (en) Articulated welt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200390192A1 (en) Orthopedic insoles for use in open footwear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US5778561A (en) Comfort insole
JP2005013682A (j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JP2002282012A (ja) 靴中敷および靴底の構造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KR200395056Y1 (ko) 충격 완화용 인솔
WO1999020134A1 (en) Footwear having a protuberance
KR200261033Y1 (ko) 신발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JP3177013U (ja) ハイヒール用インソール及び同インソールを具備したハイヒール
US20200170825A1 (en) Footwear to correct pronation issues
KR101751204B1 (ko) 신발
KR200321705Y1 (ko) 신발의 밑창
US20220312892A1 (en) Footwear sole with a midfoot lateral extension to increase lateral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