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62Y1 - 목공장치용 전동기 - Google Patents

목공장치용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62Y1
KR200260262Y1 KR2020010029478U KR20010029478U KR200260262Y1 KR 200260262 Y1 KR200260262 Y1 KR 200260262Y1 KR 2020010029478 U KR2020010029478 U KR 2020010029478U KR 20010029478 U KR20010029478 U KR 20010029478U KR 200260262 Y1 KR200260262 Y1 KR 200260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otor
woodworking
electric motor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식
Original Assignee
김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식 filed Critical 김기식
Priority to KR2020010029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62Y1/ko

Links

Landscapes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의 테두리를 가공할 경우 목재의 단부가 전동기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목공장치용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인출된 전동기의 케이스 선단부에 형성된 보스부에 목재가 지지되는 지지부싱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공장치용 전동기{WOOD MACHINE FOR MOTER}
본 고안은 목공장치용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목재의 테두리를 가공할 경우 목재의 단부가 전동기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목공장치용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공장치는 목재를 절단, 천공, 절삭하는 과정 등을 통하여 목재를 특정모양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써 대부분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절삭공구가 목재를 절삭하여 가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목공장치는 대부분 전동기와 절삭공구가 각각 별도로 배치되어 있고, 풀리에 의해 상기 전동기의 구동력이 절삭공구에 전달되면서 절삭공구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목공장치의 부피가 커지게됨은 물론 이로 인한 작업장의 점유면적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한 일안으로 종래에는 전동기와 공구를 일체로 제작하여 간소화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목공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였으며, 이러한 전동기와 공구의 결합구조는 전동기의 축에 척을 결합하고, 상기 척에 절삭공구 예를 들어 드릴이나 밀링커터 등을 끼워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 역시 판재형태의 목재 테두리를 가공할 경우 목재가 지지되는 면이 없음으로 테두리의 표면이 매끄럽고 일정하게 가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잡아 일정하게 밀어주거나 지지되도록 하는 지그 및 상기 지그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대시설이 요구됨으로 목공장치의 크기가 커짐은 물론 그로 인해 목공장치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재의 테두리를 가공할 경우 목재의 단부가 전동기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인출된 전동기의 케이스 선단부에 형성된 보스부에 목재가 지지되는 지지부싱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대 2 : 테이블
3 : 절삭공구 10 : 목재
100 : 전동기 110 : 구동축
120 : 케이스 121 : 보스부
130 : 지지부싱 131 : 베어링
140 : 안내브라켓 150 : 결합수단
151 : 나사공 152 : 나사공
153 : 고정볼트 160 : 탄성지지롤러
170 : 탄성지지수단 171 : 가압피스톤
171a : 스프링탄지부 172 : 가압실린더
172a : 실린더본체 172b : 실린더캡
172c : 탄성조절볼트 173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100)는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110)이 구비된 전동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동기(100)의 케이스(120) 선단부에 위치한 보스부(121)에 목재(10)가 지지되는 원통상의 지지부싱(130)이 베어링(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싱(130)에는 경우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10)가 지지되어 안내되는 안내브라켓(140)이 결합수단(15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브라켓(140)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가공되는 목재(10)의 테두리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브라켓(140)에는 목재(10)를 탄성적으로 눌러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170)을 갖는 탄성지지롤러(16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150)은 상기 지지부싱(130)과 안내브라켓(140)에 각각 상호 일치되는 나사공(151)(15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151)(152)에 고정볼트(153)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롤러(1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170)은 탄성지지롤러(160)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압피스톤(171)과. 상기 안내브라켓(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피스톤(17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실린더(172)와, 상기 가압실린더(172)에 내장되어 가압피스톤(171)의 단부를 탄지하는 스프링(17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172)는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실린더본체(172a)와 실린더캡(172b)으로 분리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압피스톤(171)의 단부에는 스프링(173)이 용이하게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탄지부(171a)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본체(172a)의 단부에는 스프링(17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볼트(172c)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기(100)가 목공장치의 공구대(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전동기(100)의 구동축(110)에 절삭공구(3)가 결합된 상태에서 목재(10)를 테이블(2)에 올려놓은 다음 목재(10)의 테두리를 회전되는 전동기(100)의 구동축(110)에 결합된 절삭공구(3)에 밀착시켜 목재(10)의 테두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때, 상기 목공장치의 테이블(2)에 올려진 목재(10)의 테두리 부분을 베어링(131)에 의해 전동기(100)의 보스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싱(130) 또는 상기 지지부싱(130)에 결합된 안내브라켓(140)에 밀착시켜 이송시키면 상기 지지부싱(130) 또는 안내브라켓(140)이 절삭공구(3)와 목재(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이송시키게 됨으로 가공되는 목재(10)의 테두리 부분이 일정 깊이로 연이어 절삭되어 목재(10)의 테두리 표면이 매끄럽고 일정하게 가공 처리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롤러(160) 및 탄성지지수단(170)에 의해 가공되는 목재(10)의 테두리부분이 탄력적으로 테이블(2)에 밀착 지지되어 이송됨으로 가공 및 이송되는 목재(10)의 떨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목공작업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정밀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목공장치용 모터로 목재만을 가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그 용도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타 다른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나 이와 유사한 강도 및 경도를 갖는 다양한 소재를 가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기의 구동축이 노출되는 케이스의 보스부에 목재가 지지되는 지지부싱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본 고안인 목공장치용 전동기는 구동축에 일체로 결합된 절삭날에 의해 가공되는 목재의 테두리 부분이 지지부싱에 밀착 지지되어 이송됨으로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밀한 목공작업이 이루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되는 목재의 테두리 부분이 탄성지지롤러 및 탄성지지수단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송됨으로 절삭공구(3)에 의한 목재의 가공시 발생되는 목재의 떨림이나 진동을 방지함으로 목공작업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원 인가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축(110)이 구비된 전동기(100)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0)이 노출되는 전동기(100)의 케이스(120) 선단부에 위치한 보스부(121)에 목재(10)가 지지되는 지지부싱(130)이 베어링(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싱(130)에 목재(10)가 지지되어 안내되는 안내브라켓(140)이 결합수단(15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브라켓(140)에는 목재(10)를 탄성적으로 눌러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170)을 갖는 탄성지지롤러(16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50)은 상기 지지부싱(130)과 안내브라켓(140)에 각각 상호 일치되는 나사공(151)(152)이 형성되고, 상기나사공(151)(152)에 고정볼트(153)가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1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170)은 탄성지지롤러(160)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압피스톤(171)과. 상기 안내브라켓(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피스톤(17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실린더(172)와, 상기 가압실린더(172)에 내장되어 가압피스톤(171)의 단부를 탄지하는 스프링(17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장치용 전동기.
KR2020010029478U 2001-09-25 2001-09-25 목공장치용 전동기 KR200260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78U KR200260262Y1 (ko) 2001-09-25 2001-09-25 목공장치용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78U KR200260262Y1 (ko) 2001-09-25 2001-09-25 목공장치용 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62Y1 true KR200260262Y1 (ko) 2002-01-10

Family

ID=7306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78U KR200260262Y1 (ko) 2001-09-25 2001-09-25 목공장치용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027A (en) Biscuit joiner
JP7074261B2 (ja) 動力工具
KR200260262Y1 (ko) 목공장치용 전동기
PL1731274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wykonywania szczelin w obrabianych przedmiotach
US4779327A (en) Drill press supported platform for pin router
CN209920078U (zh) 一种多功能木工车床
DE50311509D1 (de) Handfräsmaschine
DK1798012T3 (da) Elektrisk værktöj
KR101773441B1 (ko) 파이프의 단부를 면취하는 장치
CN113182545B (zh) 一种真空泵轴制作装置及其使用方法
ATE350196T1 (de) Einspannvorrichtung zum schleifen von scharfkantigen werkzeugen
KR20190100752A (ko) 절삭형 공구장치
CN210731198U (zh) 一种刀轮装置及使用该刀轮装置的硅钢片切割机
US20060046625A1 (en) Debris collecting attachment for machine tool
US20120318113A1 (en) Optical Aid for Power Tools
EP1180420A2 (en) Carving/planing attachment for a rotary hand tool
CN220296450U (zh) 一种机械工件打孔装置
CN110605432A (zh) 一种刀轮装置及使用该刀轮装置的硅钢片切割机
DE29924727U1 (de) Werkzeugmaschine für die Werkstückbearbeitung mit spanenden Werkzeugen und Laserstrahl
CN217667224U (zh) 一种金属打标机的送料装置
CN215824810U (zh) 一种四轴数控滚齿机中心架
CN210616780U (zh) 手提电动切割锯
KR200150959Y1 (ko) 앵글가공기
EP1514655B1 (en) A shoe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tool
CN213530838U (zh) 一种刨刀片钻孔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