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68Y1 -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 Google Patents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68Y1
KR200260268Y1 KR2020010029867U KR20010029867U KR200260268Y1 KR 200260268 Y1 KR200260268 Y1 KR 200260268Y1 KR 2020010029867 U KR2020010029867 U KR 2020010029867U KR 20010029867 U KR20010029867 U KR 20010029867U KR 200260268 Y1 KR200260268 Y1 KR 200260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sonry
masonry wall
build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석
고영관
Original Assignee
고대석
고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대석, 고영관 filed Critical 고대석
Priority to KR2020010029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68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의 접합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를 견고하고 탄력적인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건물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양벽체를 연결하고 있는 신축연결구에 의해 조적벽체가 콘크리트벽체에 대해 신축적으로 대응토록 함으로써 조적벽체의 균열발생을 막아 건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되어 콘크리트벽체(1)의 앵커구멍(11)내에 끼워져 박히는 앵커재(31)와, 상기 앵커재(31)내에 후단부가 강제로 끼워지는 심재(32)와, 상기 심재(32)의 선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조적벽체(2)의 벽돌(21)과 벽돌(21)사이에 위치되게 한 신축재(33)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이다.

Description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flexible joint device for joint between concrete column and block wall}
본 고안은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의 접합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를 견고하고 탄력적인 결합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건물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양벽체를 연결하고 있는 신축연결구에 의해 조적벽체가 콘크리트벽체에 대해 신축적으로 대응토록 함으로써 조적벽체의 균열발생을 막아 건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경우 기둥이나 내력벽은 콘크리트벽체로서 타설되고 이 콘크리트벽체에 대해 건물의 내부공간을 일정크기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조적벽체가 다수의 벽돌으로서 일정높이 조적 설치되는 것인바, 이 경우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의 접합면에 대한 연결이 지금까지는 단순히 몰탈로서 양벽체의 접합면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를 몰탈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시공 완료한 상태에서 건물에 충격이 가해지게되면 건물에 가해진 충격은 그대로 조적벽체에 전달되게되므로 콘크리트벽체와의 접합면이 파손되면서 조적벽체 자체가 붕괴되거나 조적벽체 전체에 균열이 발생되게되어 안전사고의 우려와 함께 결과적으로 건물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접합연결이 단순히 몰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따라 약한 충격에도 조적벽체가 붕괴되거나 균열을 발생시키게 되는 종래의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연결수단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벽체의 조적벽체 접합면 임의위치에 일정부분 매립 설치되어 신축재로되는 그 돌출부가 조적벽체의 줄눈면에 몰탈과 함께 매립되도록 하여 조적벽체가 콘크리트벽체에 견고하고 탄력적으로 연결 접합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건물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조적벽체가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여 건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연결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신축연결구의 설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연결구의 설치 사용상태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콘크리트벽체 2:조적벽체
11:앵커구멍 21:벽돌
31:앵커재 32:심재
33:신축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는,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되어 콘크리트벽체(1)의 앵커구멍(11)내에 끼워져 박히는 앵커재(31)와, 상기 앵커재(31)내에 후단부가 강제로 끼워지는 심재(32)와, 상기 심재(32)의 선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조적벽체(2)의 벽돌(21)과 벽돌(21)사이에 위치되게 한 신축재(33)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의 설치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의 설치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앵커재(31), 심재(32) 및 신축재(3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앵커재(31)는 콘크리트벽체(1)의 조적벽체(2) 접합면에 다수 형성되는 앵커구멍(11) 내에 강제로 타격하는 것에 의해 끼워져 박혀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소재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로되어 한번 콘크리트벽체(1)내에 매설되게되면 절대 빠지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한 심재(32)는 가는 직경의 금속봉 등으로 되어 그 후단부가 상기 앵커재(31)내에 강제적으로 박혀 삽입 설치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일정부분 콘크리트벽체(1)내에 삽입 설치되게 하고 콘크리트벽체(1)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되는 그 선단부에는 역시 합성수지재의 신축재(33)가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이 신축재(33) 부분이 다수 조적 설치되는 조적벽체(2)의 벽돌(21)과 벽돌(21)의 연결부에 몰탈과 함께 매설되게 된다.
상기한 신축재(33)는 뛰어난 탄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되어 심재(32) 선단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어 임의 벽돌(21)과 벽돌(21)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실질적으로 콘크리트벽체(1)를 통해 조적벽체(2)에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콘크리트벽체(1)와의 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조적벽체(2)로 전달되려는 충격을 신축재(33)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적벽체(2)의 붕괴나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A)의 실시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기 타설되어 설치된 콘크리트벽체(1)의 조적벽체 접합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앵커구멍(11) 내에 본 고안에 의한 신축연결구(A)의 앵커재(31)를 강제로 타격하여 박히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벽체(1)에 매설된앵커재(31)내에 금속재로 되어 선단 일정부분에는 합성수지재의 신축재(33)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심재(32)의 후단이 일정부분 박히도록 타격하여 설치하게되면 조적벽체(2)와의 연결을 위해 콘크리트벽체(1)에 대한 신축연결구(A)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후 조적벽체(2)와의 접합부에 다수의 신축연결구(A)가 설치된 콘크리트벽체(1)에 대해 다수의 벽돌(21)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식으로 조적하여 조적벽체(2)를 이루도록 하는 것인바, 이때 다수 조적되는 임의 벽돌(21)과 벽돌(21)의 접합부에 상기 콘크리트벽체(1)에 후단이 매설된 심재(32)의 신축재(33)가 위치되어 몰탈과 함께 매설되도록 다수의 벽돌(21)을 조적 설치하게되면 콘크리트벽체(1)와 조적벽체(2)는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신축연결구(A)에 의해 서로 탄력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외부충격이 콘크리트벽체(1)를 거쳐 조적벽체(2)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축연결구(A)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게되어 조적벽체(2)의 파손 및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콘크리트벽체(1)와 조적벽체(2)의 접합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는 선택적으로 몰탈 대신 신축조인트(4)를 투입, 충전함으로써 조적벽체(2)에 가해지는 충격을 신축연결구(A)와 함께 신축조인트(4)도 흡수할 수 있게하여 조적벽체(2)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에 의하면, 건물의 콘크리트벽체에 대해 비 내력벽으로서 다수의 벽돌을 조적하여 설치되는 조적벽체와의 접합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선단의 신축재가 조적벽체의 줄눈부분에 매설되고 후단의 앵커재는 콘크리트벽체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결합이 단순히 몰탈이 아닌 신축재와 심재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 것에 의해 건물에 가해지는 충격이 콘크리트벽체를 거쳐 조적벽체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직접 조적벽체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고 신축연결구에 의해 일차적으로 흡수되게되므로 건물의 조적벽체가 붕괴되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 건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되어 콘크리트벽체(1)의 앵커구멍(11)내에 끼워져 박히는 앵커재(31)와, 상기 앵커재(31)내에 후단부가 강제로 끼워지는 심재(32)와, 상기 심재(32)의 선단부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조적벽체(2)의 벽돌(21)과 벽돌(21)사이에 위치되게 한 신축재(33)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KR2020010029867U 2001-09-27 2001-09-27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KR200260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67U KR200260268Y1 (ko) 2001-09-27 2001-09-27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67U KR200260268Y1 (ko) 2001-09-27 2001-09-27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20A Division KR100405056B1 (ko) 2001-09-27 2001-09-27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연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68Y1 true KR200260268Y1 (ko) 2002-01-10

Family

ID=7306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867U KR200260268Y1 (ko) 2001-09-27 2001-09-27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75A (ko) * 2002-11-07 2003-12-1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보강 블록 구조의 충격 흡수용 슬리브 장치
KR20040021431A (ko) * 2002-09-04 2004-03-10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건축물 외벽의 신축 조인트 연결보강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31A (ko) * 2002-09-04 2004-03-10 주식회사 대도세라믹 건축물 외벽의 신축 조인트 연결보강재
KR20030095175A (ko) * 2002-11-07 2003-12-1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보강 블록 구조의 충격 흡수용 슬리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098B1 (ko) 조적벽체 보강 구조
JP201006545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部材と柱部材の接合構造と接合方法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KR100899779B1 (ko) 조적식 벽돌
KR200260268Y1 (ko) 벽체 연결용 신축연결구
KR100623581B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KR100405056B1 (ko) 콘크리트벽체와 조적벽체간의 연결 시공방법
KR20050113550A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JP2732439B2 (ja) プレキャスト構造体のための目地施工方法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KR100441977B1 (ko)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
JPS6316769Y2 (ko)
KR0160595B1 (ko) 콘크리트 신축줄눈재 지지 고정장치
KR200265957Y1 (ko) 벽돌
JP3887248B2 (ja) コンクリート造基礎の支持構造
JP4887038B2 (ja) 側溝の接続構造
JP2007107370A (ja) 塔状構造体
CN219385993U (zh) 一种预制桥桥面连接结构
KR200200345Y1 (ko) 건축물의 철근 콘크리트 작업시 정위치 철근 정착용 앙카
GB2153892A (en) A wall tie, a method of tying the leaves of a cavity wall and a cavity wall incorporating a tie
JPH0577816B2 (ko)
KR100430532B1 (ko) 외벽 보강용 연결구조
KR10222341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벽체 시공방법
JP2011074672A (ja) 布基礎の補強構造
CN106193579A (zh) 建筑模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