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92Y1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Google Patents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0292Y1 KR200260292Y1 KR2020010030897U KR20010030897U KR200260292Y1 KR 200260292 Y1 KR200260292 Y1 KR 200260292Y1 KR 2020010030897 U KR2020010030897 U KR 2020010030897U KR 20010030897 U KR20010030897 U KR 20010030897U KR 200260292 Y1 KR200260292 Y1 KR 2002602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band
- strap
- fut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침시 사람이 덮은 이불이 이탈되지 않게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침상의 좌·우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좌·우측면의 고정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띠로 구성되며, 상기 띠에는 통상의 이불이 그 상단에서 소정길이 이격된 부위에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이불 고정기구는 사용자가 침상에 편안하게 누운 후 이불을 덮었을 때 상기 고정기구의 띠가 사용자가 몸부림의 동작이 적은 인체의 명치부(침상 위쪽 끝단에서 500∼600㎜범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 위치에서 이불과 띠를 결합시키고, 또한 띠의 양 끝단에 고리로 침상의 고정대에 연결함으로서 이불은 취침자의 가슴부분은 들리고 인체의 측면은 늘어뜨려서 감싸는 구조를 제공하며, 고정대는 사용자가 취침시에는 상기 고정대가 가슴두께높이로 위로 솟아 있다가 사용을 안 할 때는 상하 또는 좌우로 접는 구조를 갖춰 돌출되지 않게 하고, 또한 띠의 양 말단에는 신축성 있는 고무밴드를 장착되고, 밴드끝단에는 고리가 달려 있어 고정띠를 상기 고정대에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고 띠가 탄력성있게 유지되어, 취침시 심한 몸부림에 의한 침상에서 떨어지는 문제방지와 취침자가 느끼는 이불의 중량감을 줄여주는 작용효과가 있어 취침자에게 보다 안락한 취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취침 시 사람이 덮은 이불이 이탈되지 않게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상적으로 사람(특히 유아 및 어린이)이 잠잘 때 침대나 방바닥에서 담요를 깔고 그 위에 이불을 덮고 자는데 이때 수면간에 무의식적인 몸부림을 치더라도 이불이 덮혀진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간은 수면시 인체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불을 덮고 자는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온돌구조의 주거환경에서는 방바닥은 따뜻하지만 실내공기가 전체적으로 따뜻하지 못하여 기온이 낮은 밤에는 체온 유지를 위하여 필히 이불을 덮고 자야하는데 취침자가 종종 취침 중 무의식적으로 이불을 밀쳐내서 인체가 보온이 안되어 감기나 배탈 등의 질병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취침 중의 몸부림이 심하여 이불을 밀쳐 내거나 2명이 자다가 한 명이 이불을 당겨가서 다른 한 명이 이불을 덮지 못하여 감기나 배탈 등의 병이 걸리는 경우가 왕왕있으며, 이럴 경우 우선 병원에 가서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때 진료비, 교통비, 소요시간 등의 손실이 발생되고, 이러한 경험을 해본 부모는 자녀의 불특정한 몸부림과 그 행위시간에 대해 많은 부담을 가지면서 취침시간에 잠도 깊게 자지 않으려고 노력을 하는 생활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이불 덮은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하게 되는 큰 불편을 겪으며 살고 있다. 그리고 울타리가 없는 침대를 사용할 때는 취침자가 몸부림에 의해 드물게는 침대에서 굴러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의 주시하여 관찰한 결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면 중의 무의식에 의한 몸부림등이 있는 경우에도 취침자가 덮고 있는 이불이 취침자의 몸에서 이탈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취침자의 신체를 전혀 구속하지 않아 편안한 취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이외에도 취침자가 몸부림에 의해 일정한 취침구역에서 과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그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아 쾌적한 취침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사용하여 이불 속에서 취침중인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침상이 1인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침상이 2인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2의 침상이 유아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의 침상이 온돌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상 3 --- 띠 4 --- 고정대
5 --- 이불 7 --- 고무밴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상의 좌·우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좌·우측면의 고정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띠로 구성되며, 상기 띠에는 통상의 이불이 그 상단에서 소정길이 이격된 부위에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침상에 편안하게 누운 후 이불을 덮었을 때 상기 띠가 명치근처에 오도록 위치를 잡아서 이불과 띠를 결합시키는데, 이때 결합 수단으로는 통상의 지퍼 또는 바느질, 단추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침상 양쪽 고정대에서 100㎜정도까지 결합시키고 이불을 양측 끝단은 길게 하여 필요시 고정대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침상의 측면 구조물에는 상기 고정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구멍조(Mounting holes set)를 등 간격으로 3개 이상 구비함을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침상의 고정대는 그 중앙에 경첩등이 설치되어 상하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는 상기 장착 구멍조를 중심으로 좌·우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불 고정 띠의 좌·우단에는 신축성있는 고무밴드가 장착되고 상기 고무밴드 말단에는 상기 고정대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고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는 상기 띠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Guard)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이불 고정기구는 사용자가 침상에 편안하게 누운 후 이불을 덮었을 때 상기 고정기구의 띠가 사용자가 몸부림의 동작이 적은 인체의 명치부(침상 위쪽 끝단에서 500∼600㎜범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 위치에서 이불과 띠를 결합시키고, 또한 띠의 양 끝단에 고리로 침상의 고정대에 연결함으로서 이불은 취침자의 가슴부분은 들리고 인체의 측면은 늘어뜨려서 감싸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취침자에게 보다 안락한 취침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이불 고정기구는 사용자가 취침시에는 상기 고정기구가 가슴두께높이로 위로 솟아 있다가 사용을 안 할 때는 상하 또는 좌우로 접는 구조를 갖춰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취침시 심한 몸부림에 의한 침상에서 떨어지는 문제방지와 취침 후 잠자리의 정리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구성에 따라 이불 고정띠의 양 말단에는 신축성있는 고무밴드를 장착되고, 밴드끝단에는 고리가 달려 있어 고정띠를 상기 고정대에 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고 띠가 탄력성있게 유지되어 취침자가 느끼는 이불의 중량감을 줄여주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사용하여 이불 속에서 취침중인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의 우측면도로서, 부호 1은 침상이고, 부호 2는 사용자 가슴의 명치부위를 나타내고 부호 3은 이불과 결합된 띠로 부호 1의 침상 고정대4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명치부위2에 위치되는 상기 띠3는 머리위쪽 침상끝단에서 500∼600㎜범위에서 선택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침상1의 측면구조물에 고정대4를 장착할 수 있도록 침상1의 측면구조물에 조립용 구멍을 뚫는데,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명치위치조건에 적절히 맞추도록 되는 거리(500∼600㎜)별로 구멍조(mounting holes set)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대4는 침상에 장착되어 접히는 구조로 인체의 가슴두께이상 돌출시켜 상기 띠3를 고정시키고, 숨기고자 할 때는 띠의 고리를 풀고 접는다. 이렇게 돌출시켜 이불을 들어주면 이불과 띠를 고정하는 것 외에 이불의 중량감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어 보다 안락한 취침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띠3를 연결하는 고리에는 부호 7의 고무밴드가 있어 사용자가 침상에서 몸부림치거나 움직일 때 띠에 의한 구속감을 줄이고 신축성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고정대에서 띠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드(guard)가 설치된다.
부호 5의 이불은 사용자의 턱 밑에서 명치까지의 통상 거리인 400∼500㎜의 위치에서 띠3와 소정의 결합수단으로 결합시켜 이불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필요에 따라 이불을 고정시키는 띠를 사용자의 둔부위치에 더 추가할 수 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침상이 1인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침상이 2인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로, 1인용 침상인 경우는 이불5과 띠3를 결합시킬 때 양쪽 끝단은 고정대4에서 100㎜정도 띄우고, 2인용 침상인 경우는 부호 8의 칸막이가 이불5의 중앙에 위치되게 이불을 접어 내려서 형성되도록 띠3와이불5을 결합한다. 또한 띠3에서 늘어진 이불5의 양쪽 끝단은 침상까지 충분히 내려주고 필요시 끝단을 고정대4에 끼워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2의 침상이 유아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시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의 침상이 온돌용 침상인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로 부호 9의 베개 주머니를 담요 또는 이불에 부호 10의 결합기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이불의 자유로운 이탈을 방지하고 몸을 덮어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에 부가하여, 필요시 둔부에 띠가 이불과 결합되어 가슴두께보다 10∼20㎜높게 들어올려서 고정시키도록 기구를 형성시켜 취침중의 몸부림에 의한 이불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구성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은 명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2인용 침상에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이불의 중앙부를 접어서 도 4에 도시된 칸막이8를 형성하여 들뜨지 않고 몸통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보다 확실한 인체의 보온과 안락한 취침환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용 침상에 상기의 본 고안의 기구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띠3의 양단에는 고무밴드로 형성시키고, 부호 11의 다공판 또는 망사를 침상 칸막이의 내측에 부착시켜 칸막이 틀의 봉 사이에 취침자의 손이 끼는 문제를 방지토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침상에 이불을 띠로 고정할 때 몸부림동작이 적은 몸통의 명치에서 들어 올려 고정되므로 이불의 중량감을 적게 하고, 취침 중에 이불을 밀쳐 내어 취침 중 체온저하에 따른 감기나 배탈 등의 질병이 걸려 치료에 따른 금전과 시간의 손실이 일어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호자는 잠을 잘 때 깊은 숙면을 취해야 하나 자녀가 병에 걸리지 않도록 이불 덮은 상태 관리를 위해 오히려 선잠을 청하는 큰 불편을 겪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하여 보다 더 편안하게 깊은 숙면을 취하여 피로회복과 건강증진 효과를 얻는다. 부가적으로 침상양측에 고정대가 돌출되어 있어 심한 몸부림에 의한 침상에서 떨어지는 문제방지에도 도움이 되고, 취침자의 안정적인 인체보온에 신뢰가 쌓이면 실내의 난방온도를 종래의 이불 이용 때보다 낮추어 에너지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 침상의 좌·우측면에 부착되는 고정대와 상기 좌·우측면의 고정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띠로 구성되며, 상기 띠에는 통상의 이불이 그 상단에서 소정길이 이격된 부위에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침상의 측면 구조물에는 상기 고정대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구멍조(Mounting holes set)를 등 간격으로 3개 이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의 고정대는 그 중앙에 경첩등이 설치되어 상하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장착 구멍조를 중심으로 좌·우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 고정 띠의 좌·우단에는 신축성있는 고무밴드가 장착되고 상기 고무밴드 말단에는 상기 고정대에 용이하게 착탈될수 있는 고리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상단에는 상기 띠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Guard)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0897U KR200260292Y1 (ko) | 2001-10-10 | 2001-10-10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0897U KR200260292Y1 (ko) | 2001-10-10 | 2001-10-10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0292Y1 true KR200260292Y1 (ko) | 2002-01-10 |
Family
ID=7306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0897U KR200260292Y1 (ko) | 2001-10-10 | 2001-10-10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029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0088A (ko) * | 2003-07-16 | 2005-01-27 | 권혁윤 | 잠을 잘 때 차내버리지 않도록하는 이불 집게 |
CN108185709A (zh) * | 2017-12-31 | 2018-06-22 | 徐宇薪 | 调温湿防踢被仿生式寝具 |
WO2019156336A1 (ko) * | 2018-02-06 | 2019-08-15 | 경상대학교병원 | 낙상방지 보호대 |
-
2001
- 2001-10-10 KR KR2020010030897U patent/KR2002602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0088A (ko) * | 2003-07-16 | 2005-01-27 | 권혁윤 | 잠을 잘 때 차내버리지 않도록하는 이불 집게 |
CN108185709A (zh) * | 2017-12-31 | 2018-06-22 | 徐宇薪 | 调温湿防踢被仿生式寝具 |
CN108185709B (zh) * | 2017-12-31 | 2023-11-07 | 徐宇薪 | 调温湿防踢被仿生式寝具 |
WO2019156336A1 (ko) * | 2018-02-06 | 2019-08-15 | 경상대학교병원 | 낙상방지 보호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37482B2 (en) |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US6684437B2 (en) | Sleeping pad, bedding and bumpers to improve respirator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an infant and reduce the risks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and asphyxiation | |
US6023802A (en) | Infant sleeper | |
US9192244B2 (en) | Tunnel generating bed cooling system | |
US6415466B1 (en) | Pocket pillow and sheet for adult/crib elevation sleep aid | |
US20170203072A1 (en) | Detachable And Transportable CPAP Hose Holder | |
KR200260292Y1 (ko)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 |
US20080005837A1 (en) | Adaptable Foot Warmer / Blanket | |
KR101561452B1 (ko) |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 |
KR20090073411A (ko) | 유아용 안전 침구 | |
KR200307089Y1 (ko) |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안전기구 | |
JP4575686B2 (ja) | 就寝用襟掛け | |
KR102513069B1 (ko) |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이불 | |
KR200251327Y1 (ko) | 복부와 허리부 보온을 위한 보온조끼 | |
JP3034422U (ja) | ベッドの蒲団脱落防止柵 | |
KR20090106027A (ko) | 가슴 덮개 이불 | |
KR100533287B1 (ko) | 숙면용 건강 베개 | |
AU741953B3 (en) | Baby sleep safety apparatus | |
JP3081948U (ja) | 掛け布団 | |
KR20110006777U (ko) | 어깨 보온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불 | |
JP3095966U (ja) | 毛 布 | |
JP3030612U (ja) | 肩掛付き覆載寝具用品 | |
KR200329378Y1 (ko) | 숙면용 건강 베개 | |
GB2460699A (en) | A sleeping ring for a baby | |
JP3149755U (ja) | 肩・首防寒寝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0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